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ago sativa L.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6초

알팔파 발아와 초기생육에 대한 잡초종의 Allelopathic 잠재성 평가 (Assessment of Allelopathic Potential of Some Weed Species on Alfalfa(Medicago sativa L.)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 정일민;디 에이 밀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1-130
    • /
    • 1995
  • 본 실험은 알팔파 발아와 초기생육에 대한 canada thist1e 등 7종잡초의 allelopathic 잠재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1. 7종류 잡초의 지상부와 지하부 추출물의 알팔파 발아와 생육에 대한 억제효과를 비교하면 두 추출물이 공히 알팔파 발아와 생육에 억제적으로 작용하였으나, 지상부의 추출물이 지하부의 추출물보다 더 큰 억제작용을 보였으며, 이 중에서 velvetleaf 추출물이 가장 억제적이었고(b=3.69), crabgrass 추출물은 가장 낮은 억제정도를 보였다(b=2.39). 2. 농도에 따른 velvetleaf 추출물 처리에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alfalfa 발아율, 유근의 길이, 무게 등이 대조구외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억제되었으며, 알팔파 발아와 유근의 생육에 대한 velvetleaf의 건조 추출물과 생체 추출물을 비교하면 건조 추출물이 더 억제적으로 작용하였다. 3. 건조된 velvetleaf를 silica sand와 혼합처리시 혼합비율이 증가될수록 알팔파의 초기 출현율과 생존율이 더 억제되었으며 혼합비율 1%에서는 출현율과 생존율이 44.0%, 56.7%로 가장 낮았다. 4. 잡초 잔기의 처리시간에 따른 알팔파 초기 생육에 대한 억제작용은 처리시간의 증가와 더불어 알팔파 생장이 억제되었고, 그 억제정도는 velvetleaf 72시간 처리시 가장 높았다.

  • PDF

An Assessment of Allelopathic Potential of Korean Black Soybean Plant Parts

  • Chon, Sang-U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45-350
    • /
    • 2003
  • A series of aqueous extracts and residues from leaves, stems, roots, pods and seeds of Korean black soybean (Glycine max (L.) Merr.) were assayed against alfalfa (Medicago sativa) and barnyard grass (Echinochloa crus-galli) to determine their allelopathic activities through petri-dish and greenhouse experiments, and the results showed highest inhibition in the extracts or residues from the seeds, and followed by pods. The extracts of 40g dry tissue $\textrm{L}^{-1}$ applied on filter paper in petri-dish bioassay significantly inhibited root growth of alfalfa, and especially extracts from seeds and pods reduced root length of alfalfa more than those from leaves, stems, or roots. Plant height, root length, shoot and root dry weights of barnyard grass were reduced significantly by residue incorporation of seeds and pods as the incorporated amount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black soybean plants had herbicidal potential, and their activities were exhibited differently depending on plant parts.

산성토양에서의 근류균 종자접종과 석회시용이 Alfalfa (Medicago sativa L. cv. Luna)의 초기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InocuJation of Rhizobium meliloti and Lime Application on the Early Growth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cv. Luna) in an Acid Soil)

  • 이광회;이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8-206
    • /
    • 1981
  • 산성토양에서 Alfalfa에 대한 근류균의 접종효과를 밝혀 우리나라에서 Alfalfa의 재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1980년 포장에서 Alfalfa 품종 Luna를 공시품종으로 국내에서 분리한 근류균(Rhizobium meliloti)을 공시균주로 하여 근류근 접종과 석회시용의 효과를 단보당 농용석회 100, 300, 600kg의 3가지 석회 수준에서 검토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근류균 접종구에서는 석회의 시용이 생육초기 근류형성량의 증가를 가져왔으며 위근류의 형성이 거의 없었으나 무접종구에서는 생육 초기부터 위근류가 형성되었다. 2. 석회시용 효과는 생육초기부터 나타났는데 석회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토양 pH, 초장, 근장, 지상부 건물중, 뿌리의 건물중 등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3. 예취기별 건물수량은 근류균 접종 및 석회시용 의해 현저히 증가하였는데 특히 근류균 접종구에서 석회시용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연간 총수량은 무접종구가 약 83kg/10a, 접종구가 약 286ks/10a으로 근류균 접종에 의해 3배 정도의 수량증대를 보였다. 4. 식물체내 전질소함량은 근류균 접종에 의해 잎이 4.0~4.5%, 줄기가 1.5~l.8% 그리고 뿌리는 1.7~l.9%정도로 헌저히 증가되있으며 근류형성률이나 석회시용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 PDF

천연 혼합유화제를 이용한 O/W 유화액의 제조 :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한 유화안정성 최적화 (Emulsification of O/W Emulsion Using Natural Mixed Emulsifiers : Optimization of Emulsion Stability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Reponse Surface Methodology)

