• 제목/요약/키워드: Mental Illness

검색결과 423건 처리시간 0.024초

정신장애인 회복에 초점을 둔 당사자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Peer-Leadership Program focused on Recovery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 김민;이근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256-265
    • /
    • 2020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회복을 위한 당사자 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문헌검토와 선행프로그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정신장애에 대한 이해-셀프리더십-역량강화-자기 주도 실천계획을 포함하는 Brown의 회복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당사자주도 활동, 장애의 이해와 인식개선 활동, 당사자 실천계획개발 등을 주제로 2박 3일 동안 총 6회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회복의 가치를 기반으로 당사자 스스로 할 수 있다는 역량강화를 위해 교육-이해-계획-실행의 단계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정신재활시설 이용자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낙인, 역량강화, 셀프리더십, 장애수용 척도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참여자들의 낙인(p < .05), 역량강화(p < .05), 셀프리더십(p < .01), 장애수용(p <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개발된 당사자 리더십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에 대한 이해 증가, 역량강화, 리더십 능력향상을 포함하는 회복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당사자 리더십 프로그램의 확대를 위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성인정신장애인의 평생계획모형 : 뉴질랜드 정신보건서비스를 중심으로 (Permanency Plan for Adults with Mental Illness : Focused on Mental Health System of New Zealand)

  • 서미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2호
    • /
    • pp.33-56
    • /
    • 2006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일차적보호제공자가 더 이상 보호를 제공할 수 없을 때를 대비한 평생계획(재정계획, 주거계획, 법적 보호)에 초점이 있다. 따라서 1994년 이후 지역사회중심의 국가적 정신보건전략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뉴질랜드 정부의 정책과 지역사회에서 포괄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NGO의 평생계획을 위한 구체적 서비스를 조사하여 우리나라에의 적용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재정계획 면에서 뉴질랜드 정부는 소득보장으로 장애급여와 기타 수당을 지급하고, 고용촉진을 위해 고용주에게 임금을 보조하는 형태의 재정적 지원을 한다. 그리고 지역사외의 NGO는 구직과 고용 유지를 위한 자원연결과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둘째, 주거계획으로 정부는 주택보조와 자립지원을 통해 거주지 마련을 지원하고 NGO는 지지적 주거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주거와 포괄적 지지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셋째, 법적 보호는 신상 및 재산보호법(PPPR Act)하에 법원이 신상관리와 재산관리를 도울 복지후견인과 재산관리인을 지정하는데 이들은 정신장애인의 존엄성과 자기결정권에 대한 존중을 전제로 관리할 것으로 의무화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우리나라의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와 사회복귀시설의 역할과 기능을 임상서비스와 사회적 서비스로 구분하여 정신보건전달체계가 보다 소비자의 욕구에 반응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장애인의 생계와 장애로 인한 추가비용을 감당할 수 있도록 장애수당을 현실화할 것과 지지적 주거의 확대와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정신장애인의 법적 보호를 위해 성인후견인 제도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 PDF

정신질환자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발병초기와 만성 정신질환자의 비교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e on the family function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 Comparison of the persons with recent onset and chronic mental illness -)

  • 조은정;김현수;김종천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7호
    • /
    • pp.99-124
    • /
    • 2017
  •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의 가장 기본적인 보호체계인 가족의 기능에 대한 기존연구가 정신질환의 발병 단계(초기, 만성)에 대한 고려 없이 진행된 한계를 극복하고자 발병초기 정신질환자가족과 만성 정신질환자 가족의 가족기능이 차이가 있는지, 각 그룹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부산지역 정신보건 서비스 이용 정신질환자 628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발병초기 정신질환자의 가족기능보다 만성 정신질환자 가족기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발병초기 정신질환자의 경우 가족기능 괴리감이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만성 정신질환자의 경우 일상생활수행능력, 주보호자의 건강상태, 가족기능 괴리감, 지역사회지지가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확인되어 두 그룹의 영향요인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현장에서 고려 할 수 있는 발병초기와 만성 정신질환자의 가족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별적방법을 제언하였다.

