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 reach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8초

브랜드 로고 기호의 의미작용과 커뮤니케이션 분석 체계의 제안과 활용:소셜 미디어 브랜드 로고를 중심으로 (Design and use of the Signification and Communication Analysis Frame for the Brand Logo Sign: based on the Social Media Brands)

  • 권보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76-89
    • /
    • 2011
  • 브랜드 로고는 상품과 서비스의 경쟁이 의미적으로 시작되는 출발점인 바, 로고 기호의 의미작용과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분석은 브랜드 간 차이와 변별 요소의 발견에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브랜드로고 기호작용에 대하여 총체적이고 일관성 있는 판독을 위한 분석 체계인 'SCoL' (Analysis frame of signification and communication for the brand logo, SCoL, 스콜) 를 개발하고, 이를 서비스의 초기 경쟁에 있어 로고 기호의 의존도가 높은 소셜 미디어 브랜드 로고 분석에 적용함으로써 제안의 타당성을 증명하고자 한다. SCoL은 브랜드 로고 기호의 4가지 형식 구성 요소를 토대로 퍼스의 도상, 지표, 상징을 통한 1단계 의미 작용 분석에 이어 2단계 분석으로 야콥슨의 이론을 적용하여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해석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SCoL 프레임을 적용하여 소셜 미디어 브랜드 로고 기호를 분석한 결과 소셜 미디어 브랜드들은 기호작용을 통해 고유한 의미 영역을 구축하고 있었으며, 또한 서로 다른 커뮤니케이션 기능에 의존하여 브랜드의 의미를 전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SCoL은 분석 과정에서 브랜드 로고 기호의 구성 요소에 대한 판독 단위를 제공하여 기호학적 관점에서 로고의 의미 작용과 커뮤니케이션 기능 해석을 위한 유효한 분석 도구로 역할 하였다.

멕시코와 페루에서의 한류 현황과 미디어 분석을 통한 한류 확산 방안 모색 (Studies on the Hallyu in Mexico and Peru through their Current State and Media)

  • 김선욱;이재학;신태식
    • 비교문화연구
    • /
    • 제44권
    • /
    • pp.59-85
    • /
    • 2016
  • 최근 들어 라틴아메리카에서의 한류의 인기는 폭발적이다. 본 연구는 멕시코와 페루에서의 한류 현상을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간의 한류 현황과 미디어 분석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멕시코는 한류가 처음으로 중남미에 진출한 나라로 중남미 한류의 연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한류의 영향이 중남미 지역에서 큰 지역이다. 또한 페루는 2014년 이후 한류의 인기가 급증한 국가로 페루에서의 한류 현상과 미디어 분석은 향후 한류의 중남미 진출을 전망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그리고 한류의 확장은 한국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도 좋은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상업용 질산화 박테리아의 성장특성과 활성슬러지 공정에서의 적용 방법에 따른 연구 (A Stud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ly Developed Nitrifying Bacteria and its Application to Activated Sludge Process)

  • 황규대;이봉희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95-604
    • /
    • 2006
  •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ly Developed Nitrifying Bacteria (CDNB) were studied in laboratoryscale. CDNB, a pure, artificially isolated bacterium, was cultivated to produce Cultivated Nitrifying Bacterium Group (CNBG). The average ammonia removal rate of CDNB was 0.0234g $NH_4^+-N/g$ MLSS/hr. CNBG was produced in the batch reactor and Specific Nitrification Rate (SNR) was determined at 0.0107g $NH_4^+-N/g$ MLSS/hr. The SNR of CNBG was lower than the SNR of CDNB because the diverse and multi-cultured microbial growth took place during cultivation. The effect of the temperatures and the mixing ratios of sewage and culture solution on the SNR of CNBG was studied. The SNR of CNBG, 0.0107g $NH_4^+-N/g$ MLSS/hr at $27^{\circ}C$, decreased to 0.0048g $NH_4^+-N/g$ MLSS/hr at $15^{\circ}C$, and temperature coefficient (${\Theta}$) was calculated to be 1.07. With the varied sewage mixing ratios, the SNR of CNBG remained unchanged. Activated sludge reactors maintaining an MLSS of 2,000mg/L at HRT of 4 h were operated under conditions in which dosage of Concentrated CNBG Solution (CCNBGS, 10,000mg MLSS/L) and application method of CNBG were varied. The reactor with 20mL of CCNBGS took shorter time to oxidize $NH_4^+-N$ reaching 1mg/L than the reactor with 5mL of CCNBGS showing that higher dosages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mass removal of $NH_4^+-N$. However, the total removal was not great. In terms of different methods of CNBG application, reactor seeded with 20mL of CCNBGS took 3days to reach 1mg/L of effluent ammonia concentration while reactor dosed with 20% (v/v) CNBG implanted media took 2days. Both the control reactor and the reactor dosed with 20% (v/v) media only did not reach 1mg $NH_4^+-N/L$ after operating 18days. The reactor with CNBG implanted media had the highest $NH_4^+-N$ removal rate because of maintaining high concentration of Nitrifying Oxidizing Bacteria (NOM), and is regarded as an appropriate method for the activated sludge process.