  • 홍세흠;천추이웨이;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34권3호
    • /
    • pp.299-30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무환자와 알팔파로부터 추출한 천연계면활성제를 유화제로 사용하여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합성계획모델(CCD-RSM)을 이용한 O/W 유화 제조공정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공정변수로는 혼합유화제 첨가량, 천연유화제 혼합비율(무환자 사포닌/알팔파 사포닌), 유화시간으로 설정하였고 반응치로는 유화액의 유화안정화지수, 평균입자크기, 항산화능(DPPH 라디칼 소거활성)으로 설정하였다. 기초실험을 통한 계량인자범위는 혼합유화제 첨가량(12~14 wt%), 천연유화제 혼합비율(30~70%), 유화시간(20~30 min)으로 설정하여 CCD-RSM을 이용하여 최적화한 결과, O/W 유화 제조공정의 최적조건으로 혼합유화제 첨가량은 13.2 wt%, 천연유화제 혼합비율은 44.2%, 유화시간은 25.8 min으로 나타났으며, 이 조건에서 예측된 반응치로서 유화액의 유화안정도지수(ESI)는 88.7%, 평균입자크기(MDS)는 815.5 nm, 항산화능은 38.7%으로 계산되었다. 이를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유화액의 ESI는 90.6%, MDS는 830.2 nm, 항산화능은 39.6%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오차율은 2.1%이었다. 따라서 CCD-RSM을 실제 유화 제조에 적용하여 만족스러운 O/W 유화제조 공정조건을 얻을 수 있었다.

알팔파의 Glyphosate 저항성 세포주 선발 (Selection of Glyphosate Resistant Cell Lines in Alfalfa (Medicago sativa L.))

  • 류점호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341-344
    • /
    • 1997
  • 알팔파의 자엽과 하배축을 배양하여 캘러스를 유기하고 이들을 glyphosate첨가 액체배지에서 배양하여 glyphosate에 대한 생장억제 반응을 검사하였으며 10 mM glyphosate에 저항성인 세포주를 선발하고 EPSPS 활성을 조사 하였던 바 캘러스 유기율은 2,4-D 1 mg/L, kinetin 0.5 mg/L에서 가장 높았고 자엽보다 하배축이 캘러스 유기율이 높았으며, glyphosate 농도에 대한 ID$_{50}$은 0.1 mM과 0.2 mM사이에 있었다. A49-10G와 A58-10G는 대조세포주에 비해 각각 8.0배 와 9.1배의 높은 EPSPS 활성을 보였다.

  • PDF

In Vitro Assessment on Biologic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everal Compositae Edible Plants

  • Chon, Sang-Uk;Kim, Tae-Soon;Boo, Hee-Oc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6-203
    • /
    • 2008
  • Phytotoxicity,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the aqueous or methanol extracts from the young sprouts of the six Compositae medicinal plants were determined. Aqueous leachates at 40g dry tissue $L^{-1}$ (g $L^{-1}$) Cirsium japonicum and Aster yomena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on alfalfa (Medicago sativa L.). Total phenolic content showed the highest amount in methanol extracts from Ixeris dentata, and followed by A. yomena, and Cephalonoplos segetum. Methanol extracts of C. segetum and I. dentata at 25${\mu}g$ m$L^{-1}$ exhibit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y 87.2, and 52.8%, respectively. By means of HPLC analysis, MeOH extracts of C. segetum had the highest amount of antioxidant chlorogenic acid. Based on MTT assay, the methanol extracts from Y. sonchifolia ($IC_{50}$ = 65.7${\mu}g$ $mL^{-1}$) showed the highest cytotoxicity against Calu-6. These results suggest that plant extracts had a dose-dependent biological potentials including phytotoxicity,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cancer activity, and that their activities exhibited differently depending on plant species.

Alfalfa (Medicago sativa L.)의 하배축 (hypocotyl)으로부터 다량의 이차체세포배 발생과 식물체 재분화

  • 원성혜;이병현;김기용;이효신;김미혜;이현정;조진기
    • 한국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1999년도 제24회 정기총회 및 프로그램, 제37회 학술발표회 및 특별강연 초록
    • /
    • pp.73.1-73
    • /
    • 1999
  • 알팔파의 하배축 (hypocotyl)으로부터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를 위하여 2,4-D와 kinetin이 조합 처리된 MS배지에 조직을 치상하였을 때 4주 후 캘러스가 유도되었으며, 2,4-D 4 mg/$\ell$와 kinetin 0.1 mg/$\ell$ 그리고 2,4-D 4 mg/$\ell$와 kinetin 0.5mg/$\ell$ 조합에서 체세포배가 형성되었다 성숙한 체세포배를 MS기본배지로 계대배양하였을때 정상적인 식물체로 재분화 하였다. 이차체세포배 발생을 위하여 재분화된 기내식물의 자엽으로부터 이차캘러스를 유도하였다. 2,4-D의 농도에 따라 배발생캘러스의(중략)

