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mbrane contamination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9초

광귤 추출물의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한 항균 메커니즘 및 샐러드 세척 효과 (Antibacterial Mechanism and Salad Washing Effect of Bitter Orange Extract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 지윤미;배지윤;김충환;오세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73-280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항균제인 광귤 추출물의 항균 활성과 항균 메커니즘을 조사해 즉석섭취식품인 샐러드에서 Salmonella Typhimurium을 제어하기 위한 세척수로써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액체배지희석법으로 S. Typhimurium에 대한 광귤 추출물의 최소 억제 농도(MIC)를 구했다. 그런 다음 다양한 농도(1/16 MIC-2 MIC)에 해당하는 광귤 추출물에 S. Typhimurium을 접종하고 성장곡선을 분석해 대조군과 성장값을 비교하여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광귤 추출물을 처리한 후, S. Typhimurium의 세포 내 활성산소종 수준과 막 전위 및 손상도의 변화, 핵산 누출량을 측정하여 광귤 추출물의 항균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S. Typhimurium을 인위적으로 접종한 샐러드에 다양한 농도의 광귤 추출물을 다양한 시간 동안 침지 방법으로 항균 처리하여 저감화 효과를 확인했다. S. Typhimurium에 대한 광귤 추출물의 MIC는 195.313 mg/L으로, 1 MIC와 2 MIC의 광귤 추출물은 S. Typhimurium의 성장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광귤 추출물의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세포 내 ROS 수준과 막 전위, 막 손상도 그리고 핵산 방출량은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세척수인 광귤 추출물의 농도가 높고 처리 시간이 길수록 샐러드의 S. Typhimurium의 수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광귤 추출물은 S. Typhimurium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광귤 추출물은 차아염소산나트륨과 비교하였을 때 효과적인 항균 활성을 보이며 안전한 샐러드 세척수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샐러드와 같은 식품에서 광귤 추출물이 식중독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수술에 사용하는 생리식염수의 오염수준 변화 (A Study on the Contamination of Saline Used in the Operation)

  • 윤혜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9-109
    • /
    • 1995
  • Post-operative wound infections have been the serious problems in nursing care in the operating room and appear to be strongly related to the infection occurring during the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contamination in saline used in the operation and als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aminated saline and the length of the operation, and unclean atmospheric factor. Subjects for this study include 13 cases of operation performed at the operative theatre of a hospital in Seoul area. Test samples and rel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this medical facility between Oct. 6 through Dec. 10, 1994 by the author and anurse who worked in the operating room. For the study, multiple batches of saline sample were collected at the various time intervals duringthe operation and filtered through the membrane filters. Viable microorganisms retained on the filters were cultured on the appropriate culture media and the levels of existing cells in saline were enumerated according to Koch's method. In the analyses of the dat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obtained for the examin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operation and numbers of microorganisms existing in saline and for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in numbers if microrganisms in saline sample collected at the various operative stages, e. g. pre-incision, excision and skin suturing stages, ANOVA and Scheff Test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enth of the operation and numbers of microorganisms in the saline used in the operation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r=0.5467, P<0,001). 2) In case of saline exposed to air, but not used in the operation, the length of exposure to the air and the numbers of microorganisms present in saline also showed an apparent correlation(r=0.5087, P<0. 001). 3) The frequencies of occurrence of microorganisms in saline used in the operation and in saline exposed only to the air in the given tim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t=3.73, p=.0000). 4) In case of saline used in the operation,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its numbers of contained microorganisms between the operative stages ; pre-incision, excision, and skin suture (F=17.7500, p=.0000). 5) In case of saline exposed only to the air in the given tim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its numbers of contained microorganisms between the operative stages . pre-incision, excision, and skin suture(F=6.3807, p=.00031).

  • PDF

느타리버섯에서의 Pseudomonas tolaasii오염 연구 (Study on the Contamination of Pseudomonas tolaasii in Oyster Mushroom)

  • 이혜영;장금일;김광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2-240
    • /
    • 2001
  • 시장에서 수집한 갈변병에 감염된 느타리버섯으로부터 125 균주를 분리하였고 그 중 45 균주는 병원성 균주로 조사되었다. WLFO 6 strains, WLFO 6 strains으로 나타났고, WLRO의 몇 균주는 병원성 검정 실험에서 약한 병원성을 나타내기도 했다. WLFO 6균주는 모두 느타리버섯의 갈변병 주원인균으로 알려진 P. tolaasii로 미생물 신속 동성을 (MIDI, gas chromatograph-microbial identification system)에 의해 동정되었고 WLRO는 P. gingeri, P. fluorescens biotype A and type C. 로 동정되었다. 그 외의 선발된 Pseudomonas spp.는 P. gingeri, P. agarici, P. fluorescens biotype B, P. chloroaphis, non-pathogenic P. tolaasii, P. putida biotype A, B 등으로 동정이 되었다. 분리된 병원성 세균의 세포배양 여과액으로 버섯에서의 갈변과 조직 함몰을 실험하였다. 병원성 검정에서 약한 병원성을 보인 분리균들은 갈변 또는 조직함몰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강한 병원성을 나타냈던 균들은 두 현상이 모두 나타났다. P. tolaasii에 의해서 생성되는 세포외독소인 tolaasin의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600 nm에서 용혈 활성을 측정하였다. P. tolaasii로 동정된 6 균주는 0.8∼0.9, 약한 병원성의 WLROs는 0.9∼1.0 그리고 Pseudomonas spp.는 10∼1.2로 나타났다. 공초점 현미경 기술을 이용하여 신선한 버섯에서의 조직을 optical sectioning image와 vertical sectioning image로 관찰하였고 또한 P. toiaasii에 의하여 오염된 조직부위의 영상을 회득하였다.