Human Mental Condition Monitoring through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Signals

  • Ulziibayar, Natsagdorj;Kang, Sanghoon;Park, Hanhoo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9호
    • /
    • pp.1147-1154
    • /
    • 2020
  • Nowaday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s is chronic mental fatigue syndrome. This can be caused by many factors, such as busy life, heavy workload, high population density, and adverse technological impact. Most office workers and students who are sitting all day long while being exposed to this kind of environments are likely to be involved in the mental illness. Therefore, to prevent the illness, it has been highly required to design a device that enables mental fatigue to be monitored continuously without human intervention. This paper proposes a linear regression method to reliably estimating the level of human mental fatigue using wearable physiological sensors, with an estimation error of 0.852. Also, this paper presents an Android application that is able to check mental health conditions in daily life.

만성 정신질환을 가진 환자를 위한 임파워먼트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of Empowerment Program for Person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and Evaluation of Impact)

  • 김미정;이경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834-845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n empowerment program for people with chronic mental illness and to analyze effects of the program on level of empowerment. Meth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Participants were 37 people with chronic mental illness (experimental group: 18, control group: 19). The empowerment program was provided for 8 weeks (15 session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uly 21 and October 17, 2014.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Fisher's exact test, Sapiro-wilk 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with SPSS/WIN 18.0. Results: Quantitative results show that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titudes in the workplace, occupational performance capacity, and levels of empowered execute were significantly bet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this empowerment program for person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is effective for improving self efficacy, interpersonal skills, attitudes in the workplace, occupational performance capacity, levels of empowered execute.

영과잉포아송회귀분석을 활용한 안정병동에 입원한 정신질환자의 공격행동 예측요인 (Predictors for Aggressive Behavior of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in a Closed Psychiatric Ward using Zero-Inflated Poisson Regression: A Retrospective Study)

  • 김정호;신성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8권2호
    • /
    • pp.160-169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redictors related to aggressive behavior of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admitted to a closed psychiatric ward. Methods: This study adopted a retrospective design which analyzed the hospital medical records of 363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admitted to the psychiatric closed ward of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IBM 20.0 and STATA 12.0 SE. ZIP (Zero-Inflated Poisson) and count data analysis were used for the factor influencing the occurrence and frequency of aggressive behavior. Results: The results of ZIP model show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non-probability of aggressive behavior were anxiety, non-adherence, and frustration. In addition, the factors influencing frequency of aggressive behavior were bipolar disorder and personality disorder trait. Conclusion: We found that bipolar disorder, frustration, and non-adherence are more likely to increase the likelihood of aggressive behavior in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In particular, patients diagnosed with bipolar disorder were 1.95 times more likely to engage in repetitive aggressive behavior compared to those without a diagnose. However, since the results were different form previous studies, further studies on the traits of anxiety and personality disorders are needed.

일 정신건강 사정도구의 준거 타당도 검증 (Testing the Crierion-related Validity of a Mental Health Assessment Tool in Kerean Adult)

  • 고성희
    • 대한간호
    • /
    • 제30권4호
    • /
    • pp.61-68
    • /
    • 199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ing the criterion - related validity of a mental health assessment tool which developed based on a korean culture. Criteria scale for this tool were MMPI and CMI(M - R). The study subject were 100 male and female aged 20 or more with quota sampling.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ugust 16. to August 26. 1989. The data obtained from 85 subjects were analysed using S.P.S.S.(Stas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As a result, there a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ntal Health Assessment Tool and MMPI and CMI except Mf(Masculinity-Feminity) Subscale of MMPI. This result means the MMPI and CMI was not related to tool which developed based on medical model from etic perspectives, although the tool which had been developed in America Modified to Korean situation. So I dare to say that only the absence of mental illness does not means mental health and the diagnosis of mental illness is not the only criteria of a mental health.

