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inal herbs extract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4초

발모효과를 가지는 한방복합처방단 (Medicinal Herbal Complex Extract with Potential for Hair Growth-Promoting Activity)

  • 이준영;임경란;정택규;이명희;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77-287
    • /
    • 2012
  •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를 가지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한의학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23가지 한방소재를 선정하여 한방복합처방단을 개발하였다. 한방복합처방단을 구성하는 한방소재들은 예로부터 전통적으로 발모 및 탈모방지, 흰머리방지, 염증 치료 및 혈액순환개선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 당귀, 보골지, 측백엽, 한련초, 구기자, 복분자, 상백피, 숙지황, 여정실, 적하수오, 흑지마, 고삼, 백지, 익모초, 단삼, 도인, 몰약, 감국, 유향, 인삼, 천궁, 합환피, 현호색 등이다. 또한, 한방복합처방단의 발모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in vitro와 in vivo 평가모델을 이용하여 모발성장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In vitro 상에서는 모유두세포,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확인하였다. 또한, 흰머리방지 효과와 관련하여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멜라닌 합성능력을 확인하였다. 한방복합처방단의 in vitro 상에서의 육모효과는 C57BL/6 마우스를 이용한 in vivo 상에서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한방복합처방단은 $50{\mu}g/mL$의 농도에서 모유두 세포의 증식을 175 %까지, 섬유아세포인 NIH3T3 세포의 증식은 120 %까지 증가시켰으며, $20{\mu}g/mL$의 농도에서 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의 증식을 133 %까지 증가시켰다. 멜라닌 합성의 경우, $50{\mu}g/mL$의 농도에서 154 %까지 증가시켰다. 또한, C57BL/6 마우스를 이용한 육모효과에 있어서는 한방복합 처방단 처리 4주 후 98 % 이상의 육모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방복합처방단은 모발의 성장 촉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처방으로 사료된다.

Db/db 마우스 모델에 있어서 한약재조성물의 혈당 및 혈장 콜레스테롤 개선효과 (Amelioration of Plasma Glucose and Cholesterol levels in Db/db Mice by a Mixture of Chinese Herbs)

  • 이재헌;조창우;한상복;황지연;강민정;주희정;김미은;서영주;김정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25-230
    • /
    • 2008
  • 흰양삼, 황기, 감초, 구기자, 뽕나무잎, 갈근, 하고초, 오갈피,오미자, 황금, 산약, 황정, 작약, 생지를 1 : 0.7 : 0.4 : 0.7 : 0.4 :0.7 : 1.1 : 0.9 : 0.4 : 0.4 : 0.7 : 0.7 : 0.9 : 0.9의 비율로 함유한 한약재 조성물의 혈당 및 지질대사 개선효과를 제2형 당뇨동물 모델인 db/db 마우스에 있어서 조사하였다. In vitro에서 한약 재조성물 메탄올 추출물의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경구 혈당강하제로 사용중인 아카보스 (20.7%)에 비해 높은 저해활성 (25.2%)을 나타내었다. 4주령의 수컷 db/db 마우스 (C57BL/KsJ, n = 14)를 1주간의 적응기간이 지난 후 2군으로 나누어 대조군에게는 AIN-93G diet를 기본으로 한 basal diet를, 실험군에게는 동결건조된 한약재조성물 가루를 식이의 10% 수준으로 함유한 식이를 6주간 제공하였다. 한약 재조성물의 섭취는 실험동물의 체중 및 식이 섭취량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공복 혈당 (442.5 ${\pm}$ 36.0mg/dL)을 대조군 (489.8 ${\pm}$ 34.6mg/dL)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p < 0.05). 또한 한약재조성물 섭취군의 혈장 콜레스테롤 (159.2 ${\pm}$ 18.4mg/dL) 농도는 대조군 (185.4 ${\pm}$ 13.7mg/dL)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p < 0.05), 혈장 중성지방 농도는 한약재 조성물 섭취군 (99.4 ${\pm}$ 15.0mg/dL)이 대조군 (108.8 ${\pm}$11.0mg/dL)에 비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한약 재조성물의 섭취는 당뇨동물모델에 있어서 혈당 및 혈장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켜, 당뇨병 개선 및 당뇨합병증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약용식물의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hyperglycemic Activity of Medicinal Herbal Extracts According to Extraction Methods)

