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mbrane thickness

검색결과 590건 처리시간 0.028초

Cilostazol ameliorates diabetic nephropathy by inhibiting high-glucose-induced apoptosis

  • Chian, Chien-Wen;Lee, Yung-Shu;Lee, Yi-Ju;Chen, Ya-Hui;Wang, Chi-Ping;Lee, Wen-Chin;Lee, Huei-Jane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4권5호
    • /
    • pp.403-412
    • /
    • 2020
  • Diabetic nephropathy (DN) is a hyperglycemia-induced progressive development of renal insufficiency. Excessive glucose can increase mitochondrial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induce cell damage, causing mitochondrial dysfunction. Our previous study indicated that cilostazol (CTZ) can reduce ROS levels and decelerate DN progression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type 1 diabet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tential mechanisms of CTZ in rats with DN and in high glucose-treated mesangial cell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5 mg/kg/day of CTZ after developing STZ-induced diabetes mellitus.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that CTZ reduced the thickness of the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and improved mitochondrial morphology in mesangial cells of diabetic kidney. CTZ treatment reduced excessive kidney mitochondrial DNA copy numbers induced by hyperglycemia and interacted with the intrinsic pathway for regulating cell apoptosis as an antiapoptotic mechanism. In high-glucose-treated mesangial cells, CTZ reduced ROS production, altered the apoptotic status, and down-regulated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β) and nuclear factor kappa light chain 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NF-κB). Base on the results of our previous and current studies, CTZ deceleration of hyperglycemia-induced DN is attributable to ROS reduction and thereby maintenance of the mitochondrial function and reduction in TGF-β and NF-κB levels.

Ivermectin투여가 고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병리조직학적 관찰 (Histopathological changes on the testis by Ivermectin toxicity)

  • 손정훈;이차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63-573
    • /
    • 1995
  • To know the effect of Ivermectin(IVM) toxicity in testis, histopathologic changes as well as clinical signs were observed in experimental animals including dogs by the subcutaneous injection with 3-50mg/kg of IVM. Clinically, it was observed to have depression and ataxia in all groups whereas tremor and coma in mice, rats and guinea pigs, coma in hamsters and rabbits, and tremor and salivation in dogs were shown. The clinical signs were different by the dosage of IVM, species and individuals in all animals. Susceptibility to IVM was most sensitive in dogs, especially in a Tosa dog and this was susceptible in mice, hamsters and rabbits, guinea pigs and rats in order. Microscopical observation revealed that the seminiferous tubules of testis had decreased thickness of germinal epithelium due to the necrosis and desquamation of the spermatids and spermatocytes. The progressive pattern by the times of administration showed vacuolar formation between the layer of spermatids and spermatogonia due to the marked necrosis of spermatocytes and the presence of multinucleated giant cells derived from spermatid throughout the seminiferous tubules of testis. Only a layer of spermatogonia, a few spermatogonia, and Sertoli cells wore observed with atrophied wavelike basement membrane in the seminiferous tubules of testis. Necrotic germinal cells, sloughed immature spermatids and spermatocytes were present in the lumen of epididymis and ductus deferens. Microscopical observation showed different susceptibility to IVM with clinical observation in which it was also most sensitive in dogs, especially in a Tosa dog and this was susceptible in rabbits and guinea pigs, hamsters, rats and mice in order. It was considered that IVM affects mainly spermatocyte or spermatid stage in the spermatogenesis and disturbs their developing beyond these stage.

  • PDF

터널 라이닝 공동에 대한 GPR 신호 특성 분석을 위한 수치해석 연구 (A Study on Numerical Analysis for GPR Signal Characterization of Tunnel Lining Cavities)

  • 고규현;이성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7권10호
    • /
    • pp.65-76
    • /
    • 2021
  • 노후화된 터널 구조물의 라이닝 내부 및 배면에 존재하는 공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며 대부분의 경우 육안검사가 불가능한 곳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점검이 쉽지 않다. 최근에는 지반탐사레이더와 같은 비파괴시험 등을 이용하여 터널 라이닝과 배면에 대한 상태를 평가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모형시험 및 해석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prMax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터널 라이닝 모형 시험체 조건에 대한 GPR 신호특성을 시각화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모형체 시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모형체 시험에 적용된 GPR 해석모델은 터널 라이닝 및 내부 공동 등 매질 변화에 대한 전자기파 신호변화를 합리적으로 모사하였다. 검증된 수치해석모델을 이용하여 터널 라이닝의 두께, 내부의 공동 존재와 규모, 방수막의 영향, 주파수대역의 영향 등을 평가하기 위한 GPR 분석 기법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Anti-osteoarthritic effects of a combination of pomegranate concentrate powder, Eucommiae cortex and Achyranthis radix in rats