  • PDF

정신약물을 복용하는 정신질환자의 진정, 섬망, 낙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dation, Delirium and Fall in Mental Illness Taking Psychiatric Drugs)

  • 박경미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3-40
    • /
    • 2020
  • 본 연구는 정신약물을 복용하는 정신질환자의 진정, 섬망 및 낙상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2019년 3월10일부터 2019년 11월10까지 D시에 위치한 정신병원 2곳을 대상으로 정신과 간호사 4인이 정신질환자 총 149명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를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정신질환자의 진정과 섬망(r=.587 p=<.001), 진정과 낙상(r=.273 p=.001), 섬망과 낙상(r=.390 p=<.001)은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약물을 복용하는 정신질환자의 진정, 낙상, 섬망의 정도를 파악하고 진정과 낙상 및 섬망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정신약물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낙상과 섬망을 예방하고 간호중재 전략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형 강점척도-정신장애인용 개발연구 (Th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trengths Scale of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 박정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96-608
    • /
    • 2017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들의 강점을 측정할 수 있는 한국형 강점척도-정신장애인용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에서 시도되었다. 척도개발을 위해서 첫째, 문헌연구와 정신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3회의 포커스그룹면접을 통해서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둘째, 2명의 정신보건사회복지 교수와 2명의 현장실무자들의 검토를 거쳐 예비문항의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으며 최종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셋째, 전국의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최종예비문항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는데, 6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552개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478부를 최종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7개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요인 1은 직업, 요인 2는 가족․사회적 지지, 요인 3은 낙관성, 요인 4는 자원활용, 요인 5는 대처행동, 요인 6은 여가, 요인 7은 건강으로 선정되었다. 넷째,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델의 적합도도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40문항의 한국형 강점척도-정신장애인 용을 개발하였으며, 본 척도의 국내 정신보건사회복지이론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정신간호학 교육정도에 따른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 요인 비교연구 -J간호전문대학생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Nursing Students따 Attitudes about Mental Illness According to their Year in College Pschiatric Nursing)

  • 정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1-91
    • /
    • 1989
  • This descriptive-comparative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year in college of 288 junior college nursing students attitudes about mental illness.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the OㆍMㆍI (Opinion about Mental Illness) scale developed by Cohen and Struening.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the 27th to the 30th of September, 1988 by means of a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computer, using the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The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Hypothesis I: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according to the year in college 1"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attitude about authoritarianism-according to the year in college" was rejected(F=.5675, P=.5676). 2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attitude about benevolence-according to the year in college." was accepted(F=.5376, P=.5848). 3.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attitude about mental hygiene ideology-according to." was accepted (F=17.3497, P=.0000). 4.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attitude about social restrictiveness-according to" was rejected (F=1.7416, P=.1771), 5."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attitude about interpersonal etiology-according to" was accepted (F=10.8597, P=.0000). 2. Hypothesis II : "There will bed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tudent have had clinical practice in the psychiatric ward. 1.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attitudes about authoritarianism -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tudent's have had clinical practice in the psychiatric ward was rejected(t=.59, p=.555). 2. "Whether they have had clinical practice at the psychiatric ward or not, There will be difference in the attitudes about benevolence." was rejected (t=1.34, p=.182). 3."Whether they have had clinical practice at the psychiatric ward or not, there will be difference of the mental hygiene ideology attitude." was accepted (t=2.72, p=.008). \circled4 “Whether they have had clinical practice at the psychiatric ward or not, there will be difference of the social restrictiveness - attitude." was rejected (t=-.59, p=.557). 5. "Whether they have had clinical practice at the psychiatric ward or not, there will be difference of to interpersonal etiology-attitude." was accepted(t=3.55, p=.001).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year in College,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s are about mental hygiene ideology and interpersonal etiology.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positive attifudes about psychiatric illness can be induced by a more effective educational experience. The main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at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Korea is not considered in the OㆍMㆍI sca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