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dicinal herb

Search Result 89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creening of ${\beta}$-Catenin/TCF Transcription Factor Inhibitors in Medicinal Herb Extracts

  • Choe, Ye-Dang;Na, Byung-Jo;Park, Se-Yeon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 /
    • v.32 no.3
    • /
    • pp.35-43
    • /
    • 2011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creen target-specific inhibitors of ${\beta}$-catenin/TCF signaling whose functional activ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early events in carcinogenesis. Methods: To investigate the activation or suppression of ${\beta}$-catenin/TCF transcription, we established a transiently transfected cell line with a constitutively active ${\beta}$-catenin mutant gene whose product is not degraded. This cell line was also co-transfected with luciferase reporter gene constructs containing either an optimized (TOPflash) or mutant (FOPflash) TCF-binding element. We investigated cytotoxic effects using a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salt (MTS) assay. To find effective inhibitors of ${\beta}$-catenin/TCF signaling from medicinal herbs, the crude extracts of 99 types of medicinal herbs were screened using a luciferase assay system in HEK-293 and SH-SY5y cells. Results: At a concentration of $50{\mu}g$/ml, extracts of Angelica koreanae radix, Cannabis sativa semen, Ephedrae intermedia Schrenk radix, and Vitis rotundifolia fruit showed the following inhibitory effects on ${\beta}$-catenin/TCF signaling: $40{\pm}5.6%$, $23{\pm}6.1%$, $8{\pm}5.1%$, and $22{\pm}9.8%$ in ${\beta}$-catenin-activated HEK-293 cells and $9{\pm}4.7%$, $39{\pm}8.1%$, $39{\pm}6.4%$, and $42{\pm}10.1%$ in ${\beta}$-catenin-activated SH-SY5y cells, respectively. Crude extracts of E. radix were isolat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two non-polar fractions of these extracts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beta}$-catenin/TCF signaling.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 transiently transfected cell line as a screening system and found that various medicinal herb extracts had inhibitory effects on ${\beta}$signaling.

Distribution of Medicinal Plants and Vascular Plants Growing at Yangsan Region of Nakdong River, Korea (낙동강 하류 양산천 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 및 약용식물의 분포 특성)

  • Ahn, Young Sup;Lee, Jeong Hoon;An, Tae Jin;Park, Chung Berm;Moon, Sung Gi;Kim, Myeong Seok;Seo, Joung Seok;Lee, Cheol Hee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
    • v.20 no.6
    • /
    • pp.421-433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vascular plants in 6 regions including around Hopo-Bridge of Yangsan region at waterfronts of Nakdong river, Korea. Distributed plants were surveyed from April to November, 2011. The vascular plants in 6 regions (around Mulgeum-chuisujang, Mulgeum-station, Jeungsan-ri, Hopo-bridge, Kumoh-bridge and lower part of Yangsan-stream) were total 135 taxa of 3 divisions, 4 classes, 37 orders, 66 families, 116 genera, 114 species, 2 subspecies and 19 varieties. The most number of species is Campanulales of 14.1% in Dicotyledoneae of 81.5% among total species. Regional distribution of species is mainly around Mulgeum-chuisujang and Jeungsan-ri as 61% among total species, and other regions is in 24 ~ 44%. Ecologically, there were herbaceous plants 75% and woody plants 25%, and 9 species of aquatic plants in herbaceous plants. Medicinal (herbal) plants included in KP (The Korean Pharmacopoeia) and KHP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were 56 species including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e Candolle,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and etc., and folk herb plants were 14 species including Metaplexis japonica Makino, Commelina communis Linn$\acute{e}$ and etc. among total 135 species.

