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al law

검색결과 978건 처리시간 0.028초

한의학용어(韓醫學用語)의 발음(發音)과 독음(讀音)에 대(對)하여 -두음법칙(頭音法則)과 경음화(硬音化)를 중심으로- (On the Pronunciation and the Meaningful Rendering of the Oriental Medical Chinese Terminology into Korean)

  • 박영환;강연석;맹웅재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3-36
    • /
    • 2010
  • In this paper, this writer looked into the initial law and fortification, which are two of the most important phonetic changes of Sino-Korean words. Pronunciation and inscription rules of Oriental Medical terminologies have also been studied. Moreover, several problems of meaningful rendering of Oriental Medical Chinese terminologies into Korean have been looked into.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1. The initial law only applies to Sino-Korean words that consist of more than one syllable. It does not apply to words borrowed from foreign languages. Especially, compound words like Jang-ssi-yu-gyeong(張氏類經) or Im-sin-yuk-hyeol(姙娠衄血) consist of already existing words such as Jang-ssi(張氏), Yu-gyeong(類經), Im-sin(姙娠), and Yuk-hyeol(衄血), and thus the initial law applies to these words. They are inscribed and pronounced 'Jang-ssi-yu-gyeong' and 'Im-sin-yuk-hyeol'. 2. Fortification of Sino-Korean words can be appli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words. Words such as '科', '格', '氣', '法', '病', '症', and '證' are often fortified and at the same time used frequently in Oriental Medicine. Also, many other words are derived from these words. However, there has not been a scholastic consent among the Oriental Medical society as to in which circumstances these words will be fortified. Therefore, a standardization process to stipulate the pronunciation of Oriental Medical terminologies is necessary. 3. Meaningful rendering of Oriental Medical Chinese terminologies into Korean also needs scholastic investigation. Especially, the word 兪 should be meaningfully rendered and pronounced 'su' just like the words 輸 and 腧, but is wrongly pronounced 'yu'. Other than this, the words 井滎兪經合, 秦艽, 膻中, 共振丹, 成無已, and 麗澤通氣湯 should respectively be pronounced 'jeong-hyeong-su-gyeong-hap', 'jin-gyo', 'dan-jung', 'gong-sin-dan', 'Seong-mu-yi', and 'Yi-taek-tong-gi-tang'. Moreover, there are four pronunciations to the word 梴 of 李梴. This should also be standardized. This writer proposes that in the future, correct meaningful rendering of Chinese terminologies into Korean and phonetic signs be inscribed in dictionaries regarding Oriental Medical terminologies.

독일의 의료분쟁과 대체적 분쟁 해결 기구 (The Medical Disputes and Its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s in Germany)

  • 김장한;이석배
    • 의료법학
    • /
    • 제17권1호
    • /
    • pp.139-168
    • /
    • 2016
  • 독일은 의료분쟁에 대하여 주의사협회를 중심으로 설립된 두 가지 방식의 대체적 분쟁해결방식을 두고 있는데, 첫째는 하노버를 중심으로 한 북독일 지역의 의료조정원이고, 다른 하나는 노트라인 지역을 중심으로 한 감정위원회 방식이다. 두 조직은 의사협회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북독일의료조정원은 법조인과 의사가 각각 1인 포함된 조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감정위원회는 법조인 1인을 감정위원장으로 임명하고 그 이하에 4명의 의사 감정위원을 둠으로써, 조정위원 또는 감정위원들이 가진 고도의 의학적 지식에 법률적 중립성을 부여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의료사고 피해 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설립된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에 의한 대체적 분쟁 해결 방식은 감정과 조정 중재라는 두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독일의 감정위원회 절차와 조정위원회 절차가 참고가 될 수 있다. 의료 분쟁 조정제도가 의료인 중심으로 운영되면, 환자 측으로부터 불신을 받을 것이지만, 현재 우리의 제도는 의사측이 의료중재원 절차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 역시 주요한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법 개정에 의하여 사망자와 중상자에 대한 조정 자동개시가 도입되면서, 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중립성과 효율적 운영이 중요한 문제점이 되었다. 독일의 조정원과 감정위원회의 구성에 비추어 보면, 조정원 구성은 법조인과 의사가 동등하게 참여하여 구성하는 것과 감정위원회 구성은 위원장을 법조인이 하고, 감정 위원들을 의사들로 구성하는 것과 같이 전문가들의 협조와 견제를 고려하고 있다. 현재 의료분쟁 조정법에서 조정과 감정은 하나의 절차처럼 운영되고 있는데, 적절한 협력을 고려하면서 의료인 중심의 감정 분야와 법조인 중심의 조정 분야를 독립적으로 운영 발전할 필요가 있다.

