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um maturing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과 중국 길림성 재래종 들깨의 작물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Perilla (Perilla ocimoides L.) Collected from Korean and Chinese Jilim Province)

  • 김인재;김민자;이철희;윤태;박성규;이우영;남상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9-185
    • /
    • 2005
  • 들깨 유전자원을 평가하여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85점, 중국 길림성 5점을 수집 2001년에 충북농업기술원에서 재배하고,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국내 들깨 수집종 85점은 조생종이 19개로 전체의 $23\%$, 중생종이 57개로 $67\%$, 만생종이 9개로 $10\%$였는데, 조생종은 주로 중북부지역 수집종이었고, 만생종은 주로 남부평야 지역에서 수집된 것들이었으며, 중생종은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었으나, 중국 길림성 수집종은 모두 조생종이었다. 1,000립중은 국내 수집종에서는 평균 2.79이었는데, 경남 함양종이 3.9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강원 평창종은 1.7g으로 극소립종이었고, 대부분 중${\cdot}$소립종이었다. 입중이 무거울수록 만생종인 경향이었다. 중국 수집종은 평균 2.6g이었으며, $2.2\~3.1g$으로 국내 수집종에 비하여 립중이 다양하지 않았다. 종피색은 국내 수집종의 암갈색이 $30\%$, 갈색이 $55\%$ 그리고 회갈색이 $6\%$로 갈색계통이 전체의 $91\%$였다. 회백색 계통이 경장이 길고, 립중이 무거웠다. 중국 수집종은 암갈색이 $20\%$, 갈색이 $80\%$이었다. 경장과 절수, 분지수와 화방군수는 국내${\cdot}$중국 수집종 모두에서, 화방군 당 삭수와 화방군장은 국내 수집종에서, 1,000립중과 성숙기, 화방군수와 경장, 절수는 중국 수집종에서 상호간에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었으며, 화방군 당 삭수와 1,000립중과는 국내 수집 종에서, 화방군장과 경장, 분지수, 절수, 화방군수와는 중국 수집종에서 유의한 부의 상관이었다.

남부지역 논의 밀 이모작에서 하계 곡실작물 도입의 적합성 (Compatibility of Double Cropping of Winter Wheat - Summer Grain Crops in Paddy Field of Southern Korea)

  • 서종호;황정동;오성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18-28
    • /
    • 2021
  • 남부지역 논에서 식량작물을 최대로 생산하기 위해 밀양시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2015~2018년의 4년 동안 겨울밀-벼, 겨울밀-콩 및 겨울밀-곡실용옥수수의 이모작 체계의 생육기간 및 생산성을 비교하였다. 밀의 수확적기는 6월 중순으로 하작물은 6월 하순에 파종(이앙)이 가능하였다. 벼의 6월 하순 이앙 시 안전출수와 벼의 수량성 확보에는 지장이 없었지만 가을에 성숙기가 늦어 뒷그루 밀 파종에는 지장이 많았으며, 특히 중만생종 벼의 경우 수확기가 11월 상순으로 늦추어져 밀의 적기파종이 어려웠다. 콩은 6월 하순이 파종적기이므로 작기상 큰 문제가 없었으며 성숙기도 10월 중순으로 11월 상순의밀 파종에 큰 무리가 없었다. 곡실용옥수수는 6월 하순 파종 시 성숙기가 가장 빨라 밀과의 이모작에서 작기상 가장 유리하였다. 겨울밀-하작물 이모작에서 밀은 콩과 곡실용옥수수 후작에서는 안정적인 수량성을 얻을 수 있었지만 벼의 후작에서는 강우가 많은 해에는 수량이 감소할 위험성이 있었다. 벼, 콩, 곡실용옥수수의 수량성은 각각 600, 350, 800 kg/10a로 높은 수량성 확보가 가능하였고 중생종과 중만생종간의 수량성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중생종이 만생종보다 이모작에 유리하였다. 토양 물리성에서도 콩과 옥수수 등 밭작물의 도입 시 물리성이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부지역 논에서 밀-콩/곡실용옥수수 이모작은 작기 연결성 및 토양개선, 소득성(콩)에서 밀-벼 이모작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래벼 '자광도' 유래 고품질 벼 '중모1033' ('Jungmo1033', a Derivative of High-quality Native Rice Variety 'Jagwangdo')