A study of the tendency of anti-cancer experimental study using herbal medicines (한약(韓藥)을 이용(利用)한 항암(抗癌) 실험연구(實驗硏究)의 경향(傾向)에 관(關)한 고찰(考察))

  • Kim, Hyung-A;Lim, Sung-Woo;Lee, Won-Chul
    •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ONCOLOGY
    • /
    • v.4 no.1
    • /
    • pp.211-232
    • /
    • 1998
  • Because there were lots of side effects and tolerances to the existing anticancer therapeutics, the experiment extracting the anticancer effect from medicinal herbs is in progress livie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research the tendency and the course of anticancer studies. To research the tendency of anticancer studies, medicinal herbs of fifty three experimental papers were analyzed and to examine the course of studies, anticancer papers in the medical world were us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Methods of herbal medicinal treatments were elimination the pathogenic factor(祛邪) and supporting healthy energy(扶正) method used. In this study, immediately tumor bearing and immune response were the most important point. The subject of immediately tumor bearing was not in the specific cancer but in the influence on the life span of general cencerous cells. In the experimental study of immune response, the effect on NK cell activity of medicinal herbs most studied. The combined usage of medicinal herbs and anticancer agent mostly intended to know whether it inhibits the tumor cell growth. The serum test and blood cell number test show if medicinal herbs inhibit side effect of anticancer agent. More than 80 percents of used medicinal herbs, there were anticancer activities. However anticancer experimental studies using medicinal herbs two weak points. The one, it was difficult to choose a prescription according to differentiation of symptoms and signs(辨證論) of the Oriental Medicine, because we put to the test not a man but a mouse. The other, as we observed the indirect effect of the whole physiological regulation caused by synergic effects of the complex prescription, we don't understand the detailed mechanism of the herb. Therefore, if the anticancer effect of the herb is proved the experiment, we should research the concrete medical action of medicinal herbs and immunological analysis of herbal medicines to the body.

  • PDF

Shoot yield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Pteridium spp. according to the dickness of sowed seed root (고사리의 종근 규격에 따른 파종 2년차 신초 출현양상 및 수량성)

  • Moon, Jung-Seob;Ahn, Song-Hee;Lee, Yong-Mun;Yang, Jin-Ho;Kim, Dong-W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90-90
    • /
    • 2018
  • 고사리(Ferns)는 고사리 속(Pteiidium spp.)에 속하는 양치식물의 총칭으로서 우리나라에는 22과 70속 272종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고사리의 어린 순에는 가식부 100g 당 칼슘 15.0mg, 칼륨 185.0mg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골다공증, 심혈관질환 등에 효과가 있고 식이섬유로 인해 변비 예방에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7년 기준 우리나라의 고사리 재배면적은 3,280ha 수준으로 그중 전라북도의 고사리 재배는 재배면적 285ha이며 연간 생산량 1,985톤으로 전국 생산량의 21%를 차지하고 있어 전라북도의 산채 재배작목 중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고사리 재배는 정식 후 수확기간이 길고 제초노력 등의 노동력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최근 재배면적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나, 종근의 적정 규격 등에 대한 기준이 제시되지 않아 경영비 부담이 큰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고사리 종근 규격을 종근 두께 기준 A등급($14.1{\pm}3.31mm$), B등급($8.3{\pm}1.88mm$), C등급($3.3{\pm}2.31mm$)로 구분하여 표고 500m의 허브시험장 연구포장에 3월 28일 정식한 후 2018년 4월부터 신초 출현양상 및 수량성을 조사하였다. 파종 2년차 고사리 신초의 출현양상은 4월 11일부터 출현을 시작하여 6월 11일 까지 빠르게 증가하여 7월 9일 이후 고온기이후 증가세가 완만해지는 경향을 보였고 9월 10일까지 누적 신초수는 A 등급 파종구에서 80.0개를 보였다. 신초 출현 후 포자엽이 전개되어 상품성을 상실하기까지의 포자엽 전개일수는 주 수확시기인 4~5월에는 5.3~6.7일이 소요되었으나, 포자엽 전개이후 울폐가 이루어지는 8~9월에는 9.7~11.7일이 소요되어 생육 초기 차광에 의한 전개일수 연장효과가 기대되었다. 생육기간 동안 조사시기별 신초의 두께는 6월 11일과 9월 11일 조사한 신초에서 굵어지는 경향을 보였고, 상품성 있는 고사리 신초의 규격을 신초장 20cm로 포자엽 전개 직전으로 한정하여 수확을 실시한 결과 파종 2년차 수확은 4월18일 이후 4회 이루어졌으며 신초의 생체중은 5.2~6.0g/개의 범위로 종근 규격 간에는 차이가 인정 되지 않았다. 4월 18일에서 5월 8일까지의 수확기간 동안 누적 신초 수확량은 A 등급과 B 등급의 종근을 파종한 처리에서 각 32.2개/$m^2$, 30.3개/$m^2$로 C 등급 파종구에 비해 유의하게 수확 신초수가 증가하였다. 단위면적당 신초 수량성은 4월 30일 3회차 수확시부터 종근 규격간 차이가 있었으며 누적 신초수량은 A 등급과 B 등급 파종구에서 각 183.3kg/10a, 169.9kg/10a로 유의하게 높았는데 이는 파종된 종근의 두께에 따라 상품성 있는 신초 출현수가 유의하게 증가된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 PDF

