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ago species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18초

봄철 포장건조 콩과목초의 수량 및 품질 손실 (Losses in Yield and Quality of Forage Legumes During Field Curing in Spring)

  • 김동암;김종덕;한건준;이광녕;김종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7-132
    • /
    • 1999
  • 우리나라에서는 봄철에 콩과목초를 수확한 후 포장 건조시 목초의 수량 및 품질손실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콩과목초인 알팔파(Medicago sativa L.), 크림손 클로버 (Trifolium incarnatum L.) 및 레드 클로버(Trifolium pratense L.)를 봄철 포장에 건조하였을 때 콩과목초의 수량 및 품질 손실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알팔파의 수확시 건물 함량은 15%로 가장 높았으며, 크림손 및 레드 클로버의 건물 함량은 각각 12.4 및 11.5%였다. 이러한 초종간의 건물 함량의 차이는 포장 건조기간 중에 계속 유지되었다. 건물 함량이 80% 이상이 되는데 알팔파는 7일이 소요되었으나, 크림손 및 레드 클로버는 8일이 소요되었다. 크림손 클로버 및 알팔파의 건물당 잎과 줄기의 비는 레드클로버보다 높았으나, 조단백질 함량을 가지고 비교할 때 잎과 줄기 비는 레드 클로버가 크림손 클로버 및 알팔파보다 높았다. 건조기간중 탈엽에 의한 건물 손실률은 알팔파가 크림손 클로버 및 레드 클로버보다 높았으며, 조단백질의 손실률도 초종간의 차이가 같은 경향을 보였다. 생초와 건초의 사료가치 비교에서 생초는 조단백질(CP), 가소화영양소총량(TDN) 및 상대사료가치(RFV)에서 높았고, 건초는 ADF 및 NDF 함량이 낮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봄철(5월 중순)에 포장에서 건조된 건초는 건조기간 중 탈엽에 의한 조단백질의 손실이 높기 때문에 ADF 및 NDF 함량보다는 조단백질 함량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대구광역시 안심습지의 식물상 (Flora in Ahnshim Wetland, Daegu Metropolitan City)

  • 유주한;정성관;박경훈;김경태;이우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2-170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 습지보전 계획수립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안심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은 57과 155속 179종 22변종 등 총 201 분류군이 요약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자라풀이었다. 습지식물의 경우 정수식물은 애기부들, 개피, 줄, 갈대, 고마리, 미나리, 물칭개나물, 침수식물은 말즘, 나사말, 검정말, 붕어마름, 물수세미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엽식물은 가래, 자라풀, 연꽃, 노랑어리연꽃, 부유식물은 생이가래, 개구리밥, 좀개구리밥으로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메귀리, 오리새, 소리쟁이, 묵밭소리쟁이, 털비름, 다닥냉이, 말냉이, 나도재쑥, 개소시랑개비, 벳지, 아까시나무, 족제비싸리, 토끼풀, 자주개자리, 가죽나무, 애기땅빈대, 큰달맞이꽃, 둥근잎유홍초, 둥근잎나팔꽃, 까마중, 큰개불알풀, 뚱딴지, 돼지풀, 도꼬마리, 개망초, 망초, 큰망초, 개쑥갓, 미국가막사리, 만수국아재비, 서양민들레, 붉은씨서양민들레, 방가지똥 등 총 33분류군이었다.

종자피복이 겉뿌림 목초의 정착과 초기 생육에 미치는 영향 (Seed Coating Effect on Establishment and Early Growth of Over Sown Pasture Species)