소각재 용융슬래그를 이용한 중금속 흡착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Heavy Metals using Melting Slag of Incinerator Ash)

  • 유승철;김환기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13-420
    • /
    • 2008
  • In order to utilize cinder melting slag as a filter media to control the quality of early rainwater, its environmental stability was verified by heavy metal elution experiment and improved by pre-treatment. Possibilities of improving its function as an absorbent was considere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melting slag before and after the pre-treatment were analyzed by heavy metal equilibrium and stationary-phase column experiments, which in turn were analyzed by comparison experiment with activated carbon. As a result of heavy metal elution experiment, every metal item existed in a much lower amount than the criteria or was not detected, implying that there is no problem recycling it. Absorption equilibrium experiment showed that the time for pre-treatment melting slag to reach the equilibrium was reduced, while the absorbed amount was greatly increased. Stationary-phase column experiment assures us that the elimination rate was not changed much by influx rate, pH and the change in packing volume rate, indicating that this melting slag can be used not only as a filter media to control the quality of early rainwater but also in many areas of water-processing.

Deep Learning-Based Sound Localization Using Stereo Signals Based on Synchronized ILD

  • Hwang, Hyeon Tae;Yun, Deokgyu;Choi, Seung 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1권3호
    • /
    • pp.106-110
    • /
    • 2019
  • The interaural level difference (ILD) used for the sound localization using stereo signals is to find the difference in energy that the sound source reaches both ears. The conventional ILD does not consider the time difference of the stereo signals, which is a factor of lowering the accuracy.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nchronized ILD that obtains the ILD after synchronizing these time differences. This method uses the cross-correlation function (CCF) to calculate the time difference to reach both ears and use it to obtain synchronized ILD. In order to 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e conducted two sound localization experiments. In each experiment, the synchronized ILD and CCF or only the synchronized ILD were given as inputs of the deep neural networks (DNN), respectively.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ound localization with mean error and accuracy of sound localiz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onventional methods.

메타버스 융복합 공간의 재창조를 위한 전략 (Strategies for Recreation of Metaverse Convergence Space)

  • 조병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676-68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 융복합 공간의 재창조를 통해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는 메타버스 공간의 잠재적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메타버스 공간의 새로운 개념 정립, 기술과 인문 융합의 학제 간 연구 모델 및 전략 수립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메타버스 공간의 특징 분석을 통해 현재 간과하고 있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를 극복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학제 간 연구는 중장기적으로 메타버스 융복합 콘텐츠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계기로 이푸 투안의 개념을 통해 재해석한 메타버스 공간이 의미 있는 삶의 장소이자 창조공간으로서의 실질적인 구현에 이를 수 있기를 기대한다.

Generative AI and its Implications for Modern Marketing: Analyzing Potenti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 Yoo, Seung-Chul;Piscarac, Dian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3호
    • /
    • pp.175-185
    • /
    • 2023
  • As the era of ChatGPT and generative AI technologies unfolds, the marketing industry stands on the precipice of a paradigm shift. Innovations such as GPT-4, DALL-E 2, and Mid-journey Stable Diffusion possess the capacity to dramatically transform the methods by which advertisers reach and engage with customers.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these advanced tools herald a new age for the marketing and advertising sectors, offering unprecedented opportunities for growth and optimization. Nevertheless, the rapid adoption of generative AI within these industries presents a unique set of challenges, particularly for organizations that lack the necessary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and human capital to effectively leverage these innovations. As a result, a competitive crisis may emerge, exacerbating existing disparities between well-equipped enterprises and their less technologically adept counterparts. In this article, we undertake a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the implications of generative AI for the future of marketing, examining both its potential benefits and drawbacks. We consider the possible impact of these developments on the advertising and marketing industries at large, as well as the ways in which professionals operating within these fields may need to adapt to remain competitive in an increasingly AI-driven landscape. By providing a holistic overview of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ssociated with generative AI,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complex dynamics at play in the ongoing evolution of the marketing and advertising sectors.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위기 커뮤니케이션: 주요국의 페이스북 및 유튜브 활용 비교 (Crisis Communication on Social Media during COVID-19 Pandemic: An Analysis of Facebook and YouTube)

