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al Research Council(MRC) Scal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7초

한방병원에 내원한 급성기 이후 코로나-19 환자 15명에 대한 임상적 특징 및 치료 분석 : 사례군 연구 (Effect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in Post-acute COVID-19 Syndrome: A Retrospective Case Series of 15 Patients)

  • 박지원;홍성은;신정원;김관일;이범준;정희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96-412
    • /
    • 2022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linical features of post-acute COVID-19 syndrome and the efficacy and safety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5 patients with post-acute COVID-19 syndrome who visited the outpatient Allergy, Immune, and Respiratory System Department at Kyung 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from January 10, 2021 to April 10, 2022.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harts of 15 patients and collected clinical characteristics, Korean medicine treatments, outcome variables (Numeral Rating Scale (NRS), modified Medical Research Council scale (mMRC), Leicester Cough Questionnaire (LCQ), Quality of Life Visual Analog Scale (QOL-VAS), The Post-COVID-19 Functional Status (PCFS)), adverse events, etc. Results: Of the 15 patients, seven (46.7%) were men, and the average age of all patients was 49.7±13 years. The most common symptom was cough (n=9, 60%), and it was followed by dyspnea or increased respiratory effort, fatigue, insomnia, anosmia, etc. The herbal medicine was prescribed for all 15 patients, and Saengmaek-san (n=8, 53.5%) was the most prescribed. Additionally, acupuncture and cupping were performed in four patients (26.7%) each, and electroacupuncture was applied to one patient (6.7%). As a resul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NRS, mMRC, LCQ, QOL-VAS, and PCFS showed improvement, and adverse events were mild.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ed the clinical features of post-acute COVID-19 syndrome and suggested that Korean medicine treatment may be effective in alleviating related symptoms and enhancing quality of life.

만성폐쇄성폐질환자에서 질병 중증도 및 삶의 질을 비롯한 사회적 요인과 호흡곤란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Dyspnea and Disease Severity, Quality of Life, and Social Factor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김은진;박재형;윤석진;이승준;차승익;박재용;정태훈;김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4호
    • /
    • pp.397-403
    • /
    • 2006
  • 연구배경: 만성폐쇄성폐질환은 질병의 중증도를 추정 정상치에 대한 $FEV_1$의 백분율을 기준으로 분류해 왔다. 그러나, 같은 폐기능 검사소견을 보이는 환자들 사이에서도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 호흡곤란에는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흡곤란이 $FEV_1$를 비롯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 주변으로부터 받는 도움의 정도, 직업 등에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6월부터 2004년 5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호흡기 내과에서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추적관찰 중이며, 임상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비가역적인 폐쇄성 폐기능 장애를 가진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병기는, GOLD 병기를 따랐으며, 호흡곤란 척도는 MRC 호흡곤란 척도를 사용하였다. 건강 관련 삶의 질은 한국어 St. Goe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SGRQ)를 사용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FEV_1$은 추정 정상치의 32.0%였다. GOLD 병기와 호흡곤란 정도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p=0.114). 호흡곤란이 심할수록 SGRQ 값의 증상(symptom)(p=0.041), 활동력(activity)(p=0.004), 영향력(impact)(p=0.001), 총점(total)(p<0.001) 수치 모두에서 의미있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호흡곤란 정도와 직업간에 의미있는 상관관계는 없었으며(p=0.259), 호흡곤란이 심할수록 환자가 주변으로부터 받는 도움 정도는 적다고 느끼는 상관관계가 뚜렷하였다(p=0.011). 결론: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진료에서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호흡곤란은 $FEV_1$에 따른 병기 외에도 건강관련 삶의 질 및 주변의 지지 정도와 더 연관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