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iscal tear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7초

반월상 연골 후각부 파열의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Treatment of the Tear of the Posterior Horn of Meniscus)

  • 하동준;김창완;서승석;조일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9-94
    • /
    • 2009
  • 목적: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부 파열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부 파열로 진단받고, 관절경적 시술을 받은 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연령, 대퇴경골각, 골주사 검사 결과, 수술 방법 및 파열 양상에 따른 술후 임상적 결과를 Lysholm 및 Tegner 활동 점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환자의 나이는 수술 결과에 영향이 없으며, 술전 외반 4도 이상의 대퇴경골각을 가지거나, 술전 방사성 동위 원소 검사에서 정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었다. 수술 방법의 차이, 즉 반월상 연골판 제거술 혹은 봉합술 여부에 따른 치료 결과의 통계적 차이는 없으며, 파열 양상에 따른 결과 차이 또한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결론: 내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의 치료에 있어 만족한 결과를 얻기 위해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해야 하며, 특히 술전 시행한 골주사 검사는 반월상 연골판 파열부 및 그 주변 골, 연골의 상태를 반영하여 술후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좋은 평가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젊은 환자의 외측 불완전 원판형 연골판의 만성 방사상 파열의 관절경적 봉합술 (Arthroscopic Meniscal Repair in a Young Patient with a Chronic Radial Tear of the Incomplete Discoid Lateral Meniscus)

  • 송지훈;임영진;박진영;허순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5-189
    • /
    • 2012
  • 본 증례 보고의 목적은 외측 불완전 원판형 연골판의 만성 방사상 파열이 있는 젊은 환자에서 시행한 봉합술의 결과를 보고자 한다. 원판형 연골판의 전위된 방사상 파열을 배형 성형술과 봉합술로 치료하였다. 술 후 6개월에 시행한 2차 관절경 검사에서 봉합된 연골판은 연속성을 유지한 상태로 치유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만성 방사상 파열이라 하더라도 젊은 환자의 경우 봉합술이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생체 흡수성 기구를 이용한 반월상 연골 봉합술 (Arthroscopic Meniscal Repair with Bioabsorbable Devices)

  • 김종순;신규석;이동화;석진호;박상환;허정국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0-155
    • /
    • 2002
  • 목적 : 반월상 연골 봉합 수술에서 생체 흡수성 기구를 이용한 방법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부터 생체 흡수성 기구를 이용한 반월상 연골 봉합술을 시행한 후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2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된 기구는 Meniscus $Arrow^{\circledR}$(Bionx)와 Meniscal $Fastener^{\circledR}$(Mitek)였으며 전예에서 후각부의 종파열 환자만을 선택하였고, 동측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었던 9예는 연골판 봉합과 동시에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Lysholm score로 평가하였다. 결과 : Lysholm score는 전체 술 전 평균 56점에서 술 후 평균 89점으로 향상 되었고, red-red zone 파열군과 red-white zone 파열군 및 각기 다른 기구를 사용한 군 사이에서는 상이한 차이가 없었으나, 전방 십자 인대 파열후 재건술을 동시에 시행한 경우와 수상 후 8주 이전에 수술한 경우에서 결과가 더 좋았다. 결론 : 생체 흡수성 기구를 이용한 방법은 잘 선택된 환자에서 제한적으로 사용할 경우, 특히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동시에 시행할 때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 PDF

All-Inside 반월연골판 봉합술 (All-Inside Meniscal Repair)

  • 최남홍;김병연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15
    • /
    • 2013
  • 과거 반월연골판 파열의 치료로 절제술이 시행되었으나 절제술 후에 슬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진행되어 골관절염이 발생한다는 보고와 함께, 반월연골판의 생역학적 기능이 밝혀지면서, 가능한 한 반월연골판을 보존하기 위해 적응증이 되는 경우 봉합술의 시행이 증가되고 있다. 반월연골판 봉합술의 방법으로 outside-in, inside-out, all-inside 방법 등이 시행되고 있으며, 상기 방법들 중 all-inside 봉합 방법의 적응증, 수술 방법 및 수술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슬관절 반월상 연골 파열 후 수술 환자의 통증 감소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 효과: 후향적 관찰연구 (Effect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s on Pain Reduction of Postoperative Meniscal Injury Patients :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김상우;오민석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19-225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iveness of complex Korean Medicine treatments on pain reduction of patients after meniscal surgery. We analyzed 16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as Meniscal injury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scan and had admitted to Dunsan Korean Medical hospital from January 30, 2014 to April 30, 2019. The analysis was conducted as retrospective study which analyzes patient's medical record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5 program. We used Numeric Rating Scale to evaluate pain reduction, Five-point likert scale to asses treatment satisfac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ain reduction on the postoperative meniscal injury patients treated with complex Korean Medicine treatments.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complex Korean Medicine treatment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pain reduction of postoperative meniscal injury patient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Work-Related Risk Factors of Knee Meniscal Tears in Korean Farmers: A Cross-Sectional Study