Medium Development of Pleurotus Ostreatus by Using Korean Herb Medicine Materials (한방재료를 이용한 느타리버섯의 배지개발)

  • Jeong, Ju-Gyo;Lee, Chang-Yun;Lee, Sang-Wo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2 no.5
    • /
    • pp.650-656
    • /
    • 2012
  •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of $Pleurotus$ $ostreatus$, discarded medicinal sludge was collected from oriental medical clinics to develop the $Pleurotus$ $ostreatus$ culture medium.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materials used in Korean herb medicine, the crude ash contents of $Carthamus$ $tinctrius$ L stem and $Acanthopanax$ $chiisanensis$ were 11.6% and 10.1% respectively, which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e 9.6% of the control medium, waste cotton. Crude protein was detected in 9.8% of the waste cotton medium, whereas it was detected in 14.9%, 13.9%, 13.4%, and 11.5%, of wild mugwort, $Acanthopanax$ $\underline{chiisanensis}$, medicinal sludge, and $Carthamus$ $tinctrius$ L stem, respectively, which are all higher than the control. The pH of medicinal sludges, wild mugwort, and $Aacanthopanax$ $chiisanenses$ ranged from 5.27 to 5.72, which was similar to the 5.70 pH value of waste cotton. In the case of addition concentration of each Korean herb medicine material influencing mycelial growth of the $Pleurotus$ $ostreatus$, the 9% concentration was more favorable compared to that of 3% and 6%. However, the addition of Korean herb medicine material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growth of $P.$ $tolaassi$ and $Trichoderma$ $sp.$ According to a field experiment that added 9% of medicinal sludge into the waste cotton medium, the mycelial growth of mushrooms was facilitated by approximately 2 days, and the mushroom yield was increased by 10~15%. Furthermore, pileus and stipe of the mushrooms were even and superior in quality.

Shoot Yield and Root Starch Characteristics of Pteridium spp.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Sowed Seed Root (고사리 종근 파종량에 따른 신초 수량성 및 뿌리 전분 특성)