  • 김소희;김동연;류민호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47-60
    • /
    • 2021
  • 2019년 코로나19(COVID-19) 발생 이후 팬데믹이 장기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별로 코로나19 관련 위기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소셜미디어를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분석하고, 게시글의 유형(감염병 정보, 행동지침, 심리적 소통)에 따른 이용자 반응(Engagement) 수준을 비교 분석한다. 이를 위해, 2020년 1월부터 2021년 3월까지 한국, 미국, 영국, EU 4개국 감염병 관리 기관의 페이스북과 유튜브의 게시물 정보를 수집하여 텍스트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과 미국의 소셜미디어 활용도가 영국과 EU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4개국 모두 소셜미디어를 감염병 정보 제공과 행동지침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소셜미디어의 특성상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상황에 대한 교감과 위로 등 대중에게 심리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의 소셜미디어에서 심리적 소통 유형의 게시글을 찾아볼 수 없었다. 게시글에 대한 이용자 반응은 행동지침 유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감염병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한다는 점에서 소셜미디어의 중요성과 역할을 정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혐기성 BAC 유동층 반응기에서 Start-up 방법 및 미생물 부착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tart-up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Microorganisms Attachment in an Anaerobic BAC FluidizedBed Reactor)

  • 박동일;신승훈;안재동;최석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2-90
    • /
    • 199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start-up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biomass attachment on the media in an anaerobic fluidized bed reactor(AFBR). The media adopted was the granular activated carbon which was successfully capable of adsorbing organics and biomass. The reactor was operated at 5 kg $COD/m^3\cdot day$ and 24hr of HRT. There were important problems in the AFBR's start-up, which has been reported very long and unstable. Therefore, this research wa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start-up and it was performed, comparing two start-up ways that were initial fluidized system and initial static-fluidized syste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On the whole initial static-fluidized system was superior to initial fluidized system in the aspects of biogas production rate, methane content and COD removal efficiency etc. (2) At the steady state methane production rate and recoverable bioenergy of initial static-fluidized system were $2.074 m^3CH_4/m^3\cdot day$, $0.488 m^3CH_4/kgCOD_{removed}\cdot day$, and 81.3kcal/day, respectively. (3) Thickness of biofilm was about $5.11 \mu m$, $\rho_{bw}$ and $\rho_{bd}$ were $1.022 g/cm^3, 0.0953g/cm^3$ respectively. (4) Biomass concentration of fluidized state was about 35 mg/g GAC. In conclusion the efficient method on the start-up of the AFBR using GAC as media was initial static-fluidized system and the period of static state needed to reach steady state was considered about twenty days.

  • PDF

불포화 다공질매질의 물성치 측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Physical Parameters of Unsaturated Porous Media in the Laboratory)

  • 김만일
    • 지질공학
    • /
    • 제14권2호
    • /
    • pp.169-177
    • /
    • 2004
  • 포화 및 불포화 상태로 이루어진 지반 내에서 지하수의 함량 및 오염물질의 침투 이동은 지반을 구성하고 있는 다공질 매질의 공극률과 유효공극률에 매우 큰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불포화 매질에 대한 유효공극률을 측정하기 위해서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FDR) system 및 측정센서를 개발하여 실내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측정된 유전율상수의 관계로부터 유효공극률을 산정할 수 있는 유전을 믹싱모델(dielectric mixing model)을 제안하였다. 실험결과에서 불포화 흙 시료인 표준사(standard sand)와 강모래(river sand)의 유효공극률의 범위는 공극률과 비교해 약 65∼85% 내외에서 측정되었다. 특히, 측정된 유효공극률과 공극률의 관계에서 공극률이 증가할수록 유효공극률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흙 입자사이의 공극 내에 존재하는 미량의 공기에 의한 것으로써 불포화 상태의 흙 칼럼이 충분히 포화 상태에 도달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