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 Texts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7초

인터넷 토론 게시판의 게시물 인기도 예측 모델 (A Model to Predict Popularity of Internet Posts on Internet Forum Sites)

  • 이윤정;정인준;우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9D권1호
    • /
    • pp.113-120
    • /
    • 2012
  • 오늘날 인터넷 사용자들은 유튜브(YouTube)와 같은 온라인 콘텐츠 공유 사이트를 통해 손쉽게 자신의 콘텐츠를 만들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있다. 그로 인해 하루에도 엄청난 양의 온라인 콘텐츠들이 쏟아지고 있다. 온라인 콘텐츠들의 홍수 속에서 어떤 콘텐츠가 향후에 인기가 있을 것인지를 예측하는 문제는 일반 이용자들이나 콘텐츠 공유 사이트 운영자들 모두가 관심을 가지는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토론 게시판에 등록된 게시물들의 인기도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토론 게시판에 등록된 게시물들의 인기도를 예측하기 위해 게시물의 조회수를 인기 척도로 간주하고 각 게시물의 조회수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게시물의 최종 조회수를 예측하기 위하여 관찰된 조회수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수 함수를 기반으로 하는 조회수 증가 모델을 제안한다. 다음 아고라 게시판의 게시물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전체 실험 게시물 중 약 90.7%인 20,532개의 게시물이 예측 오차가 10개 이하로 나타났다.

웹 기반 MMORTS <부족전쟁>의 스토리텔링 연구 (A Study on the Storytelling of Web-based MMORTS 'Tribal War')

  • 류철균;임수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5-24
    • /
    • 2010
  • 웹을 기반으로 한 전략 시뮬레이션은 클라이언트 기반의 일반 온라인 게임과 변별되는 특징들을 갖고 있다. 첫째, 웹 기반 MMORTS는 게임 과정이 그래픽적 표현과 텍스트적 표현의 복합으로 재현된다. 둘째, 게임의 주체는 플레이어, 전략 거점으로서의 마을 캐릭터라는 시차적 주체로서 존재한다. 본고는 이러한 요소들을 중심으로 웹 기반 MMORTS의 스토리텔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노게임즈(Innogames)사의 <부족전쟁(Tribal War)>을 연구대상으로 선택하였다. 분석결과, 웹기반 MMORTS <부족전쟁>의 플레이어는 로그아웃 된 동안에 벌어진 수동적 AI 캐릭터의 경험까지도 로그인 후 시차를 두고 받아들임으로써 고유의 사용자 서사를 경험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일상적인 업무와 병치가 가능하고 여타 플랫폼과 연계될 수 있는 웹 기반 가상세계가 갖는 잠재력을 논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소셜 텍스트의 주요 정보 추출을 위한 로지스틱 회귀 앙상블 기법 (Logistic Regression Ensemble Method for Extracting Significant Information from Social Texts)

  • 김소현;김한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6권5호
    • /
    • pp.279-284
    • /
    • 2017
  • 빅데이터 시대를 맞이하여 텍스트마이닝과 오피니언마이닝의 활용도가 커지고 있는 시점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이에 본 논문은 블로그 HTML 문서에서 주요 본문을 찾는 로지스틱 회귀 앙상블 기법을 제안한다. 먼저, 블로그 HTML 태그에서 구조적 특징, 텍스트 특징을 추출한다. 그 다음, 블로그 HTML 문서에서 추출한 태그 특징에 로지스틱 회귀 및 앙상블 기법을 적용하여 본문을 포함하는 태그를 분류하는 모델을 구성한다. 본 연구의 중요한 발견 중 하나는 태그의 깊이 특징을 이용하여 주요 본문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이다. 다양한 주제의 국내 블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에서 태그 분류 정확도가 99%, 본문을 찾아낸 문서의 비율이 80.5%로 평가되었다.