  • Moon, Jung-Seob;Ahn, Song-Hee;Lee, Yong-Mun;Yang, Jin-Ho;Kim, Ju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51-51
    • /
    • 2018
  • 2015년 기준 우리나라의 고사리 재배면적은 3,276ha 수준으로 그중 전라북도의 고사리 재배는 재배면적 285ha이며 연간 생산량 1,985톤으로 전국 생산량의 21%를 차지하고 있어 전라북도의 산채 재배작목 중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고사리(Ferns)는 고사리 속(Pteridium spp.)에 속하는 양치식물의 총칭으로서 우리나라에는 22과 70속 272종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고사리의 어린 순에는 가식부 100g 당 칼슘 15.0mg, 칼륨 185.0mg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골다공증, 심혈관질환 등에 효과가 있고 식이섬유로 인해 변비 예방에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사리 뿌리에서 추출한 전분은 중국 및 일본 등지에서 면류나 제과용으로 이용되고 있어 고사리 재배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최근 인력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고사리 재배면적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나 종근의 파종량에 대한 기준이 제시되지 않아 경영비 부담이 큰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고사리 종근의 파종량을 단위면적당 맹아수 기준 40~80개/$3.3m^2$ 범위에서 표고 500m의 허브시험장 연구포장에 3월 28일 정식한 후 고사리 신초의 특성 및 뿌리 전분의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고사리 신초의 출현양상은 6월 26일 이후 빠르게 증가하여 7월 하순의 고온기에 완만해지는 경향을 보였고 누적 신초수는 맹아수 80개/$3.3m^2$ 파종구에서 80.5개를 보여 파종량을 높일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고사리 신초의 상품기준을 포자엽이 전개되지 않은 신초로서 신초장 15~20cm 범위로 정하는 경우 출현시기별로는 9월에 상품율이 높았고 종근 파종량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종근 파종량에 따른 단위면적당 뿌리 생산량은 70개/$3.3m^2$ 파종구와 80개/$3.3m^2$ 파종구에서 $1498.1g/m^2$$1490.3g/m^2$로 유의하게 많았으나 전분 추출 수율은 8.6~12.9% 수준을 보였고 파종량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단위면적당 전분 생산량은 80개/$3.3m^2$ 파종구에서 $176.2g/m^2$로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였으며, 고사리 전분의 호화특성에서 최고점도는 465.3RVU로 쌀 전분의 218.6 RVU에 비해 월등히 높았고 호화시간은 쌀 전분 6.0분에 비해 3.7분으로 짧은 특성을 보였다. 고사리 전분의 무기물 함향은 가식부 100g당 인산 20mg, 칼륨 47mg 수준으로 밀가루에 비해 낮았으나 칼슘은 밀가루 33mg과 대등한 32mg을 보였고 특히 철분에서는 밀가루 4mg 수준에 비해 31mg으로 높은 함량을 보여 밀가루의 철분을 보충할 수 있는 전분으로 유망하였다.

  • PDF

Effect of Composted Medicinal Herb Waste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Rubus coreanus Miquel (Bokbunja) Quality (한약추출박 퇴비가 토양의 화학적 특성 및 복분자 품질에 미치는 영향)

  • Kim, Seong-Jo;Kim, Jae-Young;Baek, Seung-Hwa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4 no.4
    • /
    • pp.472-481
    • /
    • 2011
  • In order to reuse remnants of medicinal herb extracts as an environment-friendly manure, fermented compost made from medicinal herb waste (MHWC), poultry manure compost (PMC) and MHWC+PMC (1:1, w/w) were applied on upland soil cultivated with 2 year-old Bokbunja plants. The results of the change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on upland soil, the yield and the sugar contents of the fruit harvest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H in soils treated with composts (STCs) was significantly changed (p<0.05)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UC) group. The electrical conductivity (EC) in MHWC group was decreased 0.46-0.56 times compared with UC, and it was different from PMC groups.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were increased in all of the treatments and MHWC group was the highest among the all groups. The content of available phosphorous was different by types and amounts of the composts. The content of heavy metal in all groups did not exceed the standard content for soil contamination. The yield and the sugar contents of the fruit harvested were the highest in the treatments of MHWC. In conclusion, MHWC is an effective compost resource on improvement of soil environment and promoting the fruit qualities.

