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ago sativa L.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초

알팔파(Medicago sativa L.)의 원형질체로부터 다경 유도와 식물체의 구분화 (Induction of Multi Shoots and Plant Regeneration From Protoplasts of Alfalfa(Medicago sativa L.))

  • 김동명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2권4호
    • /
    • pp.313-322
    • /
    • 1989
  • A system was established for induction of multi-shoots and plant regeneration from mesophyll protoplasts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cv. Vernal. Different hormonal effects were tested at each step of protoplast culture, i.e. cell division in modified Kao's liquid medium (K566-7). calli formation on SH semi solid medium, and multi-shoot regeneration from calli on SHa and SHb solid media. Frequency of multi-shoots and plant regeneration was affected by various combinations of phytohormones in final step. The evaluation of multi-shoots induction systems via protoplast culture was discused.

  • PDF

Glomus mosseae와 Rhizobium meliloti의 동시접종이 알팔파의 생장 및 질소고정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ual Inoculation with Glomus mosseae and Rhizobium meliloti on Growth and Nitrogenase Activity of Medicago sativa L.)

  • 유익동;서현창;김원곤;박동진;조갑연;김창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5-100
    • /
    • 1993
  • Effect of dual inoculation with vesicular-arbuscular(VA) mycorrhizal fungi, Glomus mosseae, and Rhizobium meliloti R455 on growth, nodulation, and nitrogenase activity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cv. Vernal) were examined in pot experiment. After 63 days growth, shoot length, number of leaf, and leaf size of alfalfa were increased as as result of dual inoculation with Glomus mosseae and Rhizobium meliloti. Total dry weight of alfalfa plant was increased 1.4 times compared to single inoculation with Rhizobium meliloti. Nodule number and mean fresh weight of nodule per plant were also increased due to the mycorrhizal infection.

  • PDF

알팔파 및 무환자나무열매로부터 천연유화제의 추출: CCD-RSM을 이용한 최적화 (Extraction of Natural Emulsifier from Medicago sativa L. and Sapindus saponaria L.: Optimization using CCD-RSM)

  • 홍세흠;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33권3호
    • /
    • pp.272-27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알팔파 및 무환자나무열매로부터 천연유화제를 추출하여 CCD-RSM을 이용한 추출수율 및 추출물의 거품안정도에 관한 추출공정을 최적화하였으며, 95% 신뢰구간에서 최적화 결과의 통계학적 합리성을 확인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주정/초순수의 부피비와 추출온도, 반응치로는 추출수율과 추출물의 거품안정도로 설정하였다. 주정/초순수 부피비 53.5 vol%, 추출온도 70.9 ℃인 최적조건 하에서 알팔파 추출공정의 최대 추출수율은 26.2 wt%, 추출물의 최대 거품안정도는 44.5%로 예측되었다. 무환자나무열매 추출공정의 경우, 최적조건인 주정/초순수 부피비 60.4 vol%, 추출온도 72.4 ℃에서 최대 추출수율은 31.9 wt%, 추출물의 최대 거품안정도는 47.5%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최적화 결과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알팔파 및 무환자나무열매 추출공정에 대한 각각의 평균 오차율은 3.4(± 0.3)% 및 5.0(± 0.04)%로 나타났다.