디자인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감성평가방법 모색 -한복 연관 디자인 요소, 감성적 반응, 평가어휘를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of a Sensibility Evaluation Method Using Big Data in the Field of Design -Focusing on Hanbok Related Design Factors, Sensibility Responses, and Evaluation Terms-)

  • 안효선;이인성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034-1044
    • /
    • 2016
  • This study seeks a method to objectively evaluate sensibility based on Big Data in the field of design.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examined the sensibility responses on design factors for the public through a network analysis of texts displayed in social media. 'Hanbok', a formal clothing that represents Korea, was selected as the subject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We then collected 47,677 keywords related to Hanbok from 12,000 posts on Naver blogs from January $1^{st}$ to December $31^{st}$ 2015 and that analyzed using social matrix (a Big Data analysis software) rather than using previous survey methods. We also derived 56 key-words related to design elements and sensibility responses of Hanbok. Centrality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Ucinet6. The visualization of the network text analysis allowed the categorization of the main design factors of Hanbok with evaluation terms that mean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sensibility responses. We also derived key evaluation factors for Hanbok as fitting, rationality, trend, and uniqueness. The evaluation terms extracted based 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ies of atypical data have validity as a scale for evaluation and are expected to be suitable for utilization in an index for sensibility evaluation that supplements the limits of previous surveys an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he network text analysis method used in this study provides new guidelines for the use of Big Data involving sensibility evaluation methods in the field of design.

유명인 이미지를 활용한 MBTI 성격 유형 시각화 방식 제안 (A proposal of visualization method of MBTI personality types using celebrity images)

  • 신호선;이강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8호
    • /
    • pp.491-498
    • /
    • 2016
  • 본 논문은 MBTI 성격 유형을 '5요인 성격 특성 요소'로 분류한 카테고리화, 각각의 유형에 해당하는 유명인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시각화를 기반으로 한다. 이 두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MBTI 성격 유형을 시각화하여 표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해당 시스템은 기존의 문자화되어 있는 유형의 특성을 시각화하여 이해하기 쉽게 보여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전체적인 시스템은 '5요인 성격 특성 요소'를 활용하여 카테고리 별 특성을 반영한 배경 생성 과정과 16가지 MBTI 유형에 해당하는 유명인 이미지의 결합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5요인 성격 특성 요소'는 MBTI 성격 유형을 4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데 각각의 카테고리 별 특성은 색상 및 선과 같은 시각적 요소들을 이용하여 배경을 만드는 기반이 된다. 둘째, 유형별 유명인의 이미지는 문자적 설명을 대신한다. 유형을 대표하는 유명인의 이미지에는 각기 다른 채도를 적용하여 이용자가 직관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했다. 결과적으로, 해당 시스템은 이용자가 이용자 본인의 원 유형과 유사 유형 및 반대 유형 그리고 타 유형에 대한 정보까지도 얻을 수 있게 한다.

한국 차-연대기 문헌 DB 구축 및 웹서비스 구현 (A Construction of Korean Tea-Historical Literature DB and Implementation of Web Service)

  • 이민규;양정현;정세훈;심춘보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9호
    • /
    • pp.103-115
    • /
    • 2023
  • 조선왕조실록 등 8개 역사 문헌에 수록된 차 관련 정보의 열람을 위한 한국 차-연대기 문헌 DB를 구축하고 웹서비스를 구현했다. 데이터는 기존의 구축된 역사 문헌 DB 및 열람 서비스에서 수집했다. 가공 및 검수, 태그 입력을 수행하여 53,679개의 차 관련 연대기 문헌 데이터를 생성하고 DB를 구축했다. 또한 기존 분산된 열람 서비스를 일원화하여 연대기 문헌의 차 관련 정보를 단일 웹서비스로 제공한다. 문헌명·시간·태그별 검색기능 지원, 데이터별 속성 태그 지정, 원자료 링크를 통한 검색 연계와 북마크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했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차 관련 문헌 사료를 집적하고 접근성을 개선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연구를 지원하고 식품 자원 및 문화유산으로서 한국 전통 차의 보존과 교육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대화문 재구조화를 통한 한국어 대화문 요약 (Summarization of Korean Dialogues through Dialogue Restructuring)