Flowering Characteristics and Seed Yield of Safflower according to Shading Cultivation (잇꽃의 차광조건별 개화특성 및 수량성)

  • Moon, Jung-Seob;Yeom, Gue-Saeng;Yang, Jin-Ho;Gi, Se-hyun;Kim, Dong-W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50-50
    • /
    • 2019
  • 잇꽃(Carthamus tinctorius L.)은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 초본 식물로 한자명은 홍화(紅花), 영명으로는 Safflower를 사용하고 있다. 잇꽃의 원산지는 이집트, 아프카니스탄 등의 서남아시아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의 잇꽃 재배면적은 2010년 39 ha 수준이 재배되다가 2016년에는 67 ha로 재배면적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잇꽃 이용은 잇꽃 종실을 위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일본의 경우 잇꽃의 경관적 가치를 활용하여 산형현(山形縣)에서는 홍화축제가 매년 개최되고 있으며, 미국 등에서는 잇꽃의 저온압착유가 기능성 건강식품류로 판매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조시수가 짧은 표고 500 m의 준고랭지에서 잇꽃의 경관적 가치 활용도를 평가하기 위해 차광조건에 따른 개화특성 및 종실 수량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비가림 하우스에서 5월 9일 파종후 생육 54일차인 7월 5일 개화기에 지상부 발육량을 조사한 결과 차괄비율이 강해질수록 엽장폭비가 감소하여 세장형에서 장타원형으로 성장함을 알수 있었고, 분지수는 30% 차광조건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같은 시기에 조사한 엽면적에서는 30% 차광에서 증가하다가 차광비율이 높아질수록 감소하였으며, 식물체당 총 착화수는 30% 차광조건에서 20.3화/주로 가장 많았고 2차 화경의 착화수도 많은 경향을 보였다. 착생된 꽃의 개화단계를 3등급으로 구분하여 비율을 조사한 결과 차광 조건에서는 개화 2, 3단계의 비율이 무차광에 비해 낮아 개화가 지연됨을 알수 있었고, 건조한 관상화의 색도에서는 차광비율이 높아질수록 b 값이 증가하여 황색값이 높아지는 것을 알수 있었다. 파종 후 생육 94일 차인 8월 13일 종실을 수확하여 식물체당 100립중을 조사한 결과 무차광 4.9 g에 비해 차광조건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종실수량성에서도 무차광에서 201.1 kg/10 a로 가장 높아 차광조건에서 잇꽃 재배는 개화지연에 의한 등숙률의 감소로 종실수량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arch Extracted from the Root of Pteridium spp. according to Extraction Method (고사리 뿌리 전분의 추출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 Moon, Jung-Seob;Yeom, Gue-Saeng;Yang, Jin-Ho;Gi, Se-hyun;Kim, Dong-W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71-71
    • /
    • 2019
  • 고사리(Ferns)는 고사리 속(Pteridium spp.)에 속하는 양치식물의 총칭으로서 우리나라에는 22과 70속 272종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고사리의 어린 순에는 가식부 100 g 당 칼슘 15.0mg, 칼륨 185.0mg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골다공증, 심혈관질환 등에 효과가 있고 식이섬유로 인해 변비 예방에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사리 뿌리에서 추출한 전분은 중국 및 일본 등지에서 면류나 제과용으로 이용되고 있어 고사리 재배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사리 뿌리는 가정용믹서기로 분쇄하는 방법과 고무망치를 사용해 파쇄한 방법에서 식품첨가제로 이용되고 있는 sodium metabisulfite 등 3종의 산화방지제를 사용하여 추출한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고사리 전분의 추출 수율은 분쇄하는 방법에서 높은 경향이었고 추출용액 중에서는 sodium metabisulfite 4% 용액에서 분쇄 처리 9.5%와 파쇄 처리 8.3%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고, ascorbic acid 침지에서는 5.1%와 5.5%로 낮은 수율을 나타냈다. 추출한 전분의 색도값에서는 파쇄하는 처리에서 L 값이 높아지고 a와 b 값은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sodium metabisulfite 4% 용액 침지에서 분쇄와 파쇄 두 방법에서 가장 높은 명도값을 보였다. 고사리 전분의 추출방법별 Ca 함량은 분쇄 처리에 파쇄 처리에서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고 파쇄 후 ascorbic acid 4% 용액에서 추출하는 처리에서 0.23%로 가장 높았으며, Mg 함량도 분쇄 처리에 비해 파쇄 처리에서 경미하게 높은 양상을 보였다. 유효태 Fe 함량 또한 파쇄처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고 추출 용액중에서는 ascorbic acid 4% 용액이 0.12%의 높은 함량을 보였다. 고사리 전분의 추출방법별 호화특성에서 최고 점도는 증류수, ascorbic acid 및 sodium carbonate 추출에서는 파쇄하는 방법에서 높아지는 경향이었지만 sodium metabisulfite 추출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강하점도는 모든 추출용액에서 분쇄 처리에 비해 파쇄 처리에서 현저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치반점도는 sodium metabisulfite와 ascorbic acid 추출은 파쇄처리에서 83.9 RVU와 53.0RVU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 반면 sodium carbonate와 증류수 추출에서는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호화시간은 분쇄 처리가 파쇄 처리에 비해 약간 늘어나는 경향이었고 추출용액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호화온도는 분쇄처리가 파쇄 처리에 비해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파쇄한 고사리 뿌리를 증류수를 이용해 추출한 전분에서 가장 낮은 $69.7^{\circ}C$의 호화온도를 보였다.

