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amine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32초

수지가공시 중에 잔존한 유리 Formaldehyde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free formaldehyde remained in resin finished fabrics)

  • 송화순;조승식;김성련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25-131
    • /
    • 1978
  • This study was intended to clarify (1) the release of free formaldehyde (2) transfer of free formaldehyde to the contacted fabrics during storing, and (3) the removal effect of free formaldehyde by washing from resin finished fabr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The decrease rate of free formaldehyde content in fabrics was higher during storing in open air, poly bag, and glass tube in descending order and the content of free formaldehyde in fabrics was decreased in glyoxal resin finished but, increased in Melamine M-3 resin finished when the fabrics was stored in polybag and in glass tube. 2. Increased amount of formaldehyde transfer to contacted fabrics was noted with Melamine M-3 resin finished than that of glyoxal resin finished. Increased amount of formaldehyde transfer as well as more free formaldehyde were noted in cotton fabrics than in polyester/ cotton blend. 3. The effect of removing free formaldehyde from the fabrics was better in case of solid alkaline soap, synthetic alkaline powdered detergents, neutral detergents in descending order. The romoval of free formaldehyde was marked after the 1st washing and almost no increase in free formaldehyde was found after three times of washing. 4. After first washing, the content of formaldehyde in Melamine M-3 resin finished fabrics increased more rapidly than that of glyoxal resin finished fabrics in condition of closed storing.

  • PDF

다양한 아민 단량체로 합성한 무색투명 폴리이미드 필름 특성 (Characterization of Colorless and Transparent Polyimide Films Synthesized with Various Amine Monomers)

  • 최일환;장진해
    • 폴리머
    • /
    • 제34권5호
    • /
    • pp.480-484
    • /
    • 2010
  • 무수산인 4,4'-(4,4'-isopropylidene-diphenoxy)bis(phthalic anhydride)(BPADA)와 아민계인 2,2'-bis(trifluoromethyl)benzidine(TFB), bis(3-aminophenyl)sulfone(APS), 4,4'-methylene-bis-(2-methylcyclohexylamine)(MMCA), bis[4-(3-aminophenoxy)phenyl]sulfone(BAPS)에 melamine을 각각 5 몰%로 반응시켜 N,N'-dimethylacetamide(DMAc) 용매 속에서 폴리아믹산(poly(amic acid), PAA)들을 얻었다. 용액 상태의 PAA를 캐스팅하여 각각 다른 반응 온도에서 열처리를 통해 무색 투명한 폴리이미드(PI) 필름을 얻었다. PI의 열적 성질, 광학적 특성을 다양한 아민 구조의 변화에 따라 조사하였으며, 열적 성질은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 thermogravimetric analysis(TGA), thermomechanical analysis(TMA)를 이용해 측정하였고, 광학적 투명도는 색차계(spectrophotometry)를 이용하였다. 제조된 모든 필름의 열 팽창계수는 $48.53-64.24ppm/^{\circ}C$ 사이의 값을 얻었으며, 모든 필름 시료의 노란색 지수(yellow index, YI)는 3 이하를 나타내었다.

목재의 기계적 성질, 내마모성 및 난연성 개선을 위한 진공가압 멜라민 수지함침처리 (Vacuum Pressure Treatment of Water-Soluble Melamine Resin Impregnation for Improvement of Mechanical Property, Abrasion Resistance and Incombustibility on Softwood)

  • 오승원;박희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792-797
    • /
    • 2015
  • 진공가압 수지함침 처리에 의한 목재의 휨강도, 경도 및 내마모성 향상을 위하여 침엽수 3수종에 수용성 멜라민 수지를 수지농도와 처리시간별로 진공가압 처리한 후 수지함침 열압축목재(compreg)를 제조한 다음 물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같은 수종에 수용성 난연제를 도포처리하는 방법과 진공가압 후 열압처리 방법으로 제조한 다음 난연성 향상정도를 측정하였다. 수지의 농도가 높을수록 휨강도 및 브리넬 경도는 증가하였고 내마모성은 향상되었으나, 처리시간과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난연성은 도포시험편 보다 진공가압처리 시험편이 총 방출열량이 감소하여 진공가압처리에 의한 난연성 개선 방법이 효과가 있었다.

