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 Genre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4초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중간광고에 대한 시청자 반응 연구 (A Study on the Viewers' Reponses to In-Program Advertising According to TV Program Genre)

  • 이현선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3권
    • /
    • pp.282-313
    • /
    • 2008
  • 본 연구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중간광고에 관해 고찰하였다. 지상파 TV의 중간광고 재도입 논쟁과 관련된 문제의 핵심을 시청자들에 맞추어 시청자들의 입장에서 중간광고에 관한 반응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중간광고에 대한 반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른 반응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중간광고를 집행하는 경우 프로그램 전, 후 광고만을 집행하는 경우보다 시청자 반응, 방송사에 대한 태도, 그리고 중간광고를 집행하는 광고주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중간광고의 도입에서 제외되어야 한다고 제안된 뉴스와 교양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에 중간광고를 도입하여 그 반응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이들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른 반응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중간광고를 실시하는 경우 실시하지 않는 경우보다 프로그램에 대한 반응이 전체적으로 모두 낮게 나타났다.

  • PDF

매체연기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Acting)

  • 박호영;민경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59-169
    • /
    • 2011
  • 무대연기와 매체연기는 매체의 특성상 연기 표현 방법이 확연히 다르다. 그렇지만 연기 기초를 이루고 있는 연기자 내면의 진실이 변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연기자 내면의 연기는 무대연기와 매체연기에 공통적으로 적용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체연기는 장르적 특성상 무대연기에 비해서 좀 더 섬세하고 자연스러운 연기를 요한다. 매체연기는 스크린을 통해서 무대연기보다 훨씬 더 디테일하고 확대 되어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매체연기의 표현특성을 어떻게 하면 무대연기의 표현방법과 차별화시킬 것인지를 연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매체연기를 학습하는 학생 또는 전문배우가 감정이나 행동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매체의 특성을 반영한 리얼한 생활연기를 보여줄 수 있는 매체연기 표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매체연기 훈련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표현방법은 매체연기를 도전하는 배우가 내면의 진실을 프레임 안으로 자연스럽게 끌어들이는 훈련을 통해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매체연기에서 요하는 섬세하고 디테일한 연기 스타일을 구축 할 수 있는 기회와 더불어 무대연기와는 차별화된 연기 스타일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소셜 미디어에 의한 패션쇼의 재매개 (Remediation of fashion shows through social media)

  • 김세진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5호
    • /
    • pp.694-705
    • /
    • 2021
  • Forming perceptions and having experiences through digital media is becoming more common than having in-person relationships in digital media environment.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when Fashion Week transitioned to a digital platform in 2020, focuses on fashion shows that are announced through social medi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how traditional fashion media change through social media and what their media characteristics are from the perspective of remediation, which has been suggested by Bolter and Grusin (1999) as the logic of change in the new media.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in this study, based on the definition and logic of remediation outlin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re that social media fashion shows are remediated from traditional fashion shows in the manner that they are represented, improved, refashioned, and absorbed. The characteristics of remediation expressed in social-media-based fashion shows were derived from repurposed video content, improved the elements of fashion shows to express the shows in various ways, expanded places within the fashion shows, and decontextualized and visually flattened spatial discontinuity, and from genre transitions and perceptual shifts. Social-media-based fashion shows are becoming a tool to renew the fashion experience and views of fashion and strengthen the authenticity of the brand by interacting with the audience, improving on the spatial limitations of traditional fashion shows, and diversifying fashion presentation methods.

현대 연기 특성 연구 (Contemporary Acting Characteristics)

  • 박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07-715
    • /
    • 2016
  • 연기자에게 가장 중요한 역할은 관객 또는 시청자에게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것이다. 각 장르의 연기표현방법은 확연히 다르다. 연기자가 영화, TV, 연극, 뮤지컬 등 각 장르의 연기를 넘나들기 위해서는 각각의 세분화된 특성들을 이해해야 한다. 각기 다른 연기 방법론의 특성을 이해하고 각 매체의 공간적인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표현법을 습득하면 각각의 장르를 넘나들며 연기하는 것이 좀 더 자유로워진다. 이것을 위해서 연기자는 반드시 각 장르의 특성들을 이해하고 습득하여야 한다. 우선적으로 매체연기와 무대연기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각기 다른 장르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K-Pop 디지털 음원 서비스를 위한 상용화에 최적화된 K-Pop 장르 분류 및 장르 기술자 연구 (Research of defining optimal music genre classes for commercial digital music services of K-pop and compatible genre schema)

  • 신사임;이종설;장세진;김무영;;최가현;이진하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2-45
    • /
    • 2014
  • 본 논문은 K-Pop 디지털 음원 서비스에 활용 가능한 음악 정보 (Music Information)를 기술하기 위한 Music Description 중 K-Pop Genre Description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K-Pop 상용화 서비스에 활용하기 위한 음악 장르 분류를 제안하였다. 기존에 서비스되고 있는 K-Pop 디지털 음원 포털의 음원 분류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통하여, 상용화에 가장 적합한 K-Pop 음악 분류 서비스를 위한 장르 체계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TV-anytime 등 국제적 상용화 및 표준화에 적용된 기존의 장르 분류들과의 매핑을 통하여 확장 및 공유가 가능한 형태의 새로운 장르 분류체계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규격을 제안하고 있다.