  • PDF

PFC제염폐액 내의 미립자 제거를 위한 여과막의 특성 연구 (Membrane Characteristics for Removing Particulates in PFC Wastes)

  • 김계남;이성열;원휘준;정종헌;오원진;박진호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49-157
    • /
    • 2005
  • 원자력연구시설의 핫셀 내 바닥이나 장치표면에 부착된 고방사능분진의 제거를 위해서 PFC제염기술을 적용한다. 고가인 PFC 용액의 재사용을 위해서는 여과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고 제염종료 후 이차폐기물의 양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PFC 제염폐액 내 방사성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핫셀 내의 고방사능분진의 오염 특성을 조사했다. 여과 막을 이용한 입자의 제거효율 측면에서 보면 세라믹 , PVDF, PP 막 모두가 95$\%$ 이상의 높은 여과 성능을 보였다. 기공 크기가 같은 동일 여과 막에서는 입자가 크거나 가하는 압력이 높을수록 좀더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내었고, 3psi이하에서는 PVDF의 제거효율이 다른 막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플럭스 성능은 PVDF 막이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 세라믹과 PP 막에서는 다소 낮은 성능을 보였다. PVDF 막은 낮은 압력과 짧은 여과시간으로 최대(한계)플럭스에 도달함을 확인하였다. 세라믹 막은 모의입자의 제거 효율은 높지만 다소 낮은 Flux 성능을 나타냈다. 또한, 막 자체의 비싼 가격과 쉽게 부서지는 성질의 단점을 지니고 있지만 무기화합물의 재질로 되어있기 때문에 알파방사능 환경에서 H, 가스를 발생하는 고분자 막인 PVDF, PP 막과 비교하여 훨씬 안정적이었다. 그리고 이들 소수성 여과막들의 특성 비교를 바탕으로 세라믹 막을 적용한 PFC 실증 여과장치의 공정도를 살펴보았다.

  • PDF

장구균 검출 배지 개발 (Development of selective media for Enterococci)

  • 장동호;윤준범;이근헌;박경량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5-31
    • /
    • 2016
  • 분변오염의 지표가 되는 장구균을 검출하기 위하여 장구균 선택 배지를 개발하였다. 기존에 알려진 여러 장구균 검출배지 중 총 9종류(Enterococci Confirmatory agar, Azide dextrose agar, Bromocresol-purple azide agar, Esculin bile agar, Citrate azide tween carbonate agar, KF Streptococcus agar, BROLACIN agar, Kanamycin esculin azide agar, Membrane filter Enterococcus selective agar)의 배지를 선별하였고, 배지 성분을 적절히 조합하여 새로운 배지 Enterococcus Mixed medium을 개발하였다. 배지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장구균 6종류(Enterococcus avium KACC 10788, Enterococcus faecium KACC 11954, Enterococcus saccharolyticus KACC 10783, Enterococcus durans KACC 10787, Enterococcus faecalis KACC 11304, Enterococcus hirae KACC 10779)와 비장구균 3종류(Escherichia coli KACC 10005, 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KACC 10768, Bacillus subtilis KACC 10111)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새롭게 개발된 장구균 검출배지에서 비장구균의 생장이 억제된 반면에 장구균 6종류는 모두 생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환경시료에서 장구균을 분리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하천과 바다에서 채취해온 시료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장구균의 생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배지를 이용하면 수질 분변오염의 지표가 되는 장구균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신생아에서 나타난 아메바증 1례 (A case of amebiasis in the newborn period)

  • 박지영;배승영;김동환;최창희;조은영;최정훈;김선미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4권1호
    • /
    • pp.111-115
    • /
    • 2007
  • 본 저자들은 발열과 점액성 혈변을 보인 신생아에서 대변 현미경 검사를 통해 이질아메바를 진단하고 metronidazole 경구 투약 후 증상의 호전과 이질아메바의 제거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Effect of virus infectivity titer following centrifugation and filtration during virus extraction from fish samples