  • PDF

간호사고의 원인과 그 예방 (A Study on Theory of Nurse Liability)

  • 문성제
    • 의료법학
    • /
    • 제5권1호
    • /
    • pp.622-660
    • /
    • 2004
  • Medical services aren't done by doctors only but by different medical personnels. If any medical accident takes place, to what extent doctors, nurses and other personnels should respectively be liable for that should be determined. And when an employed doctor does any illegal medical act, his or her employer also should be responsible for that as a user. If a medical accident occurs, the victim or patient usually claims against the employer of the doctor sho causes the accident for compensation. And those who assist medical treatment, including nurses, should be liable for their own acts, but in case their doctor doesn't give any appropriate directions, the doctor should shoulder the liability. This indicates that nurses are also professional medical personnels, and that they should share the liability as well. There are lots of different medical personnels, but doctors and nurses are the pivot of team treatment, and nurses should als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services. Doctors and nurses are equal, as they are in pursuit of the same, namely, helping patients recover their health. Only their roles are different. If they respect each other and see each other as being responsible for their own roles, they will be able to consult together. Medical information on patients and nursing information should be shared by both of them, and patients should be provided accurate treatment and nursing services. If those who offer nursing services are unaware of required information due to conflicts with doctors, it might result in threatening the safety of patients. And in case any important information isn't properly conveyed between them, it might trigger a medical accident. Sophisticated and complex medical science requires medical personnels to be professional, and nurses as well as doctors need to be an expert. The fact treatment-related accidents take place often indicates that treatment is basically attended with danger. Furthermore, patients respond to all sorts of investigation and medicine in a different manner. They should be professional and knowledgeable to predict how they might respond and prevent any possible hazardous situations, and they are expected to have more knowledge in the future. Nonetheless, there aren't yet enough studies on the legal liability of nurses,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pave the way for future research on nurse liability against medical accidents.

  • PDF

의료민사책임에서의 인과관계에 관한 소고 (A Study on Causality in Medical Civil Liability)

  • 백경희
    • 의료법학
    • /
    • 제17권2호
    • /
    • pp.57-81
    • /
    • 2016
  • 환자가 의사를 상대로 의료사고에 대한 민사책임을 추궁하기 위하여 소송을 제기하게 될 때, 의사의 의료과실과 환자에게 발생한 손해 사이에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 여부는 소송의 승패를 좌우한다. 의료과실소송에서는 의료가 지니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다른 민사사건과 달리 인과관계의 존부의 판단이 쉽지 않다. 또한 의료과실소송에서는 진료기록을 비롯한 정보가 의사에게 집중되어 있고, 환자의 의료지식은 의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원고인 환자가 부담하는 인과관계에 관한 증명책임의 완화가 판례를 통하여 인정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의료민사책임에서 인과관계를 어떻게 인정하는지에 관한 법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판례의 태도를 인과관계가 문제되는 유형별 - 일반적 의료행위의 경우, 설명의무의 경우, 의료과실과의 인과관계가 없는 경우 - 로 나누어 고찰하기로 한다.