Comparison of Formaldehyde Emission of Wood-based Panels with Different Adhesive-hardener Combinations by Gas Chromatography and Standard Methods

  • Eom, Young Geun;Kim, Sumin;Baek, In-Chan;Kim, Hyun-Jo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2호통권130호
    • /
    • pp.29-39
    • /
    • 2005
  • Formaldehyde emissions from wood-based panels bonded with pine and wattle tannin-based adhesives, urea-formaldehyde resin (UF), melamine-formaldehyde resin (MF), and co-polycondensed resin of urea-melamine-formaldehyde (UMF) were measured by the Japanese standard method using a desiccator (JIS A 1460) and the EN 120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1991) method using the perforator value. In formaldehyde emission, all particleboards made using the wattle tannin-based adhesive with three different hardeners, paraformaldehyde, hexamethylenetetramine, and tris(hydroxyl)nitromethan (TN), satisfied the requirements of grade $E_1$. But only those made using the pine tannin-based adhesive with the hexamine as hardener met the grade $E_1$ requirements. Hexamine was effective in reducing formaldehyde emission in tannin-based adhesives when used as the hardener. While the UF resin showed a desiccator value of $7.1mg/{\ell}$ and a perforator value of 12.1 mg/100 g, the MF resin exhibited a desiccator value of $0.6mg/{\ell}$ and a perforator value of 2.9 mg/100 g. According to the Japanese Industrial Standard and the European Standard, the formaldehyde emission level of the MDF panels made with UF resin in this study came under grade $E_2$. The formaldehyde emission level was dramatically reduced by the addition of MF resin. The desiccator and perforator methods produced proportionally equivalent results. Gas chromatography, a more sensitive and advanced method, was also used. The samples for gas chromatography were gathered during the experiment involving the perforator method. The formaldehyde contents measured by gas chromatography were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perforator values.

시멘트페이스트 수화 반응에 미치는 고유동화제의 영향성에 관한 연구 (Effect of Various Superplasticizers on the Hydration of Cement Paste)

  • 신진용;김재영;홍지숙;서정권;이영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019-1024
    • /
    • 2005
  • 4종의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리그노 술폰산, 나프탈렌 술폰산 축합물, 멜라민 술폰산 축합물, 폴리카복실레이트계)가 시멘트 수화 반응에 미치는 영향성을 평가하고자, 각각의 고유동화제들이 적용된 시멘트페이스트 경화 시편을 활용해 X-선 회절분석(XRD), 주사전자현미경(SEM), 그리고 열분석(DSC) 분석을 실시하였다. 고유동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plain과 비교해 고유동화제를 첨가한 시편의 경우, 고유동화제의 종류 및 사용량에 관계없이 3일까지 수화 반응은 지연되었으나, 이후 재령에서는 고유동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plain과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특히 고유동화제 사용량이 높아질 경우 수화 지연성은 커졌고, 리그노 술폰산, 폴리카복실레이트, 멜라민, 나프탈렌 술폰산 축합물 순으로 시멘트페이스트 초기 수화를 지연시켰다. 그러나, 이들 고유동화제를 사용할 경우, 시멘트의 분산성을 개선시켜 수화 생성물이 보다 치밀하고 균일했다.

폴리카보네이트 분자량이 폴리에스터/멜라민 경화형도료의 도막 성형성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rmability of Physical Properties of Polyester/Melamine Cured Coating Using Polycarbonate Diol with Various Molecular Weight)

  • 이용희;문제익;김현중;이재영;노승만;남준현
    • 접착 및 계면
    • /
    • 제12권4호
    • /
    • pp.105-110
    • /
    • 2011
  • 폴리에스터/멜라민 경화형 도료는 기계적 물성, 내화학성 및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여 pre-primed 도료 및 pre-coated metal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스터 수지 도료의 경화 도막은 강인하지만 유연성과 성형성이 낮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olycarbonate diol의 long alkyl chain을 폴리에스터 분자 구조 내에 연결시켜 경화 도막의 성형성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성형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터 도료의 선도장 강판용 도료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분자량이 경화 도막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인장강도와 점탄성을 측정하였으며, 성형성을 확인하고자 drawing test를 실시하였다.