  • Hong, Chae Young;Lee, Chul Gab;Kim, Dong Hwi;Cho, Yong Soo;Kim, Kweon Young;Ryu, So Yeon;Song, Han Soo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4호
    • /
    • pp.485-490
    • /
    • 2020
  • Background: Meniscal tears are among the major risk factors for knee osteoarthritis progress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iscal tears and work-related factors in the farming occup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486 farmers (238 men and 248 women), aged 40-69 years, who were among the 550 farmers registered in the Korea Farmer's Knee Cohort (KFKC). Data such as those on gender, age, body mass index (BMI), mechanical axis, cumulative heavy-lifting working time (CLWT), cumulative squatting working time (CSWT), and previous knee injury history were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along with whole leg radiographic findings. Two radiologists assessed the magnetic resonance images of both knees to confirm the presence of meniscal tears. The factors related to meniscal tears were analyz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A total of 54.5% of the farmers (48.7% of men and 60.1% of women) had meniscal tears. These tears were associated with gender, age, and BMI. We also identified an association between meniscal tears and CSWT, an especially important factor in farming [10,000-19,999 working hours, odds ratio = 2.16, 95% confidence interval (CI): 1.14-4.07, ≥20,000 working hours, odds ratio = 2.35, 1.45-3.80]. However, mechanical axis, knee injury history, and CLWT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meniscal tears. Conclusion: This study's findings show that squatting for long periods, as an occupational factor, is related to meniscal tears.

경골 고평부 골절의 반월상 연골 파열 양상 (Characteristics of Meniscus Tear in Tibial Plateau Fractures)

  • 이동훈;김병국;김재화;정주환;이인성;이준구;이순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6
    • /
    • 2012
  • 목적: 경골 고평부 골절은 슬관절에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는 관절경하 경골 고평부 골절에서 반월상 연골 손상 양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3월부터 2010년 3월까지 경골 고평부 골절을 진단 받은 39명의 환자 중 33명 환자를 대상으로 골절 고정 시내 관절경을 시행하였다. Schatzker 분류에 따르면 1명의 I형(3.3%), 19명의 II형(53.3%), 4명의 III형(13.3%), 2명의 IV형(6.6%), 2명의 V형(6.6%), 5명의 VI형(20%) 소견을 보였다. 결과: 25명의 환자(75.8%)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파열 소견을 보였다. Schatzker II형 환자 19명 중 18명의 환자(94.7%)가, Schatzker III형 환자 4명 중 3명의 환자(75%)가, Schatzker VI형 환자 5명 중 4명의 환자(80%)가 반월상 연골 파열 소견을 보였다. 반월상 연골 중 가장 많이 손상된 부분은 외측 연골의 전각부분이다(22/25). 25명의 반월상 연골 파열 환자 중, 한 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 변연부 수직 종파열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 관절경하 봉합술을 시도할 수 있었다. 결론: 경골 고평부 골절에 있어 관절경하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한 파악 및 치료에 유용하며, 경골 고평부 골절환자에서 관절경을 권한다.

  • PDF

반월상 연골 손상의 봉합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Factors Affecting Clinical Results of the Meniscal Repair)

  • 송은규;노성만;정재윤;김종석;배봉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3-69
    • /
    • 2003
  • 목적 :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한 관절경적 봉합술의 임상 성적을 조사하고 봉합시 치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반월상 연골 파열 환자 중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하고 추시 기간이 1년 이상된 5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 성별, 파열 위치,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 유무, 봉합 방법, 수상과 수술사이의 시간, 전방십자인대 부전의 동시 재건술 등과 Tapper & Hoover분류에 따른 결과와의 인과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 : Tapper & Hoover분류상 우수 29예, 양호 22계, 보통 3예였으며, 불량은 없었다. Tapper & Hoover 분류에 따른 임상 성적과 손상 당시의 연령 및 봉합 방법의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p<0.05), 그 외 성별, 파열 위치,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 유무, 수상과 수술사이의 시간, 전방십자인대 부전의 동시 재건술 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결론 :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해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하여 $95\%$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으며, 그 반월상 연골 손상의 관절경적 봉합술 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로는 손상 당시의 연령 및 봉합 방법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연골판 이식술의 적응증과 수술 전 계획 (Indication and Pre-operative Planning of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 김태형;최남홍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2-35
    • /
    • 2011
  • 연골판 절제술로 인한 슬관절의 퇴행성 변화와 이로 인한 임상적 증상을 예방하기 위해 연골판의 기능을 수복할 동종 연골판 이식술이 필요하다. 환자들에게 만성 전방십자인대 파열이나, 연골 손상, 내반 변형 등 동반되는 상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수술 전 준비가 필요하고, 동종 연골판 이식술 후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적절한 환자의 선택이 중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