  • PDF

현행 및 개정안 환자안전법의 자율보고시스템에 대한 비판적 고찰 (Critical Considerations on Autonomous Reporting System of Current and Revised Patient Safety Law)

  • 신재명;조기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33-42
    • /
    • 2018
  • 2015년 1월 28일 제정되었던 환자안전법이 2016년 7월 26부터 시행되고 있다. 환자안전법은 환자안전문제에 있어 사후적인 민 형사상 책임추궁에 초점을 두고 있던 과거시스템에서 탈피하여 사전적으로 의료오류(medical error)의 예방을 위해 보고시스템을 통하여 각종 오류를 수집 집적한 후 얻어진 결과물을 진료에 반영함으로써 위해를 예방하고자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법의 유효성을 위해서는 환자안전사고의 예방 보고 재발 방지 등을 위한 환자안전관리체계구축의 핵심적인 전제인 '환자안전사고의 자율보고 및 보고 학습시스템'의 활성화가 관건이다. 그리고 이 시스템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많은 양의 보고자료축적이 필수적인 전제요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 17개월 동안 단 2건에 불과한 보고가 있었을 뿐이다. 외국의 선례에서는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의무보고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현행 자율보고시스템의 타당성과 발의되어 있는 두 개정안을 비판해보고, 부분적 의무보고시스템의 도입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원격진료 실시에 수반되는 법적 쟁점들에 대한 고찰 (Legal Issues To Be Considered Before Implementing Telehealth in South Korea)

  • 이원복
    • 의료법학
    • /
    • 제22권1호
    • /
    • pp.57-90
    • /
    • 2021
  • 의료인이 직접 환자를 진료하는 형태의 원격진료가 현행 의료법에서 허용이 되는지 여부와 의료법상 허용을 떠나 정책적으로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의 문제가 오랫동안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다가 코비드19라는 인류가 드물게 겪는 팬데믹 상황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에서 한시적으로 허용이 되었고 외국에서도 이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다시 관심을 받고 있다. 원격진료의 허용 여부에 관하여는 이미 많은 논문이 존재하지만, 막상 원격진료가 실시될 경우 그에 수반되어 발생할 수 있는 부수적인 법적 쟁점들에 관하여는 논의가 부족했던 부분이 있어 이 글에서 다루었다. 필자는 국민건강보험의 수가정책, 환자 본인 확인, 의약품 비대면 구매, 진료장면 녹화에 관하여는 입법적으로 미리 정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고, 원격진료에 필요한 시설 기준은 오히려 법제화를 하면 현실에 뒤떨어지거나 변화에 대응하는 탄력성이 떨어지므로 법제화를 하지 않고 대신 의료인이 의료기기법상 승인을 받은 원격진료용 기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판단하였으며, 끝으로 원격진료의 맥락에서 발생한 의료사고의 책임이라든가 개인정보 보호는 기존의 민사법이나 개인정보 보호법으로 이미 충분한 대응이 되므로 별도의 특칙을 제정할 필요는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의료기관 개인건강정보의 이차적 이용 (The Protecton of Privacy on Secondary Use of Personal Health Imformation)

  • 김장한
    • 의료법학
    • /
    • 제11권1호
    • /
    • pp.117-143
    • /
    • 2010
  •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the information obtained during the medical procedures was working as a source of valuable assets. Especially, the secondary use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gives the ordeal to privacy protection problems. In korea, the usage of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is basically regulated by the several laws in view of general and administrative Act like Medicine Act, Public institution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nformation-Network Act etc. There is no specific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Act. Health information exchange program for the blood donor referral related with teratogenic drugs and contagious disease and medical treatment reporting system for income tax convenience are the two examples of recently occurred secondary use of health information in Korea. Basically the secondary use of protected health information is depend on the risk-benefit analysis. But to accomplish the minimal invasion to privacy, we need to consider collection limitation principle first. If the expected results were attained with alternative method which is less privacy invasive, we could consider the present method is unconstitutional due to the violation of proportionality rule.

