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Affecting Clinical Results of the Meniscal Repair

반월상 연골 손상의 봉합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Song, Eun-Kyo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Rowe, Sung-Ma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Chung, Jae-Yoo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im, Jong-Seo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Bae, Bong-Hy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송은규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노성만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정재윤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종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배봉현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Purpose : Clinical outcome of meniscal repair fur meniscal injury was examined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 were determined. Materials and Methods : We examined 55 patients with meniscal injury who underwent arthroscopic meniscal repair and could be followed-up for more than 1 year. Clinical outcome according to Tapper & Hoover classification was examined in relation with age, gender, injury site, the presence of bucket-handle tear, method of repair, the period between injury to repair, and the concomitant reconstructi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sults : According to Tapper & Hoover classification, the outcome was excellent in 29 cases, good in 23 cases and fair in 3 cases. Age and method of repair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apper & Hoover classification, but gender, injury site, the presence of bucket-handle tear, the period between injury to suture, and the concomitant reconstructi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hav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Conclusion : A satisfactory results was obtained in $95\%$ of the patients with meniscal injury with meniscal repair. Age at injury and method of repair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clinical result statistically.

목적 :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한 관절경적 봉합술의 임상 성적을 조사하고 봉합시 치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반월상 연골 파열 환자 중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하고 추시 기간이 1년 이상된 5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 성별, 파열 위치,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 유무, 봉합 방법, 수상과 수술사이의 시간, 전방십자인대 부전의 동시 재건술 등과 Tapper & Hoover분류에 따른 결과와의 인과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 : Tapper & Hoover분류상 우수 29예, 양호 22계, 보통 3예였으며, 불량은 없었다. Tapper & Hoover 분류에 따른 임상 성적과 손상 당시의 연령 및 봉합 방법의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p<0.05), 그 외 성별, 파열 위치,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 유무, 수상과 수술사이의 시간, 전방십자인대 부전의 동시 재건술 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결론 :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해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하여 $95\%$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으며, 그 반월상 연골 손상의 관절경적 봉합술 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로는 손상 당시의 연령 및 봉합 방법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