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 evolution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6초

지구통계학적 진화전략 역산해석 기법의 소개 및 가상 대수층 수리전도도 분포 예측에의 적용 (Introduction of Inverse Analysis Model Using Geostatistical Evolution Strategy and Estimation of Hydraulic Conductivity Distribution in Synthetic Aquifer)

  • 박은규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6호
    • /
    • pp.703-713
    • /
    • 2020
  • 수리지질학을 포함한 많은 지질학 분야에 있어 지하 매질의 불균질성을 규명하는 것은 큰 중요성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Park(2020)에 의해 소개된 바 있는 대수층을 구성하는 매질의 수리물성을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의 개념 및 이론을 간단히 소개하고, 가상의 대수층에 해당 기법을 적용하여 기법에 의한 결과들의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소개하는 기법은 공분산행렬 적응 진화전략이라는 광역최적화 기법을 사용하며, 개념적으로 대수층에 가해지는 수리적 스트레스에 의한 지하수위 변화 자료를 동화하여 대수층 불균질성을 특성화하는 방법론이다. 가상의 대수층의 수리전도도 예측에 개발 기법을 적용한 결과, 총 40000개 미지의 값을 매우 빠른 시간 내에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예측의 결과는 레퍼런스 수리전도도와 수치적 및 구조적으로 큰 유사성을 보여 예측의 질적 수준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매우 제한적인 케이스에 대하여 적용을 실시하였으나, 기법의 추가개발을 통하여 보다 다양한 케이스에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이를 위한 추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개발 기법은 수리지질학 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질학 및 지구물리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잠재성을 갖추고 있다.

융합미디어 환경에 따른 문화다양성 범주 설정 및 분석 프레임 연구 (A Study on Redefinition of Cultural Diversity and Analyzing Frame based on Media Convergence Environment)

  • 안호림;박태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3권
    • /
    • pp.76-100
    • /
    • 2013
  • 이 연구는 디지털 융합 미디어 발전에 따라 변화하는 문화 환경을 조명함으로써 문화다양성을 개념을 재정립하고 분석프레임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들은 미디어다양성과 문화다양성이 매우 혼란스럽게 사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문화다양성에 대한 개념이 제대로 정립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커뮤니케이션학 분야에서는 미디어다양성에 대한 분석이 경제적 계량과 콘텐츠의 수량 측정을 크게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콘텐츠의 실질적인 내용인 문화의 다양성을 측정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문화다양성 분석을 위해서 디지털 융합 미디어 이용문화를 메타문화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 메타문화에 기반하여 나타나는 문화다양성을 미디어 활동의 다원성,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문화 확산의 다양성 그리고 문화적 인지의 다양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네 가지 범주가 각각 포함하고 있는 측정변인들은 디지털 융합 미디어 환경에서 문화다양성의 양태들을 밝혀낼 수 있는 요인들이다. 이 요인들에 대한 분석은 문화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수립하기 위한 기준들이다. 문화다양성 정책의 궁극적인 목적은 메타문화 환경에서 문화공유지를 구축하는 것이다.

  • PDF

MHD Turbulence in Expanding and Contracting Media

  • Park, Junseong;Ryu, Dongsu;Cho, Jungyeon
    • 천문학회보
    • /
    • 제40권1호
    • /
    • pp.58.2-58.2
    • /
    • 2015
  • We investigate the decaying incompressible MHD turbulence by including the effect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background medium. In such an environment, incompressible MHD turbulence has two kinds of time scale. One is the eddy turn-over time (teddy), the other is the expansion/contraction time (texp-cntr). The turbulence is expected to behav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ime scales. For instance, for teddy < texp-cntr, the turbulence would be decay more or less as in a static medium. On the other hand, for teddy > texp-cntr, the effects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would be dominant. We examine the properties of turbulence in these two regime cases. Based on it, we derive a scaling for the time evolution of flow velocity and magnetic field. (i) In the decay effect dominant case, the velocity and magnetic field scale as $\sqrt{{\rho}v}{\sim}a^{-3}$, $b{\sim}a^{-2.5}$(expanding media) and $\sqrt{{\rho}v}{\sim}a^{-2}$, $b{\sim}a^{-1.5}$(contracting media). The total energy and residual spectra follow the $E^T_k{\sim}k^{-5/3}$, $E^R_k{\sim}k^{-7.3}$ in the inertial range. (ii) In the expanding and contracting dominant case, the velocity and magnetic field scale as $\sqrt{{\rho}v}{\sim}a^{-2.5}$, $b{\sim}a^{-2}$ (expanding/contracting media). The Kinetic and magnetic energy spectra follow the $E^K_k{\sim}a^{-5}$, $E^M_k{\sim}a^{-4}$. We have confirmed that scaling of velocity and magnetic filed is almost the same from the analytic estimates and computational models

