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al Library

검색결과 482건 처리시간 0.031초

의학정보관리 연구경향 분석 연구 (A Study on Research Trends Analysis of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 김희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7-12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외국과 한국의 의학정보관리 연구 경향을 문헌정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외국 데이터는 2007년부터 2010년까지 3년여 간을 대상으로 LISA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였으며 대상 논문은 총 225건이다. 한국 데이터는 DBPIA를 이용하였다. 주제카테고리에 기반한 내용분석 결과, 외국의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으며, electronic resources and collection 관련 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한국의 경우도 역시 동일 주제영역인 electronic resources and collection의 비중이 높았고, 계량서지학적인 연구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의학정보관리 영역 연구의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

의학도서관 사서의 SR 지원에 관한 연구 (Medical Librarians' Contribution to SR Searching)

  • 신은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79-195
    • /
    • 2020
  • 이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외 의학 Systematic Review(SR) 연구 현황을 살피고, 국내 사서가 공저자로 참여한 SR 연구논문을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SR 참여 사서와의 인터뷰를 통해 참여 사서의 활동, 역할, 애로사항을 파악하였고, SR 연구 참여 활성화 방안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외 SR 연구건수는 최근 증가세이고, SR 연구에 참여한 사서를 공저자로 등재하거나 사사표기함으로써 사서의 기여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사례도 더불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의학도서관의 SR 참여 사서는 탐색 전문가, 자료 수집가, 참고문헌 작성자, 뿐만 아니라 탐색전략 설계, 완전한 SR 탐색 기록, 일대일 DB탐색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었다. 인터뷰 참여 사서는 SR 참여 활성화 정책으로 사서 인력 충원, 재교육, 문헌정보학 교과목 개편 등을 제시하였다. 날이 갈수록 이용자의 정보요구 수준은 높아지고, 사서에 대한 기대 또한 커지고 있음을 감안할 때, 의학도서관 SR 참여 사서의 활동과 기여는 사서의 서비스를 심화하고 확장하려는 타도서관에게도 좋은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의학사서 역량 강화를 위한 국내외 의학도서관협회 지원 프로그램 비교 및 분석 - MLA 및 KMLA를 중심으로 - (Comparison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Medical Library Association Support Programs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Medical Librarians: Focusing on MLA and KMLA)

  • 이혜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49-182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의학사서 역량 강화를 위한 KMLA의 지원 프로그램 개선 방안을 제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문직협회의 역할 조사 후, 공통된 역할 추출 및 이를 5개 영역으로 범주화한 후 MLA와 KMLA의 지원 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KMLA의 지원 프로그램 개선 방안으로 여섯 가지를 제언할 수 있다. 첫째, 의학사서를 공식적·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계속)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영역에서 의학 분야에서 필요한 전문적인 영역의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며 IRB 위원회 역할을 위한 교육도 필요하다. 셋째, 연구 및 출판 지원에 있어서 연구비 및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지원이 요구된다. 넷째, 네트워크 및 협력 지원에 있어서 멘토링, 리더십·펠로우십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며 국내·외 파트너십에 대한 개선과 다양한 수상 지원도 계획도 필요하다. 다섯째, 전문자격증 및 각종 인증서 제도에 있어서 관련 분야의 학위 취득 지원, 다양한 강좌 지원을 통한 인증서 발급 등이 필요하다. 여섯째, 기부금 유치를 위한 KMLA의 적극적인 대내외적 홍보 및 활동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 의학 문헌의 서지활동 (색인.초록)의 현황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s and Current Conditions of the Bibliographic Control(Indexing and Abstracting) for the Medical Literature in Korea)

  • 윤영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1-61
    • /
    • 2000
  • Because most of the medical literatures published in Korea are not listed on the foreign famous index or abstracts journals, it is necessary to index and abstract them domestically. Increasing number of medical literatures makes one final to refer to informations needs without nay secondary materials. Recently, any indexes and abstracts of medical literatures are published, but there are no tertiary lists. Because of that fact, it is difficult to know the status quo of the bibliographic works for the medical literatures in Korea. In this research, status quo of indexing of abstracting of articles in domestic medical journals were investigated and systems or contents of the indexing an abstracting in Korea were analyzed to suggest the standard of bibliographic control.

  • PDF

웹페이지를 통한 의학도서관의 정보서비스 실태조사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rvive in Webpages of the Medical Libraries)

  • 조찬식;한혜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7-101
    • /
    • 2005
  • 웹페이지의 급속한 확산은 빠른 정보의 유통을 필요로 하는 의학도서관의 정보서비스에도 필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본 논문은 먼저 의학도서관의 웹페이지의 이론적 배경과 정보서비스차원에서 웹페이지의 의의를 살펴보고, 서울시 의학도서관의 웹페이지에 나타난 정보서비스의 실태를 조사${\cdot}$분석한 뒤, 이를 바탕으로 웹페이지를 통한 의학도서관의 정보서비스의 활성화에 일조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Webometrics Ranking of Digital Libraries of Iranian Universities of Medical Sciences

  • Dastani, Meisam;Atarodi, Alireza;Panahi, Somayeh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41-52
    • /
    • 2018
  • Digital Library websit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of the institution and library resources. It acts as a trustworthy mirror of the institute. To evaluate the library website performance webometrics tools and indicators are required. The aim of the present research is study the webometrics of Digital Libraries of Iranian Universities of Medical Sciences on the Web to determine the amount of the visibility a website and web pages. The URL and link of 42 digital library website is obtained directly by visiting the university's website. To extract the number of indexed web pages (size), rich files have used the Google search engine Also, to extract the number of scientific resources retrieved have used the Google Scholar search engine. To calculate and obtain the number of links received have used the MOZ search engine. General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website of Iranian digital libraries did not have a good performance in term of webometric indexes, and none of them were not rated at all indexes, only some of the websites mentioned in one or two indicators.