  • 정응기;원용재;안억근;현웅조;조영찬;서정필;오명규;이점호;홍하철;이충근;전용희;정지웅;정희채;김보경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34-40
    • /
    • 2019
  • '중모1033'은 중부지역 적응하는 고품질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2002년 하계에 우리나라 재래종 벼로서 밥맛이 좋고 쌀의 외관 품위가 우수한 '자광도'와 중만생이고 흰잎마름병과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 품종 '화영'를 인공교배하여 육성계통 세대 진전 후 SR28254-12-3-1-1계통을 선발하여 수원547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지역적응시험 3년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3년 12월 농촌진흥청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재래벼를 이용한 중간모본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중모1033'으로 명명되었다. '중모1033'의 출수기는 보통기 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8월 10일로 '화성'보다 2일 늦은 중생종이고, 벼 간장은 79 cm로 '화성'보다 5 cm 작은 준단간이며, 이삭길이는 22 cm로 2 cm길고, 주당 이삭수 13개로 화성과 같은 특성이나, 이삭당 입수는 105개로 '화성'보다 많았다. 등숙률은 83.7%로 '화성'보다 낮았으며, 현미 천립중이 21.8 g으로 중소립종이다. '중모1033'은 도열병에 저항성을 보였고, 흰잎마름병은 K1, K2, K3 균계에 저항성을 보였으며, 줄무늬잎마름병에도 저항성을 보였지만, 오갈병 및 멸구류에 대한 저항성은 없었다. '중모1033'은 수발아가 43.5%으로 화성보다 높은 단점을 보였지만 내냉성은 '화성'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중모1033'의 백미외관은 심복백이 전혀 없는 맑고 투명 쌀의 외관품질 특성을 보였다. 알칼리붕괴도는 6.5, 단백질함량은 6.3%, 아밀로스함량은 19.1%로 '화성'하고 비슷한 쌀의이화학적 특성을 보였고, 관능검정에서 밥맛은 -0.05로 '화성'하고 비슷한 품종이었다. 제현율, 현백률 및 도정률은 '화성'과 비슷하였으나 도정된 쌀의 백미완전립률이 94.8%로 '화성'의 86.3%보다 높은 편이었고 완전미도정수율도 70.1%로 '화성'보다 우수한 도정특성을 보였다. '중모1033'의 쌀수량은 중부평야지와 중서부해안지 등 11개 지역에서 보통기 보비재배 평균 5.38 MT/ha로 '화성'의 5.08 MT/ha 보다 6% 높았다.

밤나무 종실에 발생하는 탄저병균의 분리 및 친환경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 Isolation of Chestnut Diseases by Colletotrichum Goeosporioides)

  • 김영재;강길남;김종우;김영명;이상현;홍석일;이재준;이현수;김영권;박인서;조용구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25-736
    • /
    • 2013
  • 본 실험에 사용한 C. gloeosporioides는 밤나무 재배단지에서 탄저병 증상을 보이는 밤나무 종실로부터 분리하였고, ITS 영역 유전자의 염기서열 및 형태하적 분석을 통하여, C. gloeosporioides로 동정하였다. 병원성 검정실험에서, 80% Eucalyptus oil 및 B. subtilis GG95 10배액 처리구가 C. gloeosporioides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하였고, 최종배합은 Eucalyptus oil 40%, B. subtilis GG95 40% 외 제제화용 첨가제 20%로 하였다. 2012년도 포장실험에서, 자봉 품종 시제품 500배 4회 처리구의 방제가는 무처리구 대비 60.9%로 조사되었고, 2013년도 포장실험에서, 자봉 품종의 방제가는 250배 처리구가 71.2%로 가장 높았다. 조생종 및 중생종보다 만생종에서의 방제가 69.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착과이후 종실이 작을 때부터 약제 처리를 하면, 방제가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포장 500배 4회 처리후 수확물인 조생종 단택에서는 $4^{\circ}C$ 저장에서의 방제효과는 약 61.9%로 조사되었고, $25^{\circ}C$ 저장에서의 방제효과는 63.2%의 방제가로 조사되었고, 실내 단태 품종에 대한 방제가는, 250배에서 81.16%, 500배에서 75.36%로 측정되었으나, 1000배의 효과는 낮은 편이므로, 최소한 500배 이상의 처리가 필요시 된다. 상기의 결과를 바탕으로 밤나무 종실에 발생하는 탄저병을 효율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착과 이후 개발제품을 500배 희석농도로 4회 경엽처리하고 수확후 250배로 침지 처리한 후 저장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경기북부지역 콩 생산에 미치는 지구온난화의 영향 (Geographical Shift of Quality Soybean Production Area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by Year 2100)