  • PDF

16-20세기 초 프랑스 패션판화와 패션잡지의 변천 (The Evolution of Fashion Printmaking and Fashion Magazine in the 16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 김양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5-37
    • /
    • 2005
  • This is a study on the origin of fashion imaging. First of all, 1 looked into the history of French fashion printmaking from late 16th century to early 19th century. Then studied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context and form over the different periods and summarized each concept. At the same time, I looked into the process of fashion magazine evolving from fashion printmaking. In order to find out how fashion printmaking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media, 1 researched the commercial environment of fashion printmaking and reorganized the methodology of its media's role. Such analysis and results helped to reach a definition on how to regulate fashion printmaking. Fashion imaging was sparked by a small curiosity. As people began to be rage over new things, it came to introduce the fashion leaders of the public combined with the attributes of trend. At times when changes were so big that they were unpredictable, it itself became a fashion leader. Then a fashion creator emerges and it's function changes to that of a communication media. Moreover, the regular issuance of fashion printmaking implemented the concept of trend cycle and fashion imaging completely fulfilled the conditions of a communication media. The massive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fashion printmaking and magazine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fashion and the diffusion of printmaking lead to mutual complementation and synergy necessitated by fashion. Thus, the democratization of fashion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printmaking art occurred at the same time.

  • PDF

디지털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에서의 아날로그감성 커뮤니케이션 (Research on the Analog Emotional Communication Appeared in Digital Media Design)

  • 손현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46-153
    • /
    • 2010
  •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으로 디지털 시대 테크놀로지의 풍요로움 속에 우리의 삶의 변화를 가져왔다. 기술은 발전하면 할수록 우리의 생활은 더욱 새롭고 편리하고 미래지향적인 디지털 시대를 기대하는 반면에, 사람들은 따뜻한 인간의 감수성에 대한 그리움을 갖게 되었다. 모더니즘에 대한 반성으로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과 디지털미디어의 확산을 통해 다양화되는 복잡한 문화 속에서 방황하고 있다. 디지털 시대에 심리적으로 또는 정신적으로 안정을 되찾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욕구가 생기기 시작하면서 디지털시대의 역기능적인 부분에 대한 문제점이 제시되고 있다. 인간에 대한 감성에 부응하는 사용자의 감성 반응을 고려하는 아날로그 감성디자인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디지털 미디어에 있어서 아날로그감성을 표현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향에서의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 디지털환경에서 아날로그감성은 디지털기술과 커뮤니케이션의 특성과 사람들의 기호와 정서적인 측면을 조화시켜나가면서 새롭게 확장, 변화하고 있으며, 진화하는 아날로그 감성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과 발전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네이티브광고의 유형에 따른 탐색적 연구 - 미디어플랫폼을 중심으로 (A Exploratory Study according to the Types of Native Advertising - Focus on the Media Platform)

  • 유현중;정해원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7-14
    • /
    • 2020
  • 본 연구는 미디어플랫폼 상에 나타나고 있는 네이티브 광고의 유형과 형식에 관한 분석을 통해 기존연구에서 정의하고 있는 네이티브 광고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재정의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총 159명의 20대 남녀를 대상으로 현재 미디어플랫폼 상에 나타나고 있는 네이티브 광고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순으로 네이티브 광고가 집행되고 있었다. 두 번째는 20대 타겟 맞춤형 광고로 집행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세 번째로 네이티브 광고는 콘텐츠나, 피드형으로 많이 집행되고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네이티브 광고의 진화는 동영상 형태의 재미와 흥미 위주로 콘텐츠를 중심으로 집행되고 있으며, 그 형태와 유형이 점차 플랫폼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소셜미디어 내 의료소비자의 환자안전 관심에 대한 구조적 토픽 모델링 분석 (Structural Topic Modeling Analysis of Patient Safety Interest among Health Consumers in Social Media)