알팔파(Medicago sativa L.)의 치사온도 결정 (Determination of Heat Killing Temperature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 김기용;강경민;성병렬;김맹중;임용우;김원호;박근제;이병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1-24
    • /
    • 2004
  • 알팔파(Medicago sativa L.)의 치사온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Vernal" 품종을 시험재료로 하여 종자를 Petri dish에서 발아시켜 작은 화분에 10 개체씩 이식, 생장실에서 4주간 재배하였다. 45, 50 및 $55^{\circ}C$에서 처리한 경우에는 60분간 처리했을 때에도 거의 식물체 손상이 없었다. 6$0^{\circ}C$에서 60분간 처리했을 때에는 잎이 약간 시든 듯한 현상이 있었으나 식물체의 손상은 거의 없는 상태였으며, $65^{\circ}C$에서 60분간 처리했을 때에도 $60^{\circ}C$에서 처리한 결과와 마찬가지로 심한 손상은 받지 않았다. $70^{\circ}C$에서 60분간 처리했을 때에 알팔파는 일부에서 잎만 조금 마른 현상이 나타났으나, 치사온도에는 도달하지 않았다. $80^{\circ}C$에서 처리한 결과에서는 처리 후 1일 이내에 60분 처리에서 거의 죽어가는 현상이 나타났다. 처리 후 7일에는 50분 처리에서 모두 죽었으며, 45분 이하의 처리에서는 새로운 shoot가 재생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알팔파의 치사온도는 $80^{\circ}C$에서 50분 처리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것으로 결정되었다.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Plant Regeneration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of Medicago sativa L.

  • Kim, Young-Sook;Kim, Mi-Young;Yang, Moon-Sik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87-90
    • /
    • 2004
  • An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system in alfalfa (Medicago sativa L.)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was established. Embryogenic callus was obtained by culture of hypocotyl segments on MS medium with 0.02mg $L^{-1}$ IAA and 1.0mg $L^{-1}$ zeatin after 45 days of culture. Embryogenic calli were converted to the somatic embryos when transferred to either MS medium without plant growth regulators (PGRs) or MS medium containing various cytokinin (BA, kinetin and zeatin). Most of the somatic embryos were developed into plantlets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1 mg $L^{-1}$ kinetin. Also, secondary embryos appeared on the surface of primary embryo but they showed abnormal growth. Regenerated plantlets were transplanted to pots containing vermiculite and perlite for further analysis.

알팔파(Medicago sativa L.) 7개 품종(品種)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근류균접종(根瘤菌接種)의 영향(影響) (Effect of Inoculation (Rhizobium meliloti) on the Plant Height and Dry Matter Yield in Seven Alfalfa (Medicago sativa L.) Varieties)

  • 김무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7-43
    • /
    • 1975
  • 현지기후풍토(現地氣候風土)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는 7품종(品種) Alfalfa (Washo, Ranger, Lahontan, Narragensett, Atlantic, Vernal, Moapa 69)의 건물생산량과 생육(生育)에 미치는 근류균접종효과에 관한 실험(實驗)을 비교적 척박한 토양(土壤)에 종자(種子) 30l에 근류균(根瘤菌) 6oz 비율로 도말하여 파종(播種) 1973-74년 2년간(年間) 실시하였다. 1. 공시된 품종(品種)에서 근류균(根瘤菌)을 접종(接種)한 구(區)가 접종(接種)하지 않은 구(區)에 비하여 초장(草長) 및 건물량(乾物量)에 있어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2. 1973년(年) Pot 시험에서 접종구(接種區)의 건물생산량은 Moapa 69> Vernal> Lahontan> Washoe> Atlantic> Narragensett> Ranger 의 순(順)이었다. 3. 다음해 포장(圃場)에 이식(移植)한 후에는 접종(接種)과 무접종간(無接種間)의 건물생산량에 차이가 없었다. 총건물(總乾物) 생산량은 Washoe> Lahontan> Moapa 69> Ranger> Narrangensett> Vernal> Atlantic의 순(順)이었다.

  • PDF

알팔파 예취후 재생시 비구조탄수화물 함량 및 전분 분해 효소활력의 변화 (Changes in Non-Structural Carbohydrate Contents and Amylolytic Enzymes Activities during Regrowth after Cutting in Medicago sativa L.)