  • PDF

1920년대 영화소설의 이미지 텍스트 연구 (The Theory of the Image of the "Cinema-novel" in 1920s)

  • 공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501-514
    • /
    • 2017
  • 1920년대 영화소설은 영화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매체효과를 활용해 구성된 서사물이며, 독서 과정에서 끊임없이 영화의 이미지를 환기할 수 있도록 고안된다. 영화 매체의 흥행과 함께 나타난 이 독특한 장르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는 근대적인 예술매체의 형식을 고민하고, 그에 걸맞는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 1920년대 예술의 시대적인 특성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본고는 혼종의 매체 시대, 파격적인 장르 실험의 한 사례로서 '영화소설'에 주목하고, 영화소설이 어떻게 하나의 장르로서 수렴해갔는지 살피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이 과정에서 영화, 소설, 사진, 그리고 삽화가 결합된 융합 텍스트의 미학적 원리를 규명하는 일은, 본고의 중요한 목표가 될 것이다.

미디어 표현공간에서 나타나는 빛의 비실체성 연구 (A Study on Non-substantiation of Light Displayed in Media Expression Space)

  • 김민영;윤서설;이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125-133
    • /
    • 2014
  • While shifting from modern society to post-industrial society, social structure is changing from the period which pursues material affluence to that which pursues psychological abundance. Formation of various values along with pursuit of psychological abundance has made the illusion of standardization, massification, and popularization meaningless. Different from functionality oriented approach in the past, today's design requires diversified, multiple and integrated thinking and way in fast-changing social phenomena and stream, and lets human loose from the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thanks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It appears as new and various attempts along with paradigm shift of the wholle society, however the existing physical and actual things gradually transit to non-physical and non-actual things. Tendency of dematerialization has spread as far as esthetic and environmental genre on the basis of social and philosophical base along with change of consumption culture, and has displayed complex and de-genre aspect. Paradigm shift has expanded the range of communication by changing to user's independent awareness and sensitive concept, among them, light displays various changes of space by taking the role of new medium. Particularly, the light as the media expression beyond the phenomenon of light of traditional concept acts as an essential element to stimulate sensitivity and for experience as an immaterial element which shows this change of space most dramatically. This research aimed at recognizing space in complex dimension, exploring the relation between the light and space through media expression displayed in the realization of immateriality, expanding the meaning of light, and recognizing it as the possibility of creative and future-oriented light space creation which responds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social change.

미디어아트를 활용한 패션디자인 특성 연구 -마샬 맥루한의 미디어론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Appeared by Media Art -Focusing on Marshall McLuhan's Media Theory-)

  • 김효영;김민지;간호섭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59-473
    • /
    • 2019
  • This study analyzes a new aesthetic value of fashion design utilizing media art technology based on Marshall McLuhan's media theory, vitalize a creative fashion design by applying media art technology into traditional fashion design and discover the possibility of various formative expressions. The result of the analysis under the three criterion extract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other art genre such as dance, music, architecture and painting are as follows. First, new concept clothing was designed in the way of combining science and technology with existing costume designs. Second, applying technology based media art images on clothes has been noticeably effected by changes to clothing surfaces. Third, fashion design using technology based media art stimulates the five senses and creates new communication structures.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at fashion design utilizing technology based media art, an innovative medium for future fashion development in digital society, has expanded the boundaries of fashion design beyond limits and contributed to diversity in creative fashion design.

체험적 커뮤니케이션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에 관한 고찰 (Study on Mobile Interactive Media Art based on The Interaction of Experiential Communications)

  • 정윤성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9호
    • /
    • pp.297-320
    • /
    • 2015
  • 현대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예술의 융합은 디지털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매체예술'인 미디어아트의 비약적 발전을 가지고 왔다. 이는 21세기 새로운 창의성의 근간인 커뮤니케이션 예술로서 그 영역과 한계를 확장해 가고 있으며, 현대 디지털 기술의 집결체인 모바일을 통하여 기존의 장르와 분야 간의 경계를 허물고 인터랙티브 즉, 상호작용적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대중예술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첨단기술과 예술의 융합인 모바일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는 시간과 물리적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상호작용과 참여의 능동적인 주체로서 체험적 커뮤니케이션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있으며, 예술과 학문, 문화산업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유동적인 플랫폼을 제공해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확장된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에 대한 정의를 문헌 연구를 통하여 고찰해 보고, 모바일을 예술적 표현의 매개체로 활용하고 있는 모바일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체험적 커뮤니케이션의 상호작용적 효과와 대중예술로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융합과 상호작용, 체험을 화두로 하는 모바일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는 첨단기술과 예술 그리고 새로운 감성이 만나 우리의 생활과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융합과 통섭의 시대적 트랜드에 걸맞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새로운 예술장르로서 진화와 발전을 거듭할 것으로 기대된다.

멀티모달 특징을 이용한 비디오 장르 분류 (Video genre classification using Multimodal features)

  • 진성호;배태면;추진호;노용만;강경옥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219-22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멀티모달(multimodal) 특징을 이용한 비디오 장르 식별 방법을 제안한다. 비디오 장르 식별 기술은 방대한 양의 방송 컨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분류할 뿐 아니라 자동적인 비디오 요약을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따라서, 그 필요성 및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법은 MPEG-7의 오디오 및 비주얼 서술자들을 적용하여 멀티모달 특징을 추출하고 여러 가지 방송 비디오 장르(genre)들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장르 분류를 위해 설계된 인식기(classifier)를 통한 성능을 평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