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 Representation

검색결과 348건 처리시간 0.038초

심전도 신호기반 개인식별을 위한 텐서표현의 다선형 판별분석기법 (A Multilinear LDA Method of Tensor Representation for ECG Signal Based Individual Identification)

  • 임원철;곽근창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7권4호
    • /
    • pp.90-98
    • /
    • 2018
  • 심전도 신호는 기본적으로 심장의 전기적 활동에 포함되며 이를 통해 심박수 측정, 심장 박동의 리듬 검사, 심장 이상 진단, 정서 인식 및 생체 인식과 같은 다양한 목적으로 분석 및 활용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다차원 데이터 배열인 텐서 특성을 가진 다선형 판별분석(MLDA: Multilinear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개인식별을 수행하고자 한다. MLDA는 상위 차원의 텐서를 포함하는 분류 문제에 대해서 차원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으며, 상호 연관된 부분 공간은 서로 다른 클래스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시된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Physionet의 MIT-BIH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하였다. 이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실험한 결과, MLDA는 기존 PCA와 LDA와 비교하여 개인식별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System development of fatigue-less HMD system 3DDAC(3D Display with Accommodative Compensation): System implementation of Mk.4 in light-weight HMD

  • Toshiaki-SUGIHARA;Tsutomu-MIYASATO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Workshop on Advanced Image Technology
    • /
    • pp.51-54
    • /
    • 1998
  •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the 3DDAC mk.4 system, which is a brand new implementation on the research program. The 3DDAC is a fatigue-less stereoscopic display system that is provided with a compensating function of accommodation for binocular disparity 3D image representation. The mk.4 system also features a light-weight HMD style.

  • PDF

트랜스미디어에 나타난 패션 문화 콘텐츠의 매개특성 연구 - 20세기 이후 현대 패션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ediation in Fashion Culture Contents Found in Transmedia - Focusing on Modern Fashion since the 20th Century -)

  • 김향자
    • 복식
    • /
    • 제67권4호
    • /
    • pp.131-15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odern fashion culture in the 20th century through changes in transmedia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fashion contents. The study also striv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remediation in modern fashion and media by exploring the cultural code, and use it to establish an integrated view. The subjects and the method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 of transmedia and fashion culture since the 20th century. Second, it identified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transmedia. Third,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remediation in modern fashion culture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mediation, which appeared with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transmedia.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remediation are 'borrowing,' 'Representation,' 'Expansion,' 'Refashion,' and 'Absorb.' In old and new media, each type can be aesthetically experienced in 'transparency,' opaqueness,' 'Hypermediacy,' and 'Immediacy.' Second, fashion culture can undergo a transformation from its original form to a second and a third iteration, and this process allows for possibility of an expansion of multiple plots and well-rounded character settings. This opens up the possibility for fashion consumer participation, and signifies a transition into an environment where expansion of time and space is possible. The third finding is the non-mediation of fashion objects. The mediating relationship between clothes and media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The immersion of new media by fashion consumers has the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cy'/'Non-mediation,' and the reinterpretation and reproduction of original fashion styl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opaqueness'/'Hyper-mediation.' Fourth, fashion culture has data variability. Through 'Borrowing,' 'Representation,' 'Expansion,' 'Remodeling,' and 'Absorption,' the cultural hierarchy of reproduced fashion forms a multi-layered integrated network. Mediation code, which repurposes fashion culture contents, also creates new media fashion through transmedia.

실감효과 재현을 위한 MPEG RoSE 표준화 (MPEG Standard for Representation of Sensory Effects)

  • 주상현
    • 방송과미디어
    • /
    • 제14권2호
    • /
    • pp.113-122
    • /
    • 2009
  • RoSE(representation of sensory effects)기술은 A/V미디어에서 제공하는 시청각 효과 이외에 바람/향기/진동 등의 실감효과를 팬/발향기/진동의자 등의 다양한 디바이스와 연동시킴으로써 미디어의 실감효과를 극대화하는 기술이다. 2007년 10월 82차 MPEG회의에 처음 제안된 RoSE프레임워크는 SE(sensory effects), USP(user sensory preferences), SDC(sensory device capabilities), SDCom(sensory device commands)의 표준아이템이 상호 연동하는 시스템 구조를 갖는다. 지난 2월 87차 MPEG로잔(Lausanne)미팅에서는 이들을 현실과 가상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표준을 정하는 MPEG-V(ISO/IEC 23005) 프로젝트의 Part 2(control information)와 Part 3(sensory information)으로 분리 배치하고 오는 7월 89차 런던 미팅에서 CD(committee drait)를 목표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XML에 기반한 이들 4개의 표준 아이템 구성을 살펴보고 현재까지 MPEG 에서 진행되어 온 RoSE표준화 과정을 소개한다.