  • Kim, Wi-Sik;Kim, Jong-Oh;Oh, Myung-Joo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3-116
    • /
    • 2015
  • A $0.45-{\mu}m$ membrane filter is generally used to remove bacterial contamination during virus extraction from fish samples. However, the number of fish viruses is drastically reduced after filtration with a $0.45{\mu}m$ filt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filters on virus infectivity titer and the change in virus titer and bacterial number following different centrifugation conditions to determine a suitable procedure for virus extraction from fish samples. $10^{4.05}$ and $10^{5.05}TCID_{50}/ml$ of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IHNV) and $10^{4.05}$ and $10^{4.55}TCID_{50}/ml$ of Oncorhynchus masou virus (OMV) were not detectable after filtration with two types of $0.45-{\mu}m$ filters, except the IHNV titer was reduced by about 10 fold after filter use (company A).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virus titer following centrifugation at $880{\times}g$ (30 min) or $3,500{\times}g$ (30 min), whereas IHNV and OMV titers were reduced by about 10 and 10-1000 fold by centrifugation at $14,000{\times}g$ (30 min) and $14,000{\times}g$ (10 and 30 min), respectively. A total of 97.7-99.9% Escherichia coli were eliminated by centrifugation at $880 {\times}g$ (30 min) and $3,500{\times}g$ (30 min). These results show that fish viruses were affected by filtering, even though the effect differed by virus species and filter type. Therefore, centrifugation at $3,500{\times}g$ (30 min) and use of medium with antibiotics may be useful for virus extraction along with a reduction in bacteria.

분자생물학적 방법인 PCR-REBA를 이용한 대중목욕탕 수질 중 수인성병원성미생물 검출 (Detection of Waterborne Pathogens in Public Bath Houses by PCR-Reverse Blot Hybridization Assay (PCR-REBA))

  • 송운흥;최승구;양병선;이재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517-3522
    • /
    • 2011
  • 수인성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공중목욕탕의 오염은 질병발생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중목욕탕내에 존재하는 수인성 병원성미생물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지역내의 30 곳 공중목욕탕에서 욕조수 시료를 채수하여 진행하였다. 수인성 병원성미생물의 검출은 0.45 ${\mu}m$의 여과막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배양방법으로 분리 및 동정하였다.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사용하기 위해 미생물학적인 배양을 하지 않고 핵산을 추출하여 16S rRNA유전자를 표적으로 polymerase chain reaction-reverse blot hybridization (PCR-REBA)을 실시하였다. 미생물학적 배양방법에서는 지표세균인 Escherichia coli와 Shigella spp.가 검출되었으며, 분자생물학적 기법인 PCR-REBA을 수행한 결과 E. coli, Shigella spp., Salmonella spp., Pseudomonas spp., Mycobacterium spp. 등의 수인성 병원성미생물이 7곳에서 검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중목욕탕의 욕조수내에 수인성병원성미생물에 의한 감염을 줄이기 위해 적절한 위생관리과 E. coli를 포함한 유해미생물을 선정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공기 중 SO2에 의한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의 성능 감소 (Decrease of PEMFC Performance by SO2 in Air)

  • 이호;송진훈;김기중;김세훈;안병기;임태원;박권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3호
    • /
    • pp.311-315
    • /
    • 2010
  • 공기 오염에 의해 $SO_2$가 포함된 공기가 PEMFC cathode에 유입되어 전극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오염된 공기 접촉 후 저하된 성능회복을 위해 청정공기 유입, 순환전압측정법(cycle voltammetry, CV), 고전압 체류법(high voltage holding)을 사용하였다. 공기에 혼합된 $SO_2$농도 범위는 20 ppb~1.3 ppm이었다. 성능 감소 및 회복 측정은 일정전류에서 전압변화를 측정하는 방법, I-V 분극곡선 측정법, 임피던스측정법을 이용하였다. 20 ppb 농도로 $SO_2$를 200시간 주입 후 전지 전압은 주입 전보다 17 mV 감소하였다. 청정공기 주입, CV, 고전압체류방법에 의해 S가 Pt로부터 탈착되어 전지성능은 일부 회복되었다.

수소연료 중의 메탄에 의한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성능변화 연구 (The Effect of Methane in Hydrogen on the Performance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 서중근;권준택;김준범;정종태;김우식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432-438
    • /
    • 2007
  • The reforming process for hydrogen production generates some impurities. Impurities in hydrogen such as $CO_2$, CO, $H_2S$, $NH_3$ affect fuel cell performance. It is well known that CO generated by the reforming process may negatively affect performance of cell, cause damage on catalysts resulting performance degradation. Hydrogen produced by reforming process includes about 2% methane. The presence of methane up to 10% is reported negligible degradation in cell performance. However, methane more than 10% in hydrogen stream had not been researched. The concentration of impurity supplied to the fuel cell was verified by gas chromatography(GC).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CH_4$ on performance of PEM fuel cell was investigated by means of current vs. potential experiment, long run(10 hr) test and electrochemical impedance measurement when the concentrations of impurities were 10%, 20% and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