  • 정현진;이성규;이은주;박우동;김종부;김현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71-57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당뇨처방전에 사용되고 있는 문헌고찰을 토대로 6종의 약용식물(당귀, 백복령, 상백피, 상엽, 총목피 및 홍삼)의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을 비교 검토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여 가장 효과적인 추출방법을 조사하였다. 당귀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39.43와 37.75%로 다른 시료에 비하여 추출수율이 높았다. 폴리페놀 함량은 상백피 에탄올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홍삼 초음파추출물에서 가장 낮았다.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RC_{50}$ 값은 상엽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alpha}$-Glucosidase저해활성은 상엽과 상백피 초음파추출물에서 높았고 추출방법 따른 저해율은 차이를 보였으나 세가지 추출물 모두 acarbose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alpha}$-Amylase저해활성은 상엽 에탄올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고, 상백피와 백복령 에탄올추출물에서도 acarbose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항산화 활성과 항당뇨 저해활성의 상관성은 에탄올 추출물과 초음파 추출물에서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alpha}$-glucosidase저해활성에 대한 폴리페놀 함량 또는 플라보노이드 함량과는 양의 상관관계($r^2$=0.792, 0.588)를 보였고, ${\alpha}$-amylase저해활성에 대한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는 DPPH 소거능의 $RC_{50}$ 값에서도 음의 상관관계($r^2$=0.918, -0.594)를 나타내었다. 또한 ${\alpha}$-amylase 저해활성과 ${\alpha}$-glucosidase저해활성에서는 양의 상관관계($r^2$=0.746)를 보였다. 초음파 추출물에서는 ${\alpha}$-glucosidase저해활성에 대해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만 양의 상관관계($r^2$=0.763, 0.618)를 보였다. 항산화능에서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열수, 에탄올 및 초음파추출물에서 모두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C_{50}$ 값과 유의적으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약용식물이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 항당뇨 활성과 상관성에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계피추출물의 항균 작용과 항돌연변이원성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mutagenesis of Cinnamon (Cinnamomum cassia Blume) Bark Extract)

  • 정은탁;박미연;이종갑;장동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37-343
    • /
    • 1998
  • 계피로부터 항균성 물질은 ethanol로 추출하고 다시 여러 가지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항균물질의 분획별 항균성과 안정성을 조사하고 균종별 항균효과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계피의 ethanol 추출물을 n-ha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등으로 분획한 결과 n-hxane 분획물의 항균력이 가장 우수하였다. 2. 계피의 n-hexane 분획물은 균종별로 차이는 다소 있으나 최저증식억제농도는 세균과 효모의 경우 각각 약 $320~640\;\mu\textrm{g}과\;160~320\;\mu\textrm{g}$, 그리고 곰팡이의 경우 $40~80\;\mu\textrm{g}$으로 나타나 세균보다는 곰팡이에 대한 항균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항균성 물질은 pH4.0~10.0 범위에서 항균력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4. 항균성 물질을 $100^{\circ}C$에서 60분 또는 $121^{\circ}C$에서 15분간 열처리한 후에도 항균력은 거의 감소하지 않았다. 5. 계피추출물에 대하여 Ames test를 실시하여 돌연변이원성을 조사한 결과 plate당 $320\;\mu\textrm{g}$까지 첨가하여도 돌연변이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오히려 $benzo(\alpha)pyrene$의 변이원능을 억제하는 항돌연변이원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화과 약용 식물의 면역증진활성 검색 (Screening of immune enhancing activities in medicinal herbs, Compositae)

  • 이미경;문형철;이진하;김종대;유창연;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1-57
    • /
    • 2002
  • 국화과 약용식물들의 각 추출물은 정상세포에 대한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두 종류 모두 0.5g/L 이하의 농도로 투여시는 정상세포 생존율을 85%이상으로 유지시켜 정상세포에 대한 안정성이 유지되었다. 또한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의 경우, 국화과 Herb들은 증류수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0.5mg/ml이상의 농도에서 유방암세포주인 MCF7에 대하여 70%이상, 폐암세포주인 A549에 대하여 60%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간암세포주인 Hep3B에 대하여서는 증류수 추출물들은 0.5mg/ml이상의 농도에서 약 40%정도, 에탄올 추출물들은 70%이상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위암세포주인 AGS에 대하여 증류수 추출물들은 0.5mg/ml이상의 농도에서 약 60%정도, 에탄올 추출물들은 80%이상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상세포에 대한 암세포의 상대적 사멸도인 selectivity에 있어서 각 추출물이 0.1mg/ml에서 1.0mg/ml의 농도에서 3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기작을 나타내었다. 또한 인간 B 세포와 T 세포에 대한 생육촉진 실험 결과, Echinacea, 엉겅퀴의 증류수 추출물과 Echinacea 에탄을 추출물은 0.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T-cell의 생장을 2배 이상, B-cell의 경우 1.5배 이상의 생육을 증진시켰으며, Echinacea 경우 증류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0.5mg/ml이상의 농도에서 T-cell의 생장을 $2{\sim}2.6$배 이상 B-cell의 경우 1.4배 이상의 생육증진효과를 나타내었다. 시료들의 IL-6와 $TNF-{\alpha}$의 cytokine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IL-6는 엉겅퀴의 에탄올 추출이 0.5mg/ml의 농도에서 96pg/ml의 분비량을 $TNF-{\alpha}$는 Echinacea의 에탄을 추출물이 94pg/ml의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Echinacea의 에탄올 추출물의 인간 간암 세포에 대한 산화는 추출물 투여 후 세포의 산화가 급격히 나타났다. 위의 연구들을 미루어 볼 때 국화과 약용식물들은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대황 추출물의 항위염 작용과 유효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gastritic Effects of Rheum Species Extracts and Their Active Components)

