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diaArt

검색결과 990건 처리시간 0.036초

인천공항 미디어 아트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Media Art of Incheon Airport)

  • 유성호;임성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41-147
    • /
    • 2019
  •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공공장소의 미디어아트가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고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공항의 미디어아트 설치가 늘어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천국제공항의 미디어아트 사례를 분석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 하였다. 인천공항의 미디어아트 사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향후 공항 미디어아트는 관객이 참여하고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작품으로 발전시켜 여행자에게 즐거운 경험을 제공하는 형식으로 바뀌어야 한다. 둘째, 공항의 콘텐츠는 다양성도 중요하지만 국가의 대표성을 나타내는 콘텐츠로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짧고 단순한 미디어아트 모음을 상영하는 것보다는 스토리가 있는 그 나라의 특성과 이미지가 잘 전달될 수 있는 대표성을 나타내는 콘텐츠로 구성해야한다.

A Study on the Artistic Representation of the Cellular-Phone Addiction and the Personal Data Leakage of Modern Society

  • Lee, Joohun;Baek, Jis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7권2호
    • /
    • pp.65-72
    • /
    • 2015
  • Althoug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network has brought great convenience in modern lives, amongst the aggravated complexity in the contemporary society, modern minds who have failed to create genuine relationships undergo a sense of alienation and solitude that may appear as a type of social pathology called cellular-phone addiction. Also, while the emergence of the information age seemingly brings about benefits including diverse acquisition regarding knowledge and broader communication, underneath exists side effects involving leakage of private information. Especially, being excessively addicted to relationship network may induce one to become insensitive towards leakage of private information without recognizing, and thereby instigating yet another social problem. Media art is very practical in terms of suggesting a critical perspective concerning social phenomena and elevating them into a work of art by rendering them artistically. Particularly, when social problems of the modern days are expressed through digital technology, media art provides the audience with a foundation that will enable them to sympathize without hostility. This dissertation calls attention to the contemporary problems regarding cellular-phone addiction and possible hazards of information leakage based on media art, while at the same time propos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a media art work that attempts to raise awareness and sympathy on such social issues.

미술잡지 저널리즘의 형성과 기능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Function of Art Magazine Journalism in Korea)

  • 안인기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2호
    • /
    • pp.121-146
    • /
    • 2004
  • Compared to the influences of Korean art journalism, the researches on them are rarely conduct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rt journalism in art magazines in Korea. Although it is essential to consider media, journalism, public opinion altogether, I focused only on the media due to the absence of previous studies I have analyzed the current conditions of korean art journalism, types of feature articles, sponsors, their relations with articles and the comparison with foreign art journalism in terms of production conditions. There have been about one hundred art magazines published in previous sixty years and currently there are twenty three. Monthly periodicals are the majority: the publishers are sorted out as publishing houses, galleries, newspaper company in order specialized art magazines developed from the eighties. Through an examination of feature articles in these art magazines, I found that they repeated similar art issues and covered the same artists sponsors and articles. Moreover, when the magazines went through the conflicts between managers and editors, the ascendency of managers obstructed the development of art journalism regarding journal quality. These days, art journalism have been comparatively regressed compared to other art systems such as art museums, curatorship, international aft festivals, distributions and art promotion policies. The main causes for failure were the lack of professional management, the limited effort to diversify sponsors, and the repetition of the same informants and events without making an effort to be specialized Magazines are published media which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culture, distribution, and preservation. Therefore art magazines can be said the most influential media in forming art culture and distributing it. It is quite necessary to reform the problems of repeating of information and the lack of speciality in conjunction with the commitment of management and editorialship.

  • PDF

예술과 과학기술이 융합된 뉴미디어아트의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Art with the Integration of Art and Technology)

  • 뢰근이;장혁신;김원석;김성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451-456
    • /
    • 2021
  • 과학기술의 진보는 시대의 발전을 인도했고, 예술과 뉴미디어에 풍부한 기술적 수단과 새로운 도구, 새로운 사유 각도도 제공하며 예술의 창의성과 경질의 중요한 추진적인 힘이 된다. 본 연구는 예술과 과학기술의 융합적인 창의성의 추세에서 출발하여 뉴미디어아트가 나타난 새로운 특징을 중심으로 논술하여 작품의 사례를 결합해서 특징 등 방면에서 상세하게 분석하면서 현재의 뉴미디어 예술을 깊이 파악하는 시대적 특징과 그의 발전추세를 이해하는 점에 대해서 가치를 발견하고자 한다.

