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inal value

검색결과 561건 처리시간 0.021초

살균제 처리에 따른 인삼의 지상부 병해 방제효과 (Development of Control System with Fungicides against Diseases of Ginseng Plant)

  • 김주형;이선욱;민지영;배영석;신명욱;김선보;김명기;연초롱;임진영;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164-169
    • /
    • 2007
  • 잿빛곰팡이병은 6월 초순부터 작은 수침상의 병반이 잎에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점무늬병은 7월 초순부터 초기의 병반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두 가지의 병 모두 7월말과 8월 초에 강우일수가 많아지면서 병의 발생이 크게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탄저병 역시 강우가 많아지는 8월 초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9월까지 발생량이 계속 증가하였다. 인삼의 지상부 병의 효율적인 방제를 위하여 살균제 처리 체계를 확립하고자 실험에 사용한 6종의 살균제를 정해진 시기에 7회 처리하고 3종의 식물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인삼 살균제 처리 체계는 병진전 곡선면적에 기초하여 계산하였을 때, 잿빛곰팡이병, 점무늬병, 탄저병에 대해서 61.7, 78.8, 70.5%의 효과를 보였다. 인삼 살균제 처리 체계에서 1차 처리에서 carbendazim/diethofencarb 합제를 처리하지 않은 처리구는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방제가가 36.7%로, 5차 처리에서 difenoconazole을 처리하지 않을 경우에는 점무늬병의 방제가가 28.9%로, trifloxystrobin을 6차 처리에서 처리하지 않으면 탄저병에 대한 방제가가 44.4%로 크게 감소하였다.

농업용 저수지에서 환경 요인이 Microcystis aeruginosa (cyanobacteria)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of Microcystis aeruginosa (Cyanobacteria) in Agricultural Reservoirs)

  • 권오창;박정원;정규영;이종은;서을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1183-1189
    • /
    • 2011
  • 본 연구는 경북 안동시 풍천면에 소재한 농업용 저수지인 호민지와 가곡지에서 수계의 물리 화학적 환경요인이 수화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온, chlorophyll-a, 총질소, 총인, 인산염인의 평균값은 가곡지가 높았다. 반면에 pH의 평균값은 호민지가 높았다. 미량원소 (Na, K, Mg, Fe, Si)의 평균값은 모두 가곡지에서 높았다. 두 저수지에서 수화현상을 일으킨 남조류는 Microcystis aeruginosa였고, 5월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8월에 최대의 현존량을 나타냈다. M. aeruginosa의 현존량 증가와 수질과의 상관관계에서 호민지에서 $Na^+$ (r=-0.910, p<0.05), $Fe^{2+}$ (r=-0.855, p<0.05)와 $Si^{4+}$ (r=0.989, p<0.01)가 현존량 증가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가곡지에서는 $Na^+$ (r=-0.776, p<0.05), $Si^{4+}$ (r=0.899, p<0.05)가 현존량 증가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규조류의 제한요인인 Si가 남조류 현존량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은 매우 특이하다. 결론적으로 수화현상 발생에는 가장 중요한 영양염인 질소와 인뿐만 아니라 여러 요인들의 복합적 작용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Acute Toxicity of CKD-602, a New Anticancer Agent, in Rats

  • Kim, Jong-Choon;Shin, Dong-Ho;Kim, Sung-Ho;Kim, Joon-Kyun;Cha, Shin-Woo;Han, Jung-Hee;Suh, Jeong-Eun;Chung, Moon-Ko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2권1호
    • /
    • pp.43-48
    • /
    • 2004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acute toxicity of CKD-602 by a single intravenous dose in Sprague-Dawley rats. Ten males females were used in each test groups: a vehicle control, 34.7, 4l.7, 50.0, 60.0 and 72.0 mg/kg groups, and were given different single intravenous doses of CKD-602 to the test animals. Mortalities, clinical findings, and body weight changes were monitored for the 14-day period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At the end of l4-day observation period, all animals were sacrificed and complete gross postmortem examinations were performed. One, 1, 2, 8 and 9 cases of deaths occurred in the male dose groups of 34.7, 41.7, 50.0, 60.0 and 72.0 mg/kg, respectively, and 1, 5 and 9 cases in the female dose groups 50.0, 60.0 and 72.0 mg/kg, respectively. An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clinical signs such as alopecia, skin pallor skin ulcerations, emaciation and change of fecal material was found in the both sexes of all treatment groups. A decrease or Suppression in the body weight was also observ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utopsy, male and/or female rats of the treatment groups showed treatment-related gross findings such as splenomegaly, atrophy of the testis, epididymis, seminal vesicles, ovary, uterus and thymus which were dose-dependent in incidence and severity.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a single intravenous injection of CKD-602 to rats caused significant toxicities in gastrointestinal, hematopoietic, and reproductive systems. The $LD_{50}$ value was 53.8 (95% confidence limit: 48.5~60.6) mg/kg for males and 60.l (95% confidence limit: 55.3~65.8) mg/kg for females. The $LD_{10}$ value was 39.9 (95% confidence limit: 3l.7~44.8) mg/kg for males and 50.3 (95% confidence limit: 40.6~54.8) mg/kg for females.

