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al Dispute Mediation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2초

외국인환자 의료분쟁 해결을 통한 국제진료 활성화방안 (A Study on Strategy for Global Health Care through the Resolution of Medical Disputes with Foreign Patients)

  • 변승혁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26권1호
    • /
    • pp.73-87
    • /
    • 2016
  • Activation Plan for International Health Care through the Resolution of Medical Disputes with Foreign Patients. The field of international health care is currently being expanded and developed into the new industrial field of medical tourism through the convergence of medicine - a public sector - and tourism - a private sector. This study examines problems with medical law regarding the prevention of medical disputes that may occur when attracting foreign patients and the resolution of these disputes. It also introduces the current most ideal resolution plan for medical disputes. Advanced measures for the prevention of medical disputes with foreign patients are as follows: First, when conducting international health care, the obligation to explain a medical treatment should be applied at higher standards for foreign patients. Second, all medical treatment procedures, including appointments, treatments, discharge, post-operation consultations, and follow-up treatments of foreign patients should be charted and recorded. A checklist regarding precautions for each procedure along with a response manual for problems should also be established. These regulations can prevent unexpected conflicts in advance when medical disputes occur. If a medical dispute with a foreign patient occurs despite thorough advance prevention, it can be resolved through reconciliation, mediation, and arbitration. The government and the medical field along with its related industries and authorities should put their efforts into developing these priori/posteriori measures for the activation of international medical health care. The laws and technological/human capabilities in medicine should also be improved in order to activate international medical health care.

의료관광 분쟁시 책임주체에 대한 검토 (Review of Responsibility in Case of Medical Tour Disputes)

  • 문상혁
    • 의료법학
    • /
    • 제17권1호
    • /
    • pp.107-135
    • /
    • 2016
  • 의료관광은 21세기 새로운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각 국가마다 다양하고 차별화된 의료관광 상품개발로 의료관광산업은 더욱더 활성화 될 것이다. 이러한 의료관광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의료관광상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 위해서는 관광객의 수요와 관심분야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제공할 의료관광 상품을 준비해야 한다. 정부는 의료관광산업을 고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국가경제발전과 Global Healthcare산업 전문가 육성 등을 통한 고용창출에 대한 기대효과가 큰 산업으로 보고, 의료관광 분야의 지원정책을 확대하여 의료관광 출입국 제도 개선, 의료관광객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제도, 의료관광인력 양성제도 등을 도입하였다. 하지만 외국인 환자와 의료관광 유치업자와의 분쟁이 발생하고 있으며, 외국인 환자와 의료인의 의료사고분쟁, 외국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여행업 종사자들과의 분쟁 등이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의료관광과 관련하여 유치업자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분쟁에 대한 유형을 검토하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검토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의료관광 유치업자는 중개된 급부를 알선할 의무와 동시에 상당한 주의를 가지고 그 사무를 처리하여야 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개계약 성립 후에 적극적으로 중개결과에 이르기까지 소극적으로 대처하여 분쟁이 발생할 경우에는 그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또한 의료관광 중개계약에서 유치업자는 외국인환자에게 급부의 내용에 설명의무와 조언의무를 부담하는 것을 알아야 한다. 외국인환자와 보건산업진흥원 "외국인환자 의료분쟁 해결을 위한 중재제도 안내"를 보면, 외국인환자가 진료계약서 작성할 때 외국인환자에게 의료사고로 인한 분쟁이 발생할 경우 우선적으로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이 외국인환자를 보호하는데 충분한 것인지에 대한 논의는 좀 더 다양한 관점에서의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의료관광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품을 개발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지만, 그와 관련한 분쟁이 발생할 경우 그에 대한 대처 방안도 사전에 마련해 두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수한 의료기술뿐만 아니라 외국인 의료관광객에게 신뢰를 바탕으로 더 커다란 발전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해외 미술품 유통분쟁 해결제도를 통해 살펴본 국내 미술품 진본성 확보방안 (A Study on the New Scheme for South Korea's Artwork Authenticity With a Review of the Overseas Art Distribution Dispute Setting System)

  • 임성윤;변승혁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30권1호
    • /
    • pp.199-215
    • /
    • 2020
  • Compared to Korea's recently expanding art distribution market, the difficulty of securing the authenticity of art is hindering the healthy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market. In this regar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emotional system in the UK and France's art distribution process are examined as excellent cases in foreign countries. In the UK, there is a full autonomous appraisal system by art experts without state intervention. In France, the judiciary and the administration of art have an appraisal system for art works, so the appraisal work has reliability and objectivity. Through the above system, this study suggests measures to strengthen transparency in art trade and to break unfair practices in order to secure the authenticity of the domestic art distribution market.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a professional appraisal system and the improvement of administrative law regulation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nsuring fairness through mediation through the example of an international arbitration body.

정부 및 공공기관의 보건 관련 웹 사이트의 웹 접근성 - 자동 및 전문가 평가 - (Web Accessibility of Healthcare Websites of Korean Government and Public Agencies: Automated and Expert Evaluations)

  • 이용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3-304
    • /
    • 2015
  • 본 연구는 정부 및 공공기관의 보건 관련 웹 사이트들의 웹 접근성을 한국형 지침에 따라 평가하여 장애인이나 노령자들과 같은 정보이용 소외집단들이 겪을 수 있는 문제점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27개의 보건 관련 웹 사이트의 접근성을 자동평가 및 전문가 평가를 수행하여 측정하였다. 두 단계의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국립병원이나 국립재활원 등과 같은 의료기관들은 웹 접근성 오류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복지부, 보건사업진흥원, 식품의약품안전처, 그리고, 한국의료분쟁 조정중재원 등은 웹 접근성 준수율이 매우 높았다. 그러나 전문가 평가를 실시한 결과, 자동평가에서는 오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던 적절한 대체텍스트의 제공이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텍스트 콘텐츠의 명도 대비가 표준에 미치지 않아 전맹자나 저시력자들의 웹 접근성을 지원하기 힘든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 외에도 기본언어표시와 마크업 오류 등 정확한 정보의 전달을 어렵게 하는 문제들이 나타났고, 반복영역 건너뛰기, 콘텐츠 선형화, 그리고 키보드 사용보장을 준수하지 않는 문제들이 발견되어 시각장애뿐 아니라 인지장애 내지 운동장애가 있는 이용자에게는 웹 접근성을 심각하게 방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연구로서는 처음으로 정부 및 공공기관의 보건관련 웹 사이트들의 접근성을 한국형 지침에 따라 평가했다. 또한, 이러한 웹 사이트들을 대상으로 자동 평가로 측정하기 어려운 웹 접근성의 정도와 상세한 내용 분석을 포괄하는 전문가 평가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웹 접근성 연구 분야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