  • 황인영;정춘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30-336
    • /
    • 2013
  • 현재 대황은 지표성분의 규격이 한국, 일본과 중국이 다르고, 유통시장에서 대황과 종대황이 혼재되어 있으며 다양한 기원식물이 혼재되어 수입되고 있다. 따라서 대황의 효능을 현대 약리학적으로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약재의 표준화, 과학화 및 위염에 대한 지표성분 검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Rheum tanguticum(당고특대황)과 그 비교생약으로 Rumex cripus(양제근), Rheum officinale(약용대황), Rheum palmatum(장엽대황) 및 Rheum undulatum(종대황)의 물 및 70% 에탄올 추출물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흰 쥐를 이용한 위염 모델에서 양제근 70% 에탄올 추출물(73.2%)와 종대황 물 추출물(71%)이 각각 70% 이상으로 우수한 위손상 억제활성을 보여주었지만, 당고특대황의 70% 에탄올 추출물 투여시 91.8%로 실험군 중 가장 우수한 위염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공격인자로써의 산을 중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제산력 시험법으로는 당고특대황 물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약 14.2%, 약 15.8%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로 보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hydrotalcite(49.9%)보다는 제산작용이 약하였지만 과량 혹은 장기간 복용하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화성궤양, 위암 및 변연부 B세포 림프종 발생에 있어 중요한 원인 인자로 밝혀졌고, 기능성 소화불량증, 위의 과형성 용종, 철결핍성 빈혈 등 기타 질환과의 연관성들이 제시되고 있는 H. pylori에 대한 colonization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 당고특대황의 70% 에탄올 추출물 $100{\mu}g/mL$에서 H. pylori에 대한 항균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DPPH 용액을 이용하여 free radical의 소거능을 $IC_{50}$으로 나타낸 결과, 당고특대황은 물 및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IC_{50}$$25.9{\mu}g/mL$, $5.8{\mu}g/mL$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L-ascorbic acid ($IC_{50}=6.5{\mu}g/mL$)와 유사한 free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 당고특대황의 70% 에탄올 추출물이 휜 쥐 위염모델의 위손상을 가장 우수하게 억제하였으며 항산화 활성 또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당고특대황의 성분인 chysophanol, chrysophanol-8-O-glc, desoxyrhaponticin desoxyrhapontigenin, emodin, isorhaponticin, 2-methoxy-4-hydroxyanthraquinone-5-O-glc, physcion, piracetannol-3'-O-glc, resveratrol, rhaponticin 및 rhapontigenin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로는 효성분들 중 physcion $100{\mu}M$과 rhaponticin $50{\mu}M$$100{\mu}M$에서는 실험에 사용한 성분 들 중 비교적 우수한 colonization 억제작용(+)을 나타내었고,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isorhaponticin, piracetannol-3'-O-glc, resveratrol 및 rhaponticin에서 $IC_{50}$이 각각 $129.5{\mu}M$, $94.1{\mu}M$ $80.1{\mu}M$$104.6{\mu}M$로 확인되었다. 실험결과를 토대로 항위염 효과가 있는 우수한 약용식물로써 천연물 의약품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나아가 한약재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한약재 표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단백질 분해효소(Flavourzyme)의 첨가량에 따른 오골계 증탕액의 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oiled Soup Extracted from Crossbred Ogol Chicken as Affected by the Level of Flavourzyme)

  • 채현석;유영모;안종남;조수현;박범영;이종문;김용곤;윤상기;최양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16
    • /
    • 2003
  • 오골계교잡종을 이용한 증탕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오골계 교잡종(오골계와 한국재래닭과 로드아일랜드레드종간의 3원교잡)에 단백질분해효소인 Flavourzyme을 각각 0% (Con-trol), 0.1%(T$_2$),0.1%(T$_3$) 및 0.5%(T$_4$)을 첨가하여 45$^{\circ}C$에서 4시간 동안 가수분해한 후 한약재(십전대보)와 재증탕하여 제조한 증탕액의 화학적, 관능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효소 Flavourzyme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오골계 증탕액의 수분, 단백질, 지방의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무기물함량은 증가하였다(P<0.05). 각 성분별 무기물의 함량에서 Na는 효소처리구가 비효소처리구에 비하여 높았으나, 첨가량 증가에 따른 함량의 변화는 없었고, Fe은 효소를 0.1% 처리한 오골계 증탕액의 경우 Iysine, aranine 및 arginin이 많이 검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오골계 증탕액에 Flavourzyme 효소를 처리하였을 경우 무기물과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에 약간의 변화를 가져왔고, 관능검사 결과에서 비교할 때 0.1%첨가까지는 대조구와 맛, 향미 등이 유사함으로써 오골계 증탕액의 제조시 효소 Flavourzyme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가미계격탕의 혈관형성 저해작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angiogenic Activity of KMKKTE)