유색감자 홍영 및 자영 추출물의 생물학적 활성 비교 (Comparative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of Colored Potatoes, Hongyoung and Jayoung Cultivar)

  • 강세찬;정명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33-238
    • /
    • 2008
  • 괴경 내부에 적색과 보라색 안토시아닌 색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색상의 기호도 및 건강 기능성으로 인해 소비자로부터 기호도가 증대된 유색감자의 생리적 활성을 검토하기 위해 유색감자로서 괴경 내부가 적색인 홍영, 괴경 내부가 보라색인 자영의 추출물에 대하여 ORAC를 통한 정밀한 항산화력의 비교, NO 억제 및 iNOS, COX-2의 발현 억제 활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유색감자 홍영 및 자영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검정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2\;{\mu}g/mL$ 이하 수준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10\;{\mu}g/mL$을 처리한 경우 시료 간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유색감자 중 괴경 내부의 색상이 적색인 홍영은 ORAC value 0.257, 자영은 ORAC value 0.402로 대조 표준액인 trolox 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지만, 각각의 추출물로부터 유색의 원인이 되는 안토시아닌을 순수 분리하여 활성을 평가할 경우 표준액인 trolox와 동등 혹은 그 이상의 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2. 홍영 및 자영 추출물이 RAW 264.7 세포의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였고, 또한 Western blot으로 분석한 결과 각 추출물에 의한 iNOS 발현 억제는 NO 형성 억제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므로, NO 형성 억제는 iNOS의 발현 저해 경로를 통하여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홍영 및 자영 추출물이 LPS에 의해 형성되는 PGE2를 감소시킬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는 COX-2 단백질의 발현 저해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3. 유색감자 중 괴경 내부가 적색인 홍영품종은 자색인 자영품종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COX-2 발현 단백질 저해효과가 확인되었으며, 괴경 내부가 보라색인 자영품종은 ORAC를 통한 항산화 활성, NO 및 iNOS 억제효과가 홍영 대비 30% 이상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므로, 홍영과 자영 품종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은 서로 다른 기능의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품종별 용도를 구분하여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두충혼합차 개발을 위한 관능검사 및 전자코 분석 (Sensory Evaluation and Electronic Nose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Mixed Eucommia ulmoides Leaf Tea)

  • 정미숙;이미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53-358
    • /
    • 2001
  • 기존 두충차의 단점인 한약의 향미와 떫은맛이 완화된 두충혼합차를 개발하기 위하여 8월 자연건조시료에 방향성 식용식물인 꽃향유를 10, 20, 30 및 40%를 각각 첨가하여 관능검사 하였을 때 꽃향유첨가군 모두가 reference보다 낮은 기호도를 보였는데, 이는 꽃향유 자체의 독특한 향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둥굴레차를 시료두충차에 10, 20, 30 및 40%를 각각 혼합하여 관능검사한 결과, 둥굴레 20, 30 및 40% 첨가군이 시료두충차와 reference보다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p<0.01). 부드러운 향미를 지닌 둥굴레를 두충차에 첨가하면 차의 색의 강도가 완화되고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아지므로 일반인이 음용하기 좋은 두충혼합차가 제조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시판두충차, 시료두충차, 꽃향유첨가군 및 둥굴레 첨가군의 향미패턴을 전자코로 분석하였을 때, 시료두충차는 제1주성분값이 (-)값에 분포되어 있었으며, 둥굴레첨가군은 제1주성분값이 주로 -0.10과 +0.05사이에 분포하였고, 시판두충차는 제1주성분 값이 -0.05∼+0.05에 분포하였다. 꽃향유 10% 첨가군은 제1주성분 값이 -0.03∼+0.05부근에, 꽃향유 20∼40% 첨가군은 +0.10∼+0.20 사이에 제1주성분 값이 분포되었다. 관능검사 결과와 전자코에 의한 향기패턴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전반적인 기호도가 좋은 둥굴레첨가군과 시판두충차는 제1주성분값이 -0.10∼+0.05 사이에 분포되어 있었으며, 이 분포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기호도가 낮은 두충차는 (-) 또는 (+)쪽으로 치우쳐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 Bertoni)에 있어서 유사미소중력, 진동 및 저온처리에 의한 항산화 활성 변화 (Changes of Antioxidant Enzymes in Stevia Plants under Clinorotation, Shaking, and Low Temperature Stresses)