  • 서희철;김성기;이영수;조영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42-249
    • /
    • 2006
  • 육상생태계에 나타날 수 있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생태계모형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작물생육모형의 경우 포장단위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기후변화정보만 적절한 공간단위로 제공된다면 경관규모에서 상세한 공간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경기북부지역은 청정환경과 함께 고품질 콩 재배에 알맞는 기후지대이지만 기후변화에 의해 이 지역 내 콩 재배단지가 어떤 영향을 받을지 궁금하다. 향후 100년간(2011-2100) 예상되는 기후조건에서 선발된 10ha 이상 규모의 342개 단지를 대상으로 CROPGRO-Soybean에 의해 조중만생 콩 품종의 생육을 모의하였다. 이를 위해 3개 기후학적 평년(2011-2040, 2041-2070, 2071-2100)에 대해 월별 30m 격자형 기후변화 자료로부터 각 재배단지의 일 최고 및 최저 기온, 강수량, 강수일수, 일사량을 추출하고, 각 평년별로 일기상자료를 통계학적 방법에 의해 무작위로 30년치씩 생성하였다. 미래 3개 평년의 기상자료에 의해 생육모형을 구동하여 342개 재배단지의 생장, 발육, 수량특성을 모의한 결과 온난화가 진행될수록 콩의 개화기와 성숙기가 단축되며, 전체적인 생육기간은 $7{\sim}9$일 정도 줄어들었다. 수량은 조중생종의 경우 온난화에 따라 $1{\sim}15%$ 정도 감소하였는데 반해 만생종은 증가 후 감소하였다. 그 결과 현존하는 재배구역의 남북간 생산성 차이가 미래에는 크게 감소하거나 품종에 따라 역전되는 현상이 기대된다.

마우스 난 성숙과정에서의 Thymeleatoxin의 영향 (Effect of Thymeleatoxin on Mouse Oocyte Maturation)

  • 임은아;신지현;최태생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8권3호
    • /
    • pp.187-190
    • /
    • 2004
  • PKC는 그들의 cofactor-requirments에 따라 cPKC, nPKC 그리고 aPKC, 3그룹으로 나어진다. 마우스 난 성숙과정에 있어서 cPKC 및 nPKC의 activators인 PMA의 영향에 대한 많은 결과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각각의 그룹에 대한 차별화된 영향에 대하여는 밝혀져 있지 않다. Mezerein의 analog인 thymeleatoxin은 cPKC의 특이적인 activator로 보고되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specific cPKC activator인 thymeleatoxin의 마우스 난 성숙과정에의 영향을 제1감수분열 재개 능(germinal vesicle break down, GVBD)과 제1 극체 형성 능(1st polar body extrusion)을 조사하여 cPKC및 nPKC activator인 PMA와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GVBD IC50는 thymeleatoxin에서 ~400nM, PMA에서는 ~50nM이었으며, 제1극체 방출의 IC50는 thymeleatoxin에서 ~200nM, PMA에서는 ~20nM이었다. 이들 결과는 Thymeleatoxin의 GVBD나 1st polar body extrusion 저해효과가 PMA에 비하여 1/8~1/10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는 GVBD나 제1극체 형성을 포함하는 난 성숙과정에서 cPKC보다 상대적으로 nPKC의 관여가 깊음을 보여 준다.