  • 김태환;김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42-550
    • /
    • 1996
  • 알팔파 (Medicago sativa L.)의 예취후 재생 기간중 저장탄수화물의 이용성을 규명하기 위해 수경재배하여 개화초기에 예취한 후 재생 24일간의 뿌리내 비구조탄수화물의 함량 및 전분 분해효소의 활력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재생초기 10일간의 잎과 줄기의 재생은 매우 느리게 진행되었으며, 예취후 뿌리의 성장이 억제되었다. 2. 예취후 초기재생 10∼14일간 뿌리내 가용성 당 및 전분의 함량은 다같이 감소하였다가 이후 빠르게 회복하는 경향이었다. 3. 재생기간중 exo-amylase의 평균 활력은endo-amylase에 비해 약 400배 이상 높았다. Exo-amylase의 활력은 재생 6일차(최고수준) 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Endo-amylase의 활력은 재생초기 4일 동안 급격히 증가하다가 이후 재생 24일차(최고수준) 까지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알팔파의 재생초기 동안 전분 분해효소의 활력의 증가와 아울러 뿌리내 저장탄수화물은 활발히 분해되어 새로운 조직의 재생에 이 용됨을 간접적으로 제시한다.

  • PDF

황갈색 고원 토양에 있어 근류균 접종, pellleting 및 석회시용이 Lucerne(Medicago sativa L.)의 근류형성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Seed Inoculation, Pelleting, and Liming on the Nodulation and Growth of Lucerne(Medicago sativa L.))

  • 임병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0권
    • /
    • pp.79-83
    • /
    • 1971
  • 뉴지랜드의 황갈색 고원 토양에 있어 Lucerne의 근류형성 및 생육에 미치는 근류접종, pelleting 및 석회시용의 효과를 시험코저 5개 수준의 종자 처리(블접종, 접종, 접종 석회 pelleting, 접종인산 백운석 50/50 pelleting, 접종활석 pelleting과 석회시용(25kg/10are)을 비교하고 그들의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산성토양에서 Lucerne의 효과적 근류 형성에는 석회시용과 종자의 근류균 접종 및 pelleting이 필요하다. 2. 접종 종자를 적당한 재료로 싸면 근류헝성을 좋게한다. 3. Lucerne의 종자 pelleting은 석회시용 요구량을 감소시키는 수단이 될 수 있다. 4. 창갈색 고원 토양에서는 석회분말이 좋은 pelleting재료가 된다. 5. 종자에 접종하지 않거나 pelleting을 하지 않은 종자의 파종시는 석회시용이 효과적이다. 6. pelleting 종자 사용은 석회시용에 소요되는 품과 경비를 절감시킬 것이다.

  • PDF

알팔파(Medicago sativa L.)의 예취후 잔여기관내 질소화합물과 비구조성 탄수화물의 변화 (Evolution of Nitrogenous and Non-Structural Carbohydrate Compounds in Remaining Tissues Following Shoot Removal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 김태환;김병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15
    • /
    • 1993
  • 재생기간중 저장 질소와 탄수화물의 이용을 구명하고자 수경재배 조건하에서 재배된 10주령의 알팔파(Medicago sativa L.)의 예취 후 재생 24일 동안 잔여기관내의 질소화합물 및 비구조성 탄수화물을 분석하였다. 재생초기 10일 동안 잔여기관내의 건물량에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며, 비예취구와 비교할 때 예취는 뿌리성장(특히 주근)의 심각한 억제를 초래하였다. 잔여기관내의 질소함량은 재생초기 6일동안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이 시기의 질소함량 감소는 뿌리조직에서 특히 뚜렷하였다. 예취구의 재생 24일째 각 기관의 질소함량은 예취일의 수준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거나 같은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단백질태 질소가 아미노산태 질소보다 저장 질소화합물로서 양적인 우위를 보였으나, 재생 10일 동안 아미노산태 질소의 감소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주근은 총 전분 및 총 에탄올-가용성 당 함량의 51.0% 및 33.4%를 각각 함유하였으며, 주근내의 전분함량은 예취일(0일)에 개체당 40.7 mg에서 재생이 진행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재생 14일째에 최저수준을 보였다가, 이후 점차 증가하였다. 본 시험 결과는 알팔파의 주근은 저장기관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단백질태 질소와 전분이 질소 및 탄수화물의 주요저장 형태이고, 재생초기에 이들 저장물질의 이용이 활발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