이중층 스크린 인쇄판을 사용한 스크린 인쇄 (The Screen Printing using Double Layer Screen Plate)

  • 강영립;정기영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57-67
    • /
    • 2010
  • The double layer screen plate tensioned with two sheets screen mesh is more thicker than that of one screen sheet. The double layer screen plate piled up with two sheets screen 200# or overlapped with a sheet screen 110# and a sheet screen 305# is more thicker than single layer screen plate with one sheet screen 420#. As the screen plate composed of two sheets screen has more accumulated ink capacity than one sheet of screen, printing printed with it has a good plasticity. And the single layer screen plate that accumulate a small quantity of ink has an excellent representation than the double layer screen plate but lower plasticity.

Marriage Migrants' representation in Korean Cinema

  • de Dios, Ines Miranda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31-40
    • /
    • 2018
  • This paper studies how marriage migrants are being depicted in Korean Cinema. In the recent years, the foreign population in South Korea has been increasing and so has done the presence of migrant minorities in media, including cinema. This study discusses that korean cinema shows dominant ideologies of power in Korean society where marriage migrants are located at the bottom. Five films were analyzed and from this analysis five frames were extracted. Marriage migrants are frequently depicted as subordinated or powerless, they are usually women in the role of wives, mothers, and daughters-in-law, they are treated as ethnic others, sexualized others or commodities. Consequently, their relationships with Korean nationals are formed by power relations. Moreover, Korean national who do establish some sort of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marriage migrants are represented as people in the margins of Korean society. In this way, it is reinforced the social position of marriage migrants as outsiders in the Korean society.

Angle-Based Virtual Source Location Representation for Spatial Audio Coding

  • Beack, Seung-Kwon;Seo, Jeong-Il;Moon, Han-Gil;Kang, Kyeong-Ok;Hahn, Min-Soo
    • ETRI Journal
    • /
    • 제28권2호
    • /
    • pp.219-222
    • /
    • 2006
  • Virtual source location information (VSLI) has been newly utilized as a spatial cue for compact representation of multichannel audio. This information is represented as the azimuth of the virtual source vector. The superiority of VSLI is confirmed by comparison of the spectral distances, average bit rates, and subjective assessment with a conventional cue.

  • PDF

브렉시트 캠페인 기간 동안 영어 미디어에 나타난 이민자들 (Migrant Representation in the English-language Media during the Brexit Campaign)

  • 이재승
    • 비교문화연구
    • /
    • 제45권
    • /
    • pp.325-348
    • /
    • 2016
  • 본 논문은 브렉시트 캠페인 기간 동안 영어권 국가, 영국, 미국, 캐나다, 그리고 호주의 미디어에서 이민자들이 어떻게 표현되는지 살펴본다. 코퍼스 지원 담화연구의 틀을 사용한 본 연구는 브렉시트 국민투표 캠페인이 시작된 날부터 국민투표가 실시되기 전 날까지(2016년 4월 15일-6월 22일) 검색기간으로 설정하고, 검색어 'Brexit'가 포함된 모든 기사를 수집하여 브렉시트 캠페인 코퍼스를 구축하였다. 수집된 코퍼스 자료를 통해서 이민자를 나타내는 어휘들, IMMIGRANT, MIGRANT, 그리고 REFUGEE의 빈도를 관찰하고, 이 어휘들과 함께 나타나는 연어를 분석하였다. 또한 세 어휘의 연어들을 사회적 행위자 범주에 따라 분류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IMMIGRANT의 연어는 법적 상태 및 출신지역 어휘들과 연관성이 있고, MIGRANT는 경제적인 용어들과 주로 연어 관계에 있으며, REFUGEE는 큰 수를 나타내는 어휘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민자들은 기능범주, 유형범주, 그리고 평가범주를 통해서 묘사되며, 특히 영국과 미국의 미디어에서 이민자들이 부정적으로 그려지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특정 현상 및 특정 집단의 사람들을 가리킬 때 특정 어휘가 사용되며, 코퍼스 지원 언어분석이 해당 사회의 사회 문화 정치적 상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공간 동기화 관리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저작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media Authoring System using Temporal/Spatial Synchronization Manager)

  • 여인국;황대훈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11호
    • /
    • pp.2679-2689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타이틀 제작을 쉽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시공간 동기화 관리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저작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를 위하여 타이틀 저작자의 설계 의도를 별도의 변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실제 타이틀 구성 로직으로 표현하는 흐름도 방식의 로직 생성기와 생성된 로직을 번역하여 실행하는 로직 인터프리터를 설계하였다. 아울러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에 필요한 미디어 데이타 간의 시${\cdot}$공간 동기화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동기화 관리기를 설계하였다. 특히 미디어 객체들 간의 시간적 관계를 동기화하기 위하여 시간 명세 모델과 그 모델의 형식 언어인 MRL를 설계하였다. MRL은 복잡한 시간 관계를 간결한 형태로 표현할 수 있는 좋은 표현력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효과적으로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동기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공간적 동기화를 위하여 표시 매체의 공간 상의 가시적인 크기와 접속점을 일치시키는 표시 화면 편집기를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