간척지에서 파종량 및 질소 시비량에 따른 사료용 피의 생육특성과 사료 수량 (Effect of Seeding and Nitrogen rates on the Growth characters, Forage yield, and Feed value of Barnyard millet in the Reclaimed tidal land)

  • 황재복;박태선;박홍규;김학신;최인배;배희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2호
    • /
    • pp.124-129
    • /
    • 2017
  • 사료용 피 직파재배시 적정 파종량 시험에서 입모수는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많았으며, 입모율은 41-42% 정도였다. 경수도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많았고, 초장은 파종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나 $50kg\;ha^{-1}$에서는 감소하였다. 파종량이 많았던 $50kg\;ha^{-1}$에서 도복지수가 3이었다. 건물중은 파종량 $40kg\;ha^{-1}$에서 가장 높았고, TDN 생산량은 파종량이 적을수록 높았다. 수량반응 곡선상 $36kg\;ha^{-1}$에서 최대수량 건물수량이 추정되었다. 변화 상태의 회귀식은 $Y=0.0098X^2+0.7030X+2.6267$으로 표시되었다. 출수기는 파종량이 많을수록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사료용 피 직파 재배시 질소질 비료 $150-250kg\;ha^{-1}$ 시비에서 건초 수량의 차이는 없었으나, 무시용 대비 건초 수량은 200 및 $250kg\;ha^{-1}$ 시비에서 16.6톤 $ha^{-1}$ 및 16.9톤 $ha^{-1}$로 43% 및 45% 정도 높았다. 조단백질 수량(CP)은 건물수량과 비슷한 경향으로 무질소구에서 0.28톤 $ha^{-1}$이었던 것이 질소 $250kg\;ha^{-1}$ 시비구에서 0.54톤 $ha^{-1}$ 이었다.

Determination and Effects of N and Si Fertilization Levels on Grain, Quality and Pests of Rice after Winter Green-house Water-melon Cropping

  • Cho Young-Son;Jeon Weon-Tae;Bae Soon-Do;Park Chang-Young;Park Ki-Do;Kang Ui-Gum;Muthukumarasamy Ramachandra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74-281
    • /
    • 2006
  • In Korea, rice cultivars have been changing to 'quality' rice rather than high yielding cultivars. However, more than 10% of paddy field has been changed to greenhouse in winter season for cropping of water-melon, oriental-melon, straw berry and et cetra. This experiment has been made to identify the usefulness of critical N and Si fertilization(SF) level to obtain high grain quality rice with reduced insect pest damage by N and SF combination. Before the experiment, watermelon-rice cropping system was maintained for three seasons by farmer from 1998 to 2001. The experiment of N and Si (silicate) fertilization levels was evaluated with Hwayoung-byeo (Oryza sativa L., medium-maturing variety) in 2002 and 2003 in Uiryeong, Korea. Nitrogen fertilization (NF) levels were three and five in 2002 and 2003, respectively, and three SF levels were compared for getting the valuable N/SF level in both years. TOYO-value was positively affected by Si application in N100% plot but it was negatively related with NF level. Normal grain percentage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OYO-value and it was highest in 0N plot and Si plots in N100%. Other appearance qualities like powdered, damaged, and cracked grain,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N fertilization level. SF improved appearance quality in N100% plots but no effects in other treatments. Leaf sheath related diseas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SF but it was negatively related with NF. In conclusion, SF could be improve grain quality at the same yield levels of conventional fertilization and it also could be reduce the diseases damages of rice plant in all N treatments. NF treatment reduced grain quality and improved grain yield at N50% level, however NF above N50% could not get any kind of benefits. So, compared with conventional fertilizer, reduced NF level is recommended for high grain quality with reduced insect pest damage.