  • Choi, Beom-Rak;Ku, Sae-Kwang;Kang, Su-Jin;Park, Hye-Rim;Sung, Mi-Sun;Lee, Young-Joon;Park, Ki-Moon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86-113
    • /
    • 2018
  • Objectives: We examined the effects of a mixed formula consisting of dried pomegranate concentrate powder (PCP) and the aqueous extracts of Eucommiae cortex (EC) and Achyranthis radix (AR) in rats with surgically induced osteoarthritis (OA). Methods: Two weeks after OA-inducing surgery, a PCP:EC:AR 5:4:1 (g/g) combination or single formula was orally administered. Changes in body weight, knee thickness, maximum knee extension angle, bone mineral density of the knee joints, femoral and tibial articular surfaces, an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femoral and tibial articular cartilage (AC) were assessed, along with the prostaglandin E2 level, 5-lipoxygenase,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 and MMP-9 activity, and chondrogenic gene mRNA expression in the femoral and tibial AC with the synovial membrane (SM). In addition, the number of cleaved poly(ADP-ribose) polymerase, cyclooxygenase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immunoreactive cells in the femoral and tibial AC with SM were monitored, and the rate of cell proliferation was determined with a 5-bromo-2'-deoxyuridine uptake assay. Results : The signs of surgically induced OA in rat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both PCP, EC and AR combined and single formulas. In particular, the combination formula-treated OA model rats showed dose-dependent, significantly increas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all tested criteria compared with single formula-treated rats. Conclusions: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formula synergistically increased the anti-OA effects of its components through anti-inflammatory and chondrogenic activity in rats with surgically induced OA. In addition, 200, 100 and 50 mg/kg combination formula treatments showed dose-dependen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all of the tested criteria.

단일 식각 홀을 갖는 SiO2 희생층의 불화수소 증기 식각 (Hydrogen Fluoride Vapor Etching of SiO2 Sacrificial Layer with Single Etch Hole)

  • 김차영;노은식;신금재;문원규
    • 센서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28-333
    • /
    • 2023
  • This study experimentally verified the etch rate of the SiO2 sacrificial layer etching process with a single etch hole using vapor-phase hydrogen fluoride (VHF) etching. To fabricate small-sized polysilicon etch holes, both circular and triangular pattern masks were employed. Etch holes were fabricated in the polysilicon thin film on the SiO2 sacrificial layer, and VHF etching was performed to release the polysilicon thin film. The lateral etch rate was measured for varying etch hole sizes and sacrificial layer thicknesses. Based on the measured results, we obtained an approximate equation for the etch rate as a function of the etch hole size and sacrificial layer thickness. The etch rates obtain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minimize structural damage caused by incomplete or excessive etching in sacrificial layer process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nsights for optimizing sacrificial layer etching and properly designing the size and spacing of the etch holes.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explore the formation of structures using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processes to simultaneously seal etch hole and prevent adhesion owing to polysilicon film vibration.

거짓비늘증후군에서 개방각녹내장 병합 유무에 따른 전안부 소견과 생체 계측치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f Anterior Segment Features between Groups with or without Glaucoma in Pseudoexfoliation Syndrome)