  • PDF

원격의료의 법률관계 및 법제개선방안 (A Study on the Civil Liability of Telemedicine and Some Legislative Proposals)

  • 정용엽
    • 의료법학
    • /
    • 제7권1호
    • /
    • pp.323-386
    • /
    • 2006
  • A combin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medical care has given rise to a new type of medicine, i.e., telemedicine. Broadly defined, telemedicine is the transfer of electronic medical data from one location to another. Both at home and abroad, telemedicine has come to success in establishing appropriate equipment and solutions for such non-conventional medicine. Sooner or later, telemedicine is believed to find itself as one of the universal treatments. In order to facilitate the full-fledged development of telemedicine, a number of leg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have to be settled. In Korea, the Medical Act was amended to include such provisions as telemedicine, electronic medical records, electronic prescriptions, etc. and the Act came into force on March 31, 2002. Telemedicine is in common with the conventional medicine in that a physician treats a patient. However, telemedicine is basically differentiated in the followings: - The offer and acceptance of treatment and medication are usually made on-line; - Telemedicine is inherently dangerous because a physician cannot meet face-to-face with a patient; and - Joint and several liability is borne by all the physicians involved in a telemedical consultation. As a result, telemedicine is vulnerable in nature to medical malpractice. Accordingly, there must be some new theories and arguments in the formation of contract and torts. The discussion on the civil liability covers the above-mentioned issues, and would give an insight or guidelines in the concerted operation of provisions with respect to telemedicine. This study delves into the civil liability of physicians involved in telemedical consultations and treatments based upon the conventional malpractice theory.

  • PDF

의료과오소송 원고의 증명부담 경감 - 대법원 판례상 '일반인의 상식' 문언을 중심으로 - (Mitigation of Plaintiff's Duty to Prove in Medical Malpratice Litigation - Focused on the Phrase "Layman's Common Sense" in Supreme Court Precedents -)

  • 석희태
    • 의료법학
    • /
    • 제8권2호
    • /
    • pp.195-204
    • /
    • 2007
  • It is a general principle that the plaintiff takes burden of proof about negligence and causation in a civil compensation litigation. And it is the same in a medical malpractice lawsuit. Korean courts have made diverse efforts to mitigate the plaintiff's duty to prove in medical malpractice lawsuits under the name of justice and impartiality. One of those theoretical attempt is 'presumption of causation'. The Supreme Court, since 1995, has developed a new logic for the theory of 'presumption of causa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a phrase "layman's common sense". The Court presumes the defendant's negligence and causation when the plaintiff alleges and proves the facts which can be pointed out and expressed by a layman with common sense. And if the defendant fails to prove that the result was caused by other fact than own medical activities, the defendant shall be defeated. I realize that this theory has problem for justice and impartiality. I would say that two fators should be considered and added to this logic. First,are defendant's acts generally belonging to gross negligence which would cause that kind of bad result? Second, is it recognized that there would be the causation generally and statistically between the cause and the result?

  • PDF

의료인 성범죄 사건에 관한 판례 고찰 : 대법원 2016. 12. 29. 선고 2015도624 판결을 중심으로 (Study on Precedents about Sex Offense Cases by Medical Practitioners)

  • 전병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610-618
    • /
    • 2017
  • 한국에서 의료인에 의한 성범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환자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들은 불안감을 호소하며, 의료계에 대한 불신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사회에서의 성범죄에 대한 엄벌주의 요청에 따라 성범죄 관련 범죄의 형량을 높이는 방향으로 법률의 제 개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성범죄 의료인에 대한 행정처분을 활성화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와 달리 실제 법률을 적용하는 사법부는 의료인의 성범죄 사건에 대해서 그 심각성을 크게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2016년 12월, 대법원은 소아과 병원 진료과정에서 의사가 여중생을 추행한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하여 국민의 법감정과 상이한 판결을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당 사건을 중심으로 의료인의 성범죄 사건에 대한 판례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성범죄 의료인에 대한 법적용의 미비점을 보완하여 의료계 전반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고, 국민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음으로써 국민의 건강권과 행복권을 담보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