Poly(Imide) Separator Functionalized by Melamine Phosphonic Acid for Regulating Structural and Thermal Stabilities of Lithiumion Batteries

  • Ye Jin Jeon;Juhwi Park;Taeeun Yim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365-372
    • /
    • 2024
  • As the energy density of lithium-ion batteries (LIBs) continues to increase, various separators are being developed to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safety performance. Although poly(imide) (PI)-based separators are widely used,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ir pore size and distribution, and this may further increase the risk associated. Herein, a melamine phosphonic acid (MP)-coated PI separator that can effectively control the pore structure of the substrate is suggested as a remedy. After the MP material is embedded into the PI separator with a simple one-step casting process, it effectively clogs the large pores of the PI separat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internal short circuits during charging. It is anticipated that the MP material can also suppress rapid thermal runaway upon cycling due to its ability to reduc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LIB cell caused by the desirable endothermic behavior around 300℃. According to experiments, the MP-coated PI separator not only decreases the thermal shrinkage rate better than commercial poly(ethylene) (PE) separators but also exhibits a desirable Gurley number (109.6 s/100 cc) and electrolyte uptake rate (240%), which is unique. The proposed separator is electrochemically stable in the range 0.0-5.0 V (vs. Li/Li+), which is the typical working potential of conventional electrode materials. In practice, the MP-coated PI separator exhibits stable cycling performance in a graphite-LiNi0.83Co0.10Mn0.07O2 full cell without an internal short circuit (retention: 90.3%).

멜라민계 고유동화제의 다양한 조건에서의 합성 및 응용 (Synthesis and Application of Melamine-Type Superplasticizer at the Different Synthetic Conditions)

  • 윤성원;신경호;노재성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811-818
    • /
    • 2005
  • 플래쉬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유동성 감소는 유기 화학혼화제의 종류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유기화학 혼화제는 콘크리트의 물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술포네이트 나프탈렌 포름알데하이드(SNF, Sulfonated Naphthalene-Formaldehyde) 고유동화제(superplasticizer)가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유동성 감소의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술포네이트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SFM, Sulfonated Melamine-Formaldehyde) 고유동화제를 합성하여 SNF 고유동화제의 물리적 특성을 보완하고자 한다. SNF계 고유동화제를 4단계로 나누어 반응을 진행하였고, Step.1은 hyydroxymethylation 단계이고, Step.2는 sulfonation단계이고, Step.3은 중합단계이고, Step.4는 안정화 단계이다. SMF 고유동화제의 합성은 pH, 반응온도 및 반응시간에 영향을 받는다 본 합성에서 우리는 멜라민과 포름알데하이드의 몰비를 1:3, 1:4로 변화시키고, Step. 3에서 촉매의 양을 조절하면서 반응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SMF 고유동화제 및 SNF계 고유동화제와 혼합한 시료에 대해서 시멘트 대비 0.5, 1.0, 1.5wt% 첨가하여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고유동화제를 첨가한 시료는 첨가하지 않은 시료 CEM보다 높은 압축강도, 슬럼프 값을 나타내었고, 미세한 기공과 낮은 기공율을 보였다.

멜라민 수지 조리기구 중 formaldehyde 및 phenol의 이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gration of Formaldehyde and Phenol from Melamine-wares)

  • 오재명;안미경;김진철;신동우;박창원;김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1-25
    • /
    • 2014
  • 멜라민수지 조리기구 제조에 사용되는 formaldehyde와 phenol의 경우 식품에 이행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멜라민수지 조리기구 222건에 대하여 formaldehyde와 phenol의 식품유사용매로의 이행량을 조사하였다. 멜라민수지 조리기구는 컵(14), 공기(75), 접시(85), 숟가락(10), 젓가락(4), 식판(8), 주걱(4), 뒤지게(9) 및 국자(12)등을 수거하였다. 식품유사용매로는 물, 4% 초산, 20% 에탄올, n-헵탄을 사용하였다. 한국의 멜라민수지 기구 및 용기 포장 중 formaldehyde와 phenol의 용출기준은 각각 4 mg/L, 5 mg/L 이며, 수거된 222건 멜라민수지 조리기구 모두 기준 규격에 적합하였다. 멜라민수지 조리기구 중 formaldehyde와 phenol의 이행량은 각각 $N.D{\sim}2,949{\mu}g/L$, $N.D{\sim}78{\mu}g/L$이었다. 위 분석결과는 멜라민수지 기구 및 용기 포장의 안전관리의 과학적 근거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