  • 구본혁;최상경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9권11호
    • /
    • pp.1049-1055
    • /
    • 2018
  • 목적: 거짓비늘증후군에서 개방각녹내장 병합 유무에 따른 전안부 소견과 생체 계측치들을 비교 분석하여 거짓비늘증후군에서 녹내장 발생과 관련된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거짓비늘증후군으로 진단된 96명(115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단순거짓비늘증후군 64명(76안)과 녹내장 병합 거짓비늘증후군 32명(39안)의 두 군으로 나누어 나이, 성별, 기저질환, 거짓비늘물질이 관찰된 부위 및 홍채의 변화, 핵백내장 정도, 산동 정도, 각막내피세포 수, 중심각막두께, 전방깊이, 안축장, 각막곡률, 안압을 비교하였다. 결과: 두 군 간 나이(p=0.694), 성별(p=0.161), 당뇨(p=0.440), 고혈압(p=0.238), 거짓비늘물질의 관찰 위치로 전낭, 동공연(p=0.700, 0.210), 홍채의 변화 양상으로 동공연 탈색소, 주름 소실(p=0.526, 0.708), 핵백내장 정도(p=0.617), 산동 정도(p=0.526), 중심각막두께(p=0.097), 전방깊이(p=0.283), 안축장(p=0.095), 수평, 수직 각막곡률(p=0.066, 0.306)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녹내장병합거짓비늘증후군에서 안압이 높고(p=0.026) 동공연의 막형성이 많으며(p=0.047), 각막내피세포 수의 감소(p=0.048)가 유의하게 관찰되었다. 결론: 거짓비늘증후군에서 개방각녹내장이 병합된 경우 높은 안압, 각막내피세포 수 감소, 동공연의 막형성 소견이 유의하게 비교 관찰되므로 이러한 변화 양상이 관찰될 때 녹내장 병합 가능성이 높음을 인지하여 경과관찰 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VdF-co-HFP)/PVP를 이용한 EDLC용 고분자 겔 전해질의 제조 (Preparation of Polymer Gel Electrolyte for EDLCs using P(VdF-co-HFP)/PVP)

  • 정현철;장인영;강안수
    • 공업화학
    • /
    • 제17권3호
    • /
    • pp.243-249
    • /
    • 2006
  • 전기이중층 커패시터 및 리튬이온 2차전지의 compact화 하기 위하여 격리막과 전해질의 기능을 동시에 갖는 겔 전해질에 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고분자 겔 전해질에 다량의 기공을 형성하여 전해질의 함침성을 높이기 위해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고분자 지지체 P(VdF-co-HFP)/PVP에 개공제 PVP를 이용하였으며, 가소제 PC와 EC, 그리고 지지전해질 $TEABF_4$를 이용하여 고분자 겔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분말활성탄 BP-20과 MSP-20, 전도성 개량제 Super P 및 결합제 P(VdF-co-HFP)와 PVP를 사용한 전극과 결합하여 단위셀을 제작하였고, 고분자 겔 전해질과 단위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PVP 첨가량에 따른 고분자 겔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는 7 wt%일 때 가장 우수한 이온전도도를 보였으나, 단위셀을 구성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AC-ESR은 3 wt%일 때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단위셀을 구성하여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결과 PC : EC = 33 : 33 wt%일 때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PC를 단독 사용시 보다 PC와 EC의 혼합물을 가소제로 사용하였을 때 비정전용량 등 전기화학적 특성이 높았다. 고분자 겔 전해질의 두께에 따른 이온전도도는 $20{\mu}m$일때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나, 단위셀을 구성하여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결과 $50{\mu}m$일 때 가장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나타내었다. 고분자 겔 전해질과 전극사이를 열 압착한 단위셀은 31.41 F/g의 높은 비정전용량과 안정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P(VdF-co-HFP : PVP = 20 : 3 및 PC : EC = 44 : 22 wt%로 제조된 EDLC용 고분자 겔 전해질의 최적 조성비는 23 : 66 : 11 wt%이었으며, 두께 $50{\mu}m$일 때 $3.17{\times}10^{-3}S/cm$의 이온전도도를 나타내었다. 이 때 단위셀의 전기화학적 특성은 DC-ESR $2.69{\Omega}$, 비정전용량 28 F/g 및 쿨롱 효율 100%이었다.