  • 최용상;정문웅;소웅영;한경식;여읍동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3-350
    • /
    • 2011
  • 유사미소중력, 진동 그리고 저온과 같은 물리적 스트래스하에서 4일간 자란 약용식물인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 Bertoni)는 대조구에 비해 3.6%, 21% 그리고 8.7%의 생체 중량의 감소를 보였다. 합성 항산화물질인 AA(ascorbic acid)와 BHA(beta-hydroxyacetic acid)는 비교적 약한 22%와 27%의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유사미소중력하에서 스테비아의 DPPH(2,2-diphenyl-1-picryl hydrazal)의 음이온 소거효과는 대조구보다 지속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나, 진동과 저온처리의 처리효과는 급히 증가했다가 진동의 경우는 6시간 후에 감소되고 저온처리의 경우는 24시간 후에 대조구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유사미소중력하에서 SOD활성은 대조구에 비해 147%, 진동과 저온처리는 각각 121%와 125%로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유사미소중력스트레스는 다른 스트레스보다 스테비아의 항산화 활성에 더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분명해졌다.

국내 비오염 논토양에서 재배한 현미와 백미 중 비소화학종 함량 (Arsenic species in husked and polished rice grains grown at the non-contaminated paddy soils in Korea)

  • 김다영;김지영;김계훈;김권래;김혁수;김정규;김원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4호
    • /
    • pp.391-395
    • /
    • 2018
  • 논토양과 쌀의 비소 오염은 식품의 안전성과 관련하여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비오염 논토양에서 생산된 현미와 백미 중 비소 총함량 및 무기비소 함량을 조사하였다. 쌀 중 비소화학종은 1% 질산($HNO_3$)을 사용하여 추출하였고 HPLC-ICP-MS로 분석하였다. 현미 및 백미 중 총비소 함량은 각각 0.18, $0.11mg\;kg^{-1}$이었고, 무기비소의 함량은 각각 0.11, $0.07mg\;kg^{-1}$ 이었다. 이들 함량은 코덱스 식품규격위원회 권장 기준인 현미 $0.35mg\;kg^{-1}$과 백미 $0.2mg\;kg^{-1}$을 초과하지 않았고 우리나라 백미 기준 이하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현미 및 백미 중 총비소 함량에 대한 무기비소의 평균 함량비은 각각 0.65과 0.67이고 범위는 0.08-1.0 수준이었다. 본 조사에서 수행한 백미 중 무기비소 모니터링 한 결과에 대한 발암 위해도는 평균과 범위가 $9.37{\times}10^{-5}$ ($2.38{\times}10^{5}-1.90{\times}10^{-4}$)로 허용 수준인 $10^{-6}-10^{-4}$을 고려할 때 장기간의 쌀 섭취를 통한 암발생 확률은 낮게 나타나 위해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Does Vitex Agnus-Castus L. Have Deleterious Effect on Fertility and Pregnancy Outcome? An Experimental Study on Rats for Prediction of Its Safety

  • Najib, Fateme Sadat;Poordast, Tahereh;Mahmudi, Monireh Sufi;Shiravani, Zahra;Namazi, Niloofar;Omrani, Gholamhossein Ranjbar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6-113
    • /
    • 2022
  • Objectives: Herbal medicine is a worldwide health topic. Vitex agnus-castus L. (VAC) is a popular plant used for gynecologic problems due to its hormonal effec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VAC extract effect on fetus when this herb is used started from antenatal period or during pregnancy. Methods: Performed from starting day of January 2019 till February 2019, 48 rats were assigned in randomly divided eight-member six groups: control (C1), treated group with 365 mg/kg VAC from initiation of insemination (T1) and 30 days prior to pregnancy (T2), control that underwent caesarean section on 15th day of gestational age (C2) and treated group with 365 mg/kg VAC from initiation of insemination (T3) and 30 days prior to pregnancy (T4) that underwent caesarean section. Weight, sex and number of fetuses, abortion and still birth rate and estradiol level were evaluated using t-test by SPSS software. Results: We showed increased weight among T1 group considering totally and sex-dependent which is significant (all p-value < 0.05). We also detected significantly decreased weight in T2 in total (p-value < 0.0001) and when considering female fetuses (0.043) but not males (0.17). Although the results showed slightly non-significant increased weight among fetuses of T3 (totally or based on the fetus sex)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2), T4 group had statistically decreased weight compared to control group. Pregnancy rate and pregnancy outcome were affected by VAC usage. The time of VAC initiation also affected live birth and abortion rates. Conclusion: VAC extract may affect pregnancy rate, live birth rate, abortion and stillbirth rates. Its effect on the weight and the sex showed dual pattern depends on the time of initiation and pregnancy trimester of evaluation. Prescribing this medicinal plant for patients being prone to pregnancy should be with caution. Further study is recommended.