  • 이효정;이은옥;오세순;안규석;박영두;김성훈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990-994
    • /
    • 2004
  • Cancer is an intractable disease for humans to overcome. Recently natural products or Oriental prescriptions have been on the spotlight to develop anticancer agents with little side-effects and good efficacy. KamikeKyuktang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cancer in Oriental medicine. However, its anti-cancer mechanism still remains unclear. KMKKTE is an ethanol extract of KamikeKyuktang composed of 12 medicinal herbs.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KMKKT was investigated on Lewis lung carcinoma cell (LLC) and A549 (human lung cancer cells). Half-maximal inhibition of the LLC and A549 cell proliferation by KMKKTE was found approximately 125㎍/㎖ and 250㎍/㎖, respectively. It also effectively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HUVEC cells treated by bFGF and VEGF up to 30% of control at 125㎍/㎖ and the cell migration to 80% at 25 ㎍/㎖ in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Tube formation of HUVEC cells on matrigel also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from 25㎍/㎖ of KMKKT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KMKKTE has antiangiogenic activity and be applied to angiogenesis dependent cancers.

비만에서 장내 미생물 균총의 역할과 발효 한양의 활용 (The Role of Gut Microbiota in Obesity and Utilization of Fermented Herbal Extracts)

  • 박정현;김호준;이명종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4
    • /
    • 2009
  • Complex microbial communit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human health and co-evolved with human in the form of symbiosis. Many literatures provide new evidences that the increased prevalence of obesity cannot be attributed solely to changes in the human genome, nutritional habits, or reduction of physical activity in our daily lives. The intestinal flora was recently proposed as an environmental factor responsible for the control of body weight and energy metabolism. A number of studies suggest that the modulation of gut microbiota affects host metabolism and has an impact on energy storage and demonstrated a role for the gut microbiota in weight gain, fat increase, and insulin resistance. Variations in microbiota composition are found in obese humans and mice and the microbiota from an obese mouse confers an obese phenotype when transferred to an axenic mouse. As well, the gut microbial flora plays a role in converting nutrients into calories. Specific strategies for modifying gut microbiota may be a useful means to treat or prevent obesity. Dietary modulations of gut microbiota with a view to increasing bifidobacteria have demonstrated to reduce endotoxemia and improve metabolic diseases such as obesity. The fermentation of medicinal herbs is intended to exert a favorable influence on digestability, bioavailability and pharmacological activity of herbal extract. Therefore we also expect that the fermented herbal extracts may open up a new area to treat obesity through modulating gut microbiota.

  • PDF

복분자(覆盆子), 석창포(石菖蒲), 상침자 및 숙지황(熟地黃)이 모발성장(毛髮成長)과 면포에 미치는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Herbal Exrtacts on Hair Growth and Acnes)

  • 오영선;노석선;오민석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9권3호통권31호
    • /
    • pp.34-54
    • /
    • 2006
  • The effects of four extracts of medicinal herbs, Rubus coreanum, Acorus calamus, Morus alba and Rehmannia glutinosa on hair growth activity and acnes control were investigated. In the course of screening natural extracts for hair growth, we found that the extract of dried root of Rubus coreanum has the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After topical application of these extracts to the back of C57BL/6 mice, the earlier conversion of telogen-to-anagen phase was induced. The growth of dermal papilla cells and mouse vibrissae hair follicle cultured in vitro, however, was not affected by treatment of these extracts. Furthermore these extracts do not possesspotent inhibitory effect on $5{\alpha}-reductase$ I and II activity and anti-bacterial effect on Escherichia coli , Propionibacterium acnes, Pityrosporum ovale,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midis, and Candida albicans. RT-PCR analysis showed that these extracts did notinduce mRNA levels of growth factors such as insulin-like growth factor-I, keratinocyte growth factor, hepatocyte growth factor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dermal papilla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ubus coreanum has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However, the effects of these materials on the hair growth promotion are not mediated through inhibition of $5{\alpha}-reductase$ I and II activity, stimulation of hair follicle cells and expression of growth factors in the dermal papilla ce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