김치종류별 식이가 Hairless Mouse 피부의 형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Skin of Hairless Mouse Fed Various Kimchi Diet)

  • 류복미;류승희;양영철;이유순;전영수;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69-1475
    • /
    • 2004
  • 피부는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자극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노화에 따른 조직의 형태학적인 변화를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기관이다. 동결건조한 배추김치, 갓김치, 부추김치를 식이에 10%씩 첨가하여 hairless mouse에 16주간 섭취시켜 피부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표피의 두께는 감소하며 본 실험에서 대조군에 비해 김치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 각질화에 관여하는 cytokeratin은 대조군에 비해 갓, 배추, 부추김치군의 순으로 낮았는데 전자현미경적 소견으로도 대조군에서 각질층은 중간원섬유들이 치밀하게 분포된 매우 두꺼운 각질층이 보인 반면 갓김치, 배추김치, 부추김치군은 얇은 각질층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상피기저막의 type Ⅳ 콜라겐은 갓김치섭취군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어 갓김치 성분들이 피부의 기저막의 노화를 억제한 것으로 사료된다. 콜라겐 함량은 노화에 따라 감소하며 대조군에서 콜라겐의 합성에 관여하는 fibroblast의 RER 발달은 뚜렷하지 않았으나 갓김치군, 배추김치군에서는 RER의 발달이 현저하여 새로운 콜라겐 생성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많은 생리활성물질 및 항산화물질이 함유되어진 김치의 섭취는 피부노화를 방지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갓김치의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골어류 잉어과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의 난자형성과정 (The Oogenesis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Cyprinidae, Teleostei)

  • 김동희;김완종;등영건;김석;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1호
    • /
    • pp.9-14
    • /
    • 2010
  • 경골어류, 잉어과, 모래무지아과에 속하는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의 난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쉬리의 난소는 한 쌍으로 부레와 창자사이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회색을 띠었다. 난소의 형태는 장타원형(장축 20 mm, 단축 5 mm)이었다. 난원세포는 다각형으로 세포질은 호염기성이었고 핵 안에 여러 개의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초기시기의 제1난모세포(primary oocyte)는 난원세포에 비하여 크기가 커졌으며 난황포(yolk vesicle)들은 핵 주변부에는 관찰되지 않았고 세포질의 가장자리에만 국한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제1난모세포가 발달함에 따라서 난황포는 바깥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증식되어 핵 쪽으로 이동되었으며 난막 바깥쪽은 짙은 푸른색의 여포상피(follicular epithelium)로 싸여 있었다. 그러나 핵의 주변부는 아직 푸른색을 띠고 있었다. 제2난모세포는 세포질이 전체적으로 호산성이었으며 난황포가 세포질 전체에 분포하였다. 성숙한 난자는 난자의 크기가 상당히 커졌으며 난막이 두꺼워졌다. 또한 난황포는 난황괴(yolk mass)로 전환되었다. 이상과 같이 쉬리의 난자형성과정은 난세포의 크기 증가, 난황낭의 축적, 세포질 내 염기성 물질이 산성으로 전환 및 난막의 발달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다른 과의 담수경골어류와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어종의 종특이성을 찾기 위해서 난막의 미세구조적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개방형 우물 구조를 이용한 마이크로머신형 pH 센서 (Micromachined pH Sensor Using Open Well Structures)

  • 김흥락;김영덕;정우철;김광일;김동수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47-353
    • /
    • 2002
  • 수용액에 포함된 수소이온$(H^+)$의 농도를 측정하는 유리 전극형 수소이용 농도(pH) 센서의 기본 구조를 bulk micromachining 기술로 구현하여 소형의 pH 센서를 제작하였다. 박막 증착이 가능한 경사 식각으로 개방된 2개의 기본 구조물을 형성하고, 일정 전위를 유지하기 위한 기준전극은 식각된 구조물 경사면에 박막형 Ag/AgCl으로 확보하였다. $H^+$과 교환 반응으로 전위를 발생시키는 감응부는 Na이 20%이상 포함된 glass로 $100{\mu}m$ 내외로 미세 연마하여 기본 구조물에 접합하여 완성하였다. 또한 외부 용액과 기준 용액의 혼합을 방지하면서 전류 도통 역할을 하는 액간 접촉부는 $50{\mu}m{\times}50{\mu}m$ 크기의 Si 이방성 식각 부분에 한천을 삽입하고 난 다음 기존의 구조물에 접합하여 형성하였다. 각 구조물을 완성한 다음 2M 농도의 KCI 기준 용액을 구조물에 채우고, 상용 에폭시로 센서 구조물을 밀봉하여 센서를 완성하였다. 제작된 pH 센서들은 표준 pH 용액에 대하여 약 90mV/pH의 전위값이 측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