  • 김나리;이남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66-278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ealthcare consumers' interest in patient safety on social media using structural topic modeling (STM) and to identify changes in interest over time. Methods: Analyzing 105,727 posts from Naver news comments, blogs, internet cafés, and Twitter between 2010 and 2022, this study deployed a Python script for data collection and preprocessing. STM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 with the documents' publication years serving as metadata to trace the evolution of discussions on patient safety. Results: The analysis identified a total of 13 distinct topics, organized into three primary communities: (1) "Demand for systemic improvement of medical accidents," underscoring the need for legal and regulatory reform to enhance accountability; (2) "Efforts of the government and organizations for safety management," highlighting proactive risk mitigation strategies; and (3) "Medical accidents exposed in the media," reflecting widespread concerns over medical negligence and its repercussions. These findings indicate pervasive concerns regarding medical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among healthcare consumers. Conclusion: Th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ransparent healthcare policies and practices that openly address patient safety incidents. There is clear advocacy for policy reforms aimed at increasing the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of healthcare providers. Moreover,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al and engagement initiatives involving healthcare consumers in fostering a culture of patient safety. Integrating consumer perspectives into patient safety strategies is crucial for developing a robust safety culture in healthcare.

제너러티브 아트(Generative Art)의 시각적 속성이 반영된 패션디자인 분석 (Analysis of Fashion Design Reflected Visual Properties of the Generative Art)

  • 김동옥;최정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825-839
    • /
    • 2017
  • Generative Art (also called as the art of the algorithm) creates unexpected results, moving autonomously according to rules or algorithms. The evolution of digital media in art, which tries to seek novelty,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new artistic fields; subsequently, this study establishes the basis for new design approaches by analyzing visual cases of Generative Art that have emerged since the 20th century and characteristics expressed on fashion. For the methodology, the study analyzes fashion designs that have emerged since 2000,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that includes literature and research papers relating to Generative Art. According to the study, expression characteristics shown in fashion, based on visual properties of Generative Art, are as follows. First, abstract randomness is expressed with unexpected coincidental forms using movements of a creator and properties of materials as variables in accordance to rules or algorithms. Second, endlessly repeated pattern imitation expresses an emergent shape by endless repetition created by a modular system using rules or 3D printing using a computer algorithm. Third, the systematic variability expresses constantly changing images with a combination of system and digital media by a wearing method. It is expected that design by algorithm becomes a significant method in producing other creative ideas and expressions in modern fashion.

Generative AI and its Implications for Modern Marketing: Analyzing Potenti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 Yoo, Seung-Chul;Piscarac, Dian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3호
    • /
    • pp.175-185
    • /
    • 2023
  • As the era of ChatGPT and generative AI technologies unfolds, the marketing industry stands on the precipice of a paradigm shift. Innovations such as GPT-4, DALL-E 2, and Mid-journey Stable Diffusion possess the capacity to dramatically transform the methods by which advertisers reach and engage with customers.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these advanced tools herald a new age for the marketing and advertising sectors, offering unprecedented opportunities for growth and optimization. Nevertheless, the rapid adoption of generative AI within these industries presents a unique set of challenges, particularly for organizations that lack the necessary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and human capital to effectively leverage these innovations. As a result, a competitive crisis may emerge, exacerbating existing disparities between well-equipped enterprises and their less technologically adept counterparts. In this article, we undertake a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the implications of generative AI for the future of marketing, examining both its potential benefits and drawbacks. We consider the possible impact of these developments on the advertising and marketing industries at large, as well as the ways in which professionals operating within these fields may need to adapt to remain competitive in an increasingly AI-driven landscape. By providing a holistic overview of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ssociated with generative AI,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complex dynamics at play in the ongoing evolution of the marketing and advertising sectors.

사용자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효율적인 채널 선택 기법 (Efficient Channel Selection Using User Meta Data)

  • 오상욱;최만석;조소연;문영식;설상훈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88-95
    • /
    • 2002
  • 최근 방송의 디지털화에 따라 지상파, 위성 등의 방송 매체는 다채널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고, CATV 및 위성에서는 수백 채널의 수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시청자의 채널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지게 되었으나 수백 개의 채널중 시청자의 취향에 맞는 채널을 선택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et Top Box(STB)와 같은 다채널 방송 수신 장치에서 자동적으로 개인의 취향에 맞는 방송 프로그램을 추천해 주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사용자가 시청한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MPEG-7 MDS를 이용해 user history data로 작성하고, 이 user history data를 이용해서 시간대별 사용자의 취향과 유사한 장르의 프로그램을 추천하고, 추천된 장르에서의 채널 선호도를 고려하여 채널을 선택한다. 실험한 결과에 따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사용자 취항의 채널을 선택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