  • PDF

알팔파의 이차 캘러스를 이용한 Agrobacterium에 의한 효율적인 형질 전환 (Efficient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Alfalfa Using Secondary Somatic Embryogenic Callus)

  • 이병현;원성혜;이효신;김기용;조진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18
    • /
    • 2000
  • An efficient method for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forage crop alfalfa (Medicago sativa L.) was established using secondary somatic embryogenic calli. Agrobacterium tumefaciens strain EHAlOl and a binary vector pIG121-Hm which has selection markers for kanamycin and hygromycin have been shown to be an efticient materials for alfalfa transformation. The secondary somatic embryogenic calli originated from hypocotyl explants of alfalfa were efficient infection materials for Agrobacterium EHAlOl and normally germinated into plantlets. The introduced gene (GUS) was constitutively expressed in all tissues of transgenic alfalfa with different expression leve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 of pIG121-Hm vector, Agrobacterium EHAlOl and improved culture system of callus facilitate the transformation of alfalfa. (Key words : Agrobacterium, Alfalfa, Gene transfer, Transformation)

  • PDF

알팔파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with Added Alfalfa (Medicago sativa L.) Extracts)

  • 김상은;이상원;염동민;이문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23-128
    • /
    • 2012
  • 본 연구는 두부에 알팔파가 갖는 우수한 생리기능을 활용하여 기능성이 우수한 두부를 개발하고자 알팔파 추출물을 0.25, 0.5, 0.75 및 1.0% 수준으로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조된 두부의 수분 함량은 알팔파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무첨가 두부에 비해 높았으며, 조단백 함량은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조회분의 함량은 시료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부의 수율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지만 무첨가 두부보다는 높았다. 알팔파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탁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부의 색도는 알팔파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L값은 감소하고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a값은 모두 음(-)을 나타내어 녹색의 경향을 띄었다. 알팔파 추출물 첨가 두부의 견고성은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응집성, 탄력성, 검성 및 깨짐성은 첨가량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알팔파 추출물 첨가 두부의 이소플라본 함량은 첨가량에 비례하여 daidzein, genistein은 각각 322.6~348.6, $342.0\sim385.3{\mu}g/g$으로 증가하였다. 두부의 관능검사 결과 점수는 알팔파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0.5% 첨가 두부가 대조군에 비해 다소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알팔파 추출물의 첨가는 전체적인 조직감 및 이소플라본 함량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두부의 품질 특성은 유지하면서 관능적 특성 및 기능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알팔파 추출물을 0.5% 이내로 첨가하였을 때 두부의 조직감 및 기호도를 높일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농도로 판단된다.

Effects of Replacing Lucerne (Medicago sativa L.) Hay with Fresh Citrus Pulp on Ruminal Fermentation and Ewe Performance

  • Sparkes, J.L.;Chaves, A.V.;Fung, Y.T.E.;van Ekris, I.;Bush, R.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2호
    • /
    • pp.197-204
    • /
    • 2010
  •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replacing 30% (% in diet DM) of lucerne (Medicago sativa L.) hay with citrus pulp in Merino ewe diets: i) an in vitro study which measured ruminal fermentation; and ii) an in vivo study in which twelve Merino ewes pre- and post-lambing were fed experimental diets in a cross-over design over 120 days to evaluate effects on ewe performance (i.e. DM intake, average daily gain (ADG) and wool growth). In both the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the control treatment consisted of lucerne (91.3% in diet DM), lupins (8.3% in diet DM) and phosphate (0.42% in diet DM), while the citrus pulp treatment consisted of lucerne (57.7% in diet DM), lupins (9.5% in diet DM), phosphate (0.48% in diet DM) and fresh citrus pulp (32.3% in diet DM). Data were analysed using the mixed model procedure of SAS. In the in vitro study, gas production, total volatile fatty acid (VFA) yield, proportion of propionic acid to total VFA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were higher (p<0.02) in the citrus pulp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treatment. In contrast, in vitro ammonia production, pH and the acetate to propionate ratio were lower (p<0.03) for the citrus pulp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treatment. In the in vivo study, DM intake of ewes fed the citrus pulp diet was lower than their control ewe counterparts throughout both the pre- and post-lambing periods (928.9 vs. 1,115.0 g/d pre-; 1,285.0 vs. 1,620.3 g/d post-lambing, p<0.01), however ADG was similar (p = 0.12). Wool growth parameters and lamb performance did not differ (p>0.32) between treatments. In summary, the in vitro study demonstrated that the replacement of 30% of a lucerne diet with fresh citrus pulp improved total VFA yield, increased total gas production and improved IVDMD, while decreasing the production of ammonia, acetic acid and rumen pH. In addition, the in vivo study demonstrated that the replacement of 30% of a lucerne diet with fresh citrus pulp pre- and post-lambing decreased intake but did not affect ewe performance in terms of ADG and wool growth. These findings, of course, would be of significant interest to sheep producers endeavouring to control cost of feed ingredients whilst maintaining produ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