한의학분야 연구자들의 학술정보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ademic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Oriental Medical Researcher)

  • 변성희;윤구호;서미령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8
    • /
    • 2002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ademic informationseeking behavior and demand of the oriental medical researcher and to create the base data for establishing a library environment providing a high-quality information service which would aid the activity of such researchers, Methods : We distributed a questionnaire to the one hundred professors of th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on the method of acquisition of information data, the environment of the library belonging to the college, and the like. Results : $\circled1$ The main class using the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of oriental medicine was revealed to be researchers having a career of 10 to 15 years who had a domestic doctorate in oriental medicine. $\circled2$ When accessing information, the primary information resource used was academic journals. $\circled3$ Of the data forms mentioned in the study, periodicals was used most in number of printed data; computer databases among non-printed data. $\circled4$ The purpose of using an information resource was for performing a research project. $\circled5$ The path of acquisition of information was usually through the materials in their possession. $\circled6$ The greatest difficulty in gathering information was first of all the lack of information owned by the library, and next a lack of time and insufficient knowledge of information search and use. $\circled7$ More than 90% of respondents on the necessity of an expert library answered as "necessary" or "certainly necessary", indicating that the foundation of an expert library is very urgent. Conclusions : This study is beneficial for researchers engaged in oriental medicine to activate the use of information and also it will form a base of data for researchers to establish an environment of expert library in oriental medicine.

  • PDF

의학도서관 사서들의 직무 소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ob Burnout of Medical Librarians in Korea)

  • 장혜란;김정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45-269
    • /
    • 2017
  • 의학도서관 사서들의 직무 소진 현황을 파악하고 영향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한국의학도서관협회 산하 138개 회원기관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개인적 배경과 직력, 조직적 특성, 소진 수준, 극복 활동에 대한 이메일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소진측정 도구로는 MBI-GS가 사용되었다. 2016년 12월 2주간 수행된 조사에 158명이 응답하였으며(응답률 65.6%), 데이터는 기술적 통계, t-검증, 분산분석, 상관관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MBI-GS 규준에 따르면, 의학도서관 사서들의 소진 상태는 정서적 탈진과 직업효능감은 중간 단계에 속하나, 냉소는 매우 높은 단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들의 소진은 나이, 의학사서자격, 근무경력, 관종, 업무의 수, 극복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고, 업무량, 역할갈등, 의사결정 및 성과평가의 합리성, 조직내 의견교환, IT환경, 계속교육 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소진완화를 위한 개인적, 조직적, 그리고 전문직 단체의 관리방안을 제언하였다.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와 영향요인에 대한 문헌고찰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nd influencing factor: a literature review)

  • 신요한;국종원;김보균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93-203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through systematic review of prior studies. Methods: Databases were searched including national assembly library,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korea 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to conduct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Results: The included studies were published from 2004 to 2017. After applying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o the retrieved 92 studies, a total of 11 studies were includ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Slavitt, Stamps, Piedmont and Haase was the most common tool used from the included studies. In the study using 5 point Likert type scale, the average job satisfaction level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as 3.18. It was 2.86 based on 4 point scale. Conclusion: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satisfaction level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s around the medium level. Effective strategy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influencing factors to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b satisfaction.

NLM Medical Text Indexer를 활용한 우리나라 의학문헌의 MeSH Semi Indexing 방안 (MeSH Semi Indexing of the Korean Biomedical Literature, using NLM Medical Text Indexer)

  • 정소나;이춘실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0년도 제17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2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PubMed에 등재되었으나 Medical Subject Headings(MeSH)가 부여되지 않은 국내 의학학술지의 문헌을 대상으로 미국국립의학도서관 (NLM: National Library of Medicine)의 Medical Text Indexer(MTI)를 활용하여 MeSH 용어를 추천받은 후, PubMed 레코드의 유사주제문헌 (Relation Citations, PRC)에 부여된 MeSH와의 일치여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논문의 저자가 부여한 키워드(저자키워드)와 PRC MeSH의 일치여부도 비교하였다. PRC MeSH와 MTI MeSH 추천어의 일치율은 주표목이 21.1%였고, 체크태그는 18.1%, 부표목은 16.5%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의학논문에 나타난 저자키워드의 중요한 특징은 MeSH 주표목 위주이고, 체크태그와 부표목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저자키워드와 PRC MeSH 주표목과의 일치율은 23.4%에 이르지만, 체크태그와 부표목의 일치율은 각각 1%, 2.1%였다. 색인전문가가 통제어휘를 사용하여 색인하는 과정에서 PRC와 MTI의 MeSH 주표목과 저자키워드가 일치하는 용어를 주표목으로 부여하고, PRC와 MTI가 추천하는 체크태그와 부표목을 활용하는 등 국내 의학문헌의 MeSH 용어 부여 작업을 반자동화(semi-indexing)하면, 정확하고 신속한 MeSH 부여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