  • 김종관;권찬호;한건준;민두홍;김종덕;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1-66
    • /
    • 2000
  • 본 시험은 1998년 충남 성환에 있는 천원목장의 불경운초지 및 임간초지에 선점식생을 제거하지 않고 피복종자를 겉뿌림하였을 때 목초의 정착 및 초기생육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불경운초지에서 tall fescue 및 orchardgrass 피복종자의 정착률 및 초기생육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불경운에서 alfalfa 피복종자는 정착률과 초기생육이 각각 4.7% 및 $4\;g/\textrm{m}^2$로 부처리에 비하여 높았다 (p<0.05). 한편 임간초지에서 tall fescue 피복종자의 정착률은 11.8%로 무처리의 0.3% 보다 높았으나 (p<0.05), 초기생육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임간초지에서 orchardgrass 피복종자의 처리간에 정착률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초기생육은 피복종자가 18.7%로 무처리의 0.3% 보다 높았다 (p<0.05). 임간초지에서 alfalfa 피복종자의 정착률은 무처리보다 높았다 (p<0.05).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tall fescue, orchardgrass 및 alfalfa 종자를 피복하여 불경운 초지 및 임간 초지에 겉뿌림시 정착률과 초기생육이 개선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 PDF

제주 성읍민속마을의 귀화식물 분포현황 및 관리방안 (A Study on the Distribution Status and Management Measures of Naturalized Plants Growing in Seongeup Folk Village, Jeju Island)

  • 노재현;오현경;한윤희;최영현;변무섭;김영숙;이원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7-119
    • /
    • 2014
  • 제주시 성읍민속마을을 대상으로 관속식물상 및 귀화식물의 현황을 조사하고, 여타 민속마을과 제주도 전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의 분포양상 및 발생특성과 비교 고찰함으로써 이곳의 귀화식물의 관리방안을 모색할 목적으로 시도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성읍민속마을의 관속식물상은 93과 260속 298종 44변종 12품종으로 총 354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귀화식물은 22과 46속 53종 2변종의 총 55분류군으로 이는 제주도 전역에서 확인된 총 254분류군의 21.7%에 해당된다. 이에 따른 성읍민속마을의 귀화율은 15.5%로서 이는 경북 안동의 하회마을, 경주의 양동마을, 성주의 한개마을, 강원 고성의 왕곡마을 그리고 충남 아산의 외암마을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였다. 마을내 발생한 귀화식물 중 분포지가 제주도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양장구채, 국화잎아욱, 애기달맞이꽃, 긴잎달맞이꽃, 솔잎미나리, 자주풀솜나물, 선풀솜나물, 큰참새피, 등심붓꽃 등 9분류군으로, 귀화식물의 이입 관문이자 선구 발생지로서의 특성을 살린 적절한 관리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를 통해 제주도 기준목록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까락빕새귀 리, 삼, 눈개불알풀 등 3분류군이 성읍민속마을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단위문화재 정원내 발생한 귀화식물은 총 20분류군으로 이 중 유럽점나도나물의 출현율이 62.5%로 가장 높았으며, 미국자리공 선개불알풀 망초 방가지똥 큰방가지똥(37.5%)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제주도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민속마을과 레크레이션공간의 공통된 특성으로 보인다. 한편 경관관리적 취급이 요망되는 식물군락은 유채를 비롯하여 귀화식물인 코스모스, 토끼풀, 잔개자리, 긴잎달맞이꽃, 애기달맞이꽃, 서양벌노랑이, 호밀풀, 양장구채, 서양금혼초, 미국질경이, 큰이삭풀, 유럽점나도 나물 등으로 분석되었다. 성읍민속마을의 단기적 귀화식물 관리방안으로는 경관농업적 차원에서 식재되고 있는 코스모스와 유채의 임내 침투 현황과 개화 후 활용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환경부가 지정한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인 돼지풀과 서양금혼초는 우선적으로 제거하고, 재발에 대비한 추가 발생과 확산과 팽창을 염두에 둔 모니터링의 실시를 제안한다. 특히 서양금혼초는 서식밀도 파악 및 제근 등 물리적인 방제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시각적으로 녹시율이 높은 정의읍성 외벽에 자생하는 방가지똥, 약모밀, 주홍서나물, 개망초, 자주광대나물의 제거가 시급하다. 이와 함께 폐 공가에 귀화식물의 분포와 우점도가 높음에 따라 공가에 대한 보존관리 및 민박 활용방안 등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