  • PDF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arch Extracted from the Root of Pteridium spp. According to Cultivation Year (고사리 재배년차에 따른 뿌리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 Jung-Seob Moon;Gue-Saeng Yeom;Song-Hee Ahn;Se-Hyun Ki;Dong-Chun Ju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64-64
    • /
    • 2020
  • 우리나라의 고사리 재배면적은 2018년 기준 5,406ha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전체 산채류 재배면적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고사리(Ferns)는 고사리 속(Pteridium spp.)에 속하는 양치식물의 총칭으로서 우리나라에는 22과 70속 272종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고사리의 어린 순에는 가식부 100g 당 칼슘 15.0mg, 칼륨 185.0mg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골다공증, 심혈관 질환 등에 효과가 있고 식이섬유로 인해 변비 예방에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사리 뿌리에서 추출한 전분은 중국 및 일본 등지에서 면류나 제과용으로 이용되고 있어 고사리 재배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사리의 재배년차간에 뿌리 전분의 생산성과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2020년 3월 26일 각 재배년차별로 굴취한 뿌리를 세척 후 고무망치로 파쇄하고 수침 방법을 사용해 추출한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재배년차간 고사리 뿌리의 생산성은 5년생과 7년생에서 3,000 kg/10a 이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량을 보였다. 세척한 고사리 뿌리를 24시간 sodiun metasulfite 4% V/W 용액에 수침하여 전분을 추출한 후 24시간 간격으로 3회에 걸쳐 진탕, 침전과 세척의 과정을 거친 후 조사한 전분 추출 수율은 뿌리 생체중 대비 6.8~7.6% 수준이었으며 재배년차간 차이는 없었다. 추출한 전분의 색도분석에서 L 값은 재배년차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a 값은 3.7~4.8, b 값은 13.5~15.9로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사리 뿌리전분의 호화특성에서 최고점도는 3년생 고사리 뿌리에서 추출한 전분이 557.4 RVU로 높은 값을 보였으나 재배년차간 통계적 유의성을 인정할 수는 없었으며, 최저검도에서는 5년생에서 추출한 전분이 269.9RVUfh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최대 점도 시간은 5.0~5.2hr로 재배년차간 차이는 없었으며 호화 저지온도는 67.0~68.9℃ 범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사리 뿌리에서 채취한 전분의 무기물 함량을 조사한 결과 황의 함량은 1년생에서 0.081%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인산 함량은 3년생에서 72mg/kg으로 가장 높았고 1년생에서 31mg/kg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칼륨의 함량은 7년생에서 추출한 전분에서 376.3mg/kg으로 높았으나 재배년차 간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칼슘, 마그네슙 및 철분 함량에서는 5년생 전분에서 유의하게 높은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