Biligrafin 투여 마우스 간세포의 미세구조적 및 세포화학적 연구 (Some Observations on the Organelles Participating in the Biliary Excretion in the Hepatocyte of the Biligrafin Injected Mouse)

  • 김향;신영철
    • Applied Microscopy
    • /
    • 제23권2호
    • /
    • pp.53-77
    • /
    • 1993
  •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probable organelles participating in the secretion of biligrafin. The animals (ICR male mice, 25-30gm) were divided into normal control and 6 biligrafin injected groups to which 30% biligrafin (0.006ml/gm b.w.) were injected at 10, 20, 40, 80, 160 and 320 min prior to the sampling. The mice of each group were perfused through the heart with ice-cold 2.5% glutaraldehyde buffered with 0.1M Na-cacodylate (pH. 7.4) under the Na-pentobarbital (Nembtal 0.0015mg/gm b.w.) anesthesia and liver tissues were taken from each group. Some specimens were immersed 1 hr in the same solution used in the perfusion. After an overnight rinse in 0.1M Na-cacodylate buffer containing 10% DMSO and 7.6% sucrose, $75{\mu}m$ fronzen sections were made for cytochemical study. The sections were incubated in thiamin pyrophosphatase (TPPase) and inosine diphosphatase (ID Pase) media for 70 min at $37^{\circ}C$ respectively and acid phosphatase (AcPase) medium for 40 min at $37^{\circ}C$. They were postfixed in 1 % $OsO_4$ for 1 hr. The other specimens were immersed for 8 hrs in the fixative consisting of 2.5% glutaraldehyde and 3.0% paraformaldehyde buffered with Na-cacodylate (pH. 7.4). All of the osmificated specimens were processed for electron microscopy. In both normal and biligrafin injected groups, endoplasmic reticulum (ER), vacuoles, Golgi apparatus and lysosomes were seen in the vicinity of bile canaliculus. In the biligrafin injected groups, however, the Golgi apparatus appeared to be decreased and ER and vacuoles were dilated and increased.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um (RER) having a few attached ribosomes appeared to be the round saccule, especially at 20 min after biligrafin injection. Smooth endoplasmic reticulum (SER) seemed to be formed by the detachment of ribosomes at the cisternal end of RER. The cistern of SER showed saccules which probably budded off to form the vacuole. The vacuoles were devoid of visible centents. This finding seemed to be in agreement with the biochemical property of the bile constituents. The fusion between the vacuoles and bile canaliculus were frequently seen in the groups injected with biligrafin. The lysosome did not show any changes in the biligrafin injected groups. Accumulation of some material and lipid droplets were seen at the 40 and 80 min after biligrafin injection, especially at the latter. At 160 and 320 min after biligrafin injections, however, they were decreased successively while the RER stack, free ribosomes and polysomes were increased. Although the reactive products of TPPase and IDPase were observed in the ER saccules and vesicles of the normal control and biligrafin injected groups, the fusion between the bile canaliculus and saccules or vesicles could easily be seen in the latter. The AcPase activity, however, was observed in the cistern at the maturing face of Golgi apparatus and lysosomes in both normal and biligrafin group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biligrafin is excreted via the vesicles, vacuoles or sacoules probably derived from the SER without the participation of Golgi apparatus and lysosomes, and the excess amount of material is stored as inclusions during the repairing of the organelles being overactive.

  • PDF

벼 중만생 내병 다수성 신품종 "백설찰" (A Mid-late Maturing, Lodging-Tolerant and Waxi rice Variety "Baegseolchal")

  • 하기용;남정권;고종철;김기영;고재권;김보경;김우재;박현수;신운철;김정곤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52-455
    • /
    • 2008
  • "백설찰" 품종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2007년도에 육성한 내병 다수성 찰벼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중부평야 및 호남, 영남평야의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8월 16일로 신선찰보다 6일 정도 늦은 중만생종이다. 2. 찰벼로 쌀알은 백도가 높고 도정율은 신선찰벼와 비슷하며 알카리 붕괴도가 높아 호화가 잘되는 편이다. 3. 도열병 및 흰잎마름병 레이스 $K_1{\sim}K_3$에는 저항성 반응을 보였으나 줄무늬 잎마름병, 멸구 및 매미충류에는 약한 반응을 보였다. 4. 유묘 내냉성은 신선찰벼보다 강하고 출수지연일수가 짧으며 임실율은 높은 편이다. 5. 쌀수량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5.37 MT/ha로 신선찰보다 11% 증수되었으나 이모작 재배 및 만식 재배에서는 남평보다 10~13% 감수되었다. 6. "백설찰"은 충남이남 평야지 1모작답에 알맞은 품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