OpenCV를 이용한 미디어 아트 제작 (Production of Media Art using OpenCV)

  • 이면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73-180
    • /
    • 2016
  • OpenCV는 디지털 영상처리와 컴퓨터 비전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본 연구에서는 OpenCV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제작된 미디어 아트를 살펴보고 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미디어 아트에서 자주 사용되는 OpenCV 함수와 활용 예를 살펴본다. 둘째, OpenCV를 이용한 미디어 아트를 함수와 작품 제작을 위해 사용된 프로그래밍 언어와 환경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셋째, 기술된 OpenCV를 이용한 미디어 아트 작품들의 특징을 사용된 함수들과 프로그래밍 언어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 연구는 OpenCV 또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미디어 아트를 제작하려는 아티스트들에게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위치기반의 드로잉과 스토리텔링 연구 (Color Path : A Location Based Drawing and Storytelling Project)

  • 우숙영;박승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65-78
    • /
    • 2007
  • 핸드폰과 무선 네트워크, 위치기반 기술 등 새롭게 등장한 기술들과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는 유비쿼터스라는 신조어를 낳으며 인간 삶의 모습들을 변화시켜 가고 있다. 이러한 기술과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영향은 예술계에서도 예외는 아니어서 이를 활용한 뉴 미디어 예술작품들이 늘어가고 있으며, 이는 미술관과 갤러리의 벽을 넘어 도시라는 광범위한 영역을 배경으로 공공 예술로서의 성격을 띄어가고 있다. 이 중에서도 위치 기반 미디어(locative media)를 이용한 위치기반 미디어 예술(locative media art)은 그 어떤 예술보다도 도시 공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도시 공간을 재해석, 경험하게 하고, 소통을 끌어내는 다양한 시도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위치기반 미디어 예술의 성격은 도시 공간에서의 질적인 문제들, 특히 장소성 상실과 소통의 부재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고려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부산의 광복로를 프로젝트의 대상지로 설정, 위치기반의 드로잉과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프로젝트를 제안하여, 도시 공간에서의 질적인 문제들, 그 중에서도 상업적 장소에서의 장소성 회복과 소통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프로젝트는 도시의 거리를 캔버스로, 사람들의 움직임을 붓으로, 거리의 색을 팔레트로 상정하여 참여자 각각이 자신만의 path를 그리고 그 path를 공유함으로써 사람들이 그와 관련한 이야기를 다른 사람과 나눌 수 있게 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path는 온, 오프라인을 공유, 도시에 관한 보다 풍부한 이야기를 생성, 소통함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몰입형 기술 특성과 미디어아트 관람 특성과의 적합성이 관객의 몰입감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the Fit of Immersive Technology and Media Art Type on User Commitment and Revisit Intention)

  • 최지애;유건우;권오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654-667
    • /
    • 2021
  • 본 연구는 디지털미디어아트에서 사용되는 몰입형 기술의 특성과 미디어아트의 관람특성에 따른 적합성 지각이 몰입감과 만족도, 그리고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제주도의 빛의 벙커와 아르떼 뮤지엄에서 디지털미디어아트 관람객 32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몰입기술 특성의 프로젝션 매핑품질과 미디어아트 관람특성의 원작의 유사도와 원작의 명성도가 높을수록 적합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작의 접근성이 낮을수록 적합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원작의 유사도, 원작의 명성도, 프로젝션 매핑품질, 원작의 접근성 순으로 적합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몰입기술 특성의 상호작용성은 적합성 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몰입기술과 미디어아트 간의 적합성 지각이 미디어아트 전시회에 대한 몰입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몰입감은 관객의 전시회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서 재방문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몰입형 기술의 특성과 미디어아트의 관람특성이 디지털미디어아트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현대 실내디자인에 표현된 디지털미디어의 비주얼 인터페이스 경향에 관한 연구 (Visual Interface Trend of Digital Media Expressed on Contemporary Interior Design)

  • 은이선;정미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04-111
    • /
    • 2006
  • Digital media changed not only our lifestyle and sense of value but also art and space design,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will accelerate the alteration. It provided limitless possibility and inspiration to art, architecture and design. In this 'image' era, media communicate with us mostly in visual method, which gets to he realized by visual interf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ndency of visual interface of contemporary interior design cases in the standpoint of digital media characteristics and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space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and interface are defined, and how the concept unfolded in art, design is also discussed. In interior design, the concepts come out as various types of visual interface,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position of material and immaterial, interaction between visual information and space users and among users, realization of cyberspace and simultaneous coexistence of multiple space-time multi-la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