Elderberry(Sam bucus canadensis) 과실(果實)의 영양가(營養價)에 대(對)하여 (Studies on the Nutritional Value of Elderberry (Sam bucus canadensis) Fruits)

  • 박교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7권1호
    • /
    • pp.42-49
    • /
    • 1984
  • Elderberry는 고대인(古代人)에게 약용식물(藥用植物)로 알려졌으며 Europe에서는 옛부터 설사약(지사제(止瀉劑))으로 쓰여 왔다. 꽃은 휘발성 정유(精油)를 함유(含有)하고 있어서 제모(製慕), 향료(香料) 및 로숀 같은 화장품 등에 쓰이는데 주(主)로 꽃을 물로서 증류(蒸溜)해서 사용(使用)하며, 잎은 지방(脂肪)을 green colour로 착색(着色)하는데 사용(使用)되고, 잎과 수피(樹皮)는 곤충(昆虫)이 싫어하는 기피성 물질이 들어 있어서 내충성(耐虫性) 식물(植物)이 된다. 과실(果實)은 향기(香氣)와 천연식용색소(天然食用色素)로서 주요시(主要視)되어 상대적(商業的)으로는 주(主)로 jam, jelly, pies, juice, wine을 만드는데 쓰여진다. 영양가(營養價)는 1941년(年) Andross가 vitamin-c의 함유량(含有量)이 25~30mg/100g 이라고 보고 했으나 그 외(外)의 vitamin이나 각종(各種) mineral 및 영양가(營養價)는 지금까지 보고(報告)된 바 없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각종영양가(各種營養價)와 minerals, vitamins, 그리고 식용천연색소(食用天然色素)의 파장(波長)을 측정(測定)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신선(新鮮) Elderberry 과즙(果汁)은 mineral이 11종(種)이 함유(含有)되어 있는 바 Ca : 0.012%, Mg : 0.023%, K : 0.10%, Na : 0.0019%, Fe : 0.0009%, Co : 0.0002%, Zn : 0.0004%, Cu : 0.0001%, P : 0.036%, Mn : 0.0006%, I : $1{\mu}g/g$ 등이 고루 함유(含有)되어 있다. 2) vitamin류(類)는 5종(種)이 함유(含有)되어 있는데, vitamin-$B_1$ : $1{\mu}g/g$, vitamin-$B_2$ : $0.5{\mu}g/g$, vitamin-C : 0.3mg/g, niacin : $14{\mu}g/g$, choline chloride : 0.3 mg/g 으로 되어 있다. 3) 과즙내(果汁內)에는 주요(主要) 영양가(營養價)로서 조단백(粗蛋白) : 1.10%, fat : 026%, carbohydrate : 6.9%, pectin : 0.76%, tannin : 0.89%, ash : 0.80%, water : 90.9% 인데 100g 당 34.3 cal을 보였다. 4) 신선(新鮮)한 과즙(果汁)의 적자색(赤紫色)인 천연색소(天然色素)는 최고파장(最高波長) $523{\sim}530m{\mu}$을 보였다.

  • PDF

식물성 기름의 혼합을 통한 지방산 조성 및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racteristics of Fatty Acid Composition and Properties by Blending of Vegetable Oils)

  • 이태성;이영화;김광수;김욱;김관수;장영석;박광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24-632
    • /
    • 2012
  • 본 연구는 주요 구성지방산이 Oleic acid인 유채유, 동백유, 올리브유와 Palmitic acid가 주요 구성 지방산인 팜유를 기준으로 중량비로 혼합하여 지방산 조성 및 물성변화를 관찰 하였다.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50:50(w/w)비율에서는 Oleic acid은 유채유와 대두유의 혼합 시 42.8%로 가장 낮았고 동백유와 유채유의 혼합비율에서 72.1%로 가장 높았다. 75:25(w/w)유채유와 대두유 혼합비율에서 가장 낮았고 동백유와 올리브유의 혼합비에서 가장 높았다. 팜유를 기준으로 식물성 유지를 혼합하였을 시에는 다른 유지와 혼합 후 총 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다. 혼합 후 지방산 조절을 통한 산화안정성 및 저온에서의 유동성 개선이 기대 된다. 혼합 후 동백유 > 올리브유 > 유채유 순으로 산가 안전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Oleic acid 함량에 따라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혼합을 통한 산화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색도는 비율 및 유지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바이오디젤 생산 정제공정에 있어서 혼합비율 조절에 따른 정제비용 절감이 기대 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지간 혼합에 의한 특성변화를 확인하고, 혼합유의 원료 다양성 확보 및 품질개선을 위한 정보를 얻어 향후 연구수행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