  • 김은희;임명진;신주현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11호
    • /
    • pp.77-85
    • /
    • 2023
  • COVID-19 이후 온라인을 통한 소통이 증가하여 다양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소통을 위한 대화 텍스트 데이터가 대량으로 축적되고 있다.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텍스트 요약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증가함에 따라 딥러닝을 활용한 추상 요약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화 데이터는 뉴스 기사와 같은 정형화된 텍스트에 비해 누락 및 변형이 많아 대화 상황을 다양한 관점에서 고려해야 하는 특이성이 있다. 특히 어휘 생략과 동시에 내용과 관련 없는 표현 요소들이 대화의 내용을 요약하는 데 방해가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대화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발화문을 재구조화하고 KoBART 기반의 사전학습된 텍스트 요약 모델을 파인 튜닝후, 요약문에서 중복 요소를 제거하는 정제 작업을 통해 대화 데이터 요약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발화문을 재구조화하는 방법으로는 발화 순서에 따라 재구조화는 방법과 중심 발화자를 기준으로 재구조화하는 방법을 결합하였다. 대화문 재구조화 방법을 적용한 결과, Rouge-1 점수가 4 정도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대화 특성을 고려한 재구조화 방법이 한국어 대화 요약 성능 향상에 유의미함을 입증하였다.

내병외치약물(內病外治藥物)에 관한 문헌적(文獻的)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xternal Treatment of Internal Diseases in Medical Classics)

  • 이석재;맹학영;금경수;정헌영;조은희;이시형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9-199
    • /
    • 2009
  • The external treatment of internal diseases was first recorded in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and two hundred and fifty odd cases were found in the Bonchogangmok(本草綱目) and Oechisusebang(外治壽世方). Bonchogangmok(本草綱目) is a technical book devoted to explaining materia media as well as the external treatment of internal diseases. Oechisusebang(外治壽世方) is also a technical book, which make 36 references to the disease patterns of internal medicine. The medicinals employed as external treatment of internal diseases are grouped into 300 classes. These medicinals do not set limits to trees and plants but also uses birds and beasts, reptiles, grains, feces and urine, soil, stone etc., applied to various disease patterns. This study researched the medical texts in order to treat the disease patterns of internal medicine.

  • PDF

디지탈도서관의 구축을 위한 연구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digital library)

  • 서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529-567
    • /
    • 1996
  • This paper surveye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digital library. Its definition and function and case studies, and basic skills for system construction of digital library were suggest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raditional library and the digital library were compared. And the conditions that should be take into consideration of digital library construction were suggested. Sugges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For the construction of digital library, library collection should be digitalized by using CD-ROM and commercial online services. 2. The digitalization of library collection should be planned by subject sharing between the libraries. For the control of this cooperation, the orgnization to propel the digital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And it is necessary to enact the standards for the digital library. 3. The connection between MARC formatted bibliographic database and full-text should be studied. 4. All the types of information about texts, pictures, sounds and if films should be also digitalized. 5. To satisfy the needs of many users, we have to establish the various users's interface which is fitted for several kinds of users. 6. When a digital library was constructed, the copyright and resources sharing must be guranteed depending on the cost of database's usage. 7. Because the digitalization of library will be related to the various kinds of libraries, the interface for resources sharing will be constantly concerned. 8. The sharing of information resources between the libraries will be enacted on the Internet. And we must be interested in various internet tools such as telecommunication softwares, media convert programs, etc. 9. By training staffs continously, all libraries must be ready to come the library in the future.

  • PDF

Inculcating a Sense of Community Among Members of Social Networking Communities

  • Gupta, Sumeet;Kim, Hee-Woong;Lee, So-Hyun
    • 지식경영연구
    • /
    • 제16권4호
    • /
    • pp.89-108
    • /
    • 2015
  • Social networking communities (SNCs) are media designed to facilitate social interaction using highly accessible and scalable publishing techniques. SNCs can constitute individuals' their own profiles in the online environment and share texts, images and photos in a variety ways. In other words, one of the other motivators is knowledge sharing. Various sites, such as Facebook, Orkut, MySpace, and Hi5 are categorized as SNCs. SNCs have become increasingly popular in recent years among youths, especially students, who use them to build social network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is usage of SNCs inculcates a sense of community among their members. Several studies have examined the role of a sense of community through increased usage in the context of virtual communities. Although this result may be true of virtual communities, this paper contends that the opposite relationship prevails in the case of SNCs because members interact to build networks and are not obliged to interact. The results reveal that maintaining long-term interactions in the SNCs is helpful in building a sense of community in SNCs. Although short-term usage may not boost the development of a sense of community in SNCs, it does matter if the premise is for a long-term commitment to SNCs.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