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t Tenderness

검색결과 350건 처리시간 0.041초

솔잎 열수추출물 소스를 첨가한 양념돈육의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Pork Meat Added with the Sauce of Pine Needle Extract during Storage)

  • 김하윤;황인국;신영지;김석영;황영;유선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93-603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 on the color, hardness, springiness, chewiness, pH,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 and total bacterial number of seasoned pork meat stored at $4^{\circ}C$ for 9 days. The pH levels of sauce samples were not affected by the mixing rate of the extracts. Acidity, soluble solids, and salinity gradually in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extract increased. Total polyphenolic contents in the sauce ranged from $1.01{\pm}0.02$ mg GAE/mL to $1.41{\pm}0.04$ mg GAE/m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anged from $0.06{\pm}0.01$ AEAC to $0.12{\pm}0.01$ AEAC,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anged from $0.11{\pm}0.01$ AEAC to $0.19{\pm}0.01$ AEAC. The pH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extract increased. The l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of meat tended to decrease with longer storage period (p<0.05). Hardness and chewiness also increased with longer storage period (p<0.05). The TBARS values de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extract increased after 6 days (p<0.05). Total bacterial numbers of P5, P10, and P15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In the sensory evaluation, taste and palatabi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 P5, and P10 (p<0.05). Further, flavor, color, tenderness, and juicines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seasoned pork mea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ine needle extract can inhibit protein degradation, lipid oxidation, and bacterial growth when used as an additive to seasoned pork meat.

혼합 생균제 급여가 거세한우의 성장, 혈액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biotic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d Meat Quality of Hanwoo Steer)

  • ;전충환;최인학;이혁준;주영호;이성신;김동현;김삼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967-976
    • /
    • 2017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robiotic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d meat quality of Hanwoo steer was investigated. A total of 32 Hanwoo steers (15-17 months, average body weight $462{\pm}37.9kg$) were randomly allotted to 4 dietary treatments (0, 0.5, 1.0, and 1.5% mixed probiotics), with four Hanwoo steers per pen (two replicates per treatments), and reared for 12 months.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growth performance of Hanwoo steer (P>0.05); however, feed intake de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levels of mixed probiotics. Growth hormone and Blood Urea Nitrogen (BUN) levels responded linearly with increasing levels of dietary mixed probiotics (P<0.05), but not insulin and blood glucose did not. In particular, total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lower for the 1% mixed probiotic treatment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other treatments (P<0.05). The pH,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cooking loss, and meat color were influenced by increasing levels of mixed probiotics (P<0.05), but th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shear force were not. Regarding sensory evaluation, the addition of mixed probiotics resulted in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t color, tenderness, aroma, off-flavor, juiciness, and marbling score, but not in overall acceptability. In addition, fatty acid profiles indicated no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mixed probiotic treatments. In conclusion, mixed probiotic treatment at 1% levels can enhance consumer preferences possibly by reducing cholesterol and TBARS.

들국화분말, 생균제 및 Selenium 복합 급여가 비육기 돈육의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Complex of Wild Chrysanthemum Powder, Probiotics and Selenium on Meat Quality in Finishing Porks)

  • 진상근;김일석;허인철;최승연;유기옥;김진근;강석남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4-120
    • /
    • 2009
  • 총 50두의 돼지를 출하하기 전 55일 동안 일반 사료에 0.3% 들국화분말, 0.1% 생균제, 0.1% 셀레늄을 급여한 시험구 돼지의 육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대조구에 비하여 일반성분, 콜레스테롤함량, 이화학적 특성 및 육색의 변화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조직감의 경우 경도는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파쇄성, 응집성, 탄력성, 검성 및 씹힘성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검사의 경우 신선육의 종합적인 기호도, 조리육의 연도, 다즙성 및 종합적기호도가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신선육의 육색, 드립 및 마블링 지수, 조리육의 육색, 육향 및 맛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방산 조성의 경우 처리구의 myristic acid, palmitoleic acid, oleic acid, unsaturated fatty acid(UFA), MUFA(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SFA(saturated fatty acid) 및 n-6/n-3 ratio가 높게 나타났으나, palmitic acid, stearic acid, linolenic acid, arachidonic acid, SFA, essential fatty acid(EFA)의 지방산의 함량은 낮게 나타났다.

맥반석의 첨가 급여가 육계에서 성장성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anite Porphyry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Sensory Quality in Broiler Chickens)

  • 최태흥;김동욱;안승민;유선종;김성권;안병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51-155
    • /
    • 2004
  • 본 실험은 육계사료 내에 맥반석 분말을 첨가 급여했을 때 육계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와 생산된 계육의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5일령 Avian 육계 수평아리를 반복별로 체중이 동일하도록 임의 배치하였다. 맥반석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 맥반석 분말을 1% 및 2% 수준으로 첨가한 처리구를 두었으며, 각각의 처리구 내에는 항생제 음수 투여구와 무투여구를 두어 5처리에 3반복, 반복당 30수씩 총450수를 공시하여 30일간 실험사료를 급여하였다. 실험기간 중의 사료섭취 량 및 증체량을 조사하여 사료요구율을 구하였고, 5주령에 각 반복구 내에서 체중의 평균치에 해당하는 개체를 2수씩 선발하여 희생시킨 후 필요 조직을 채취하였고, 근육 내의 화학적 조성과 육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종료 시 체중 및 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해 맥반석 분말을 첨가 급여한 처리구에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맥반석 분말 1% 첨가구에서 사료 요구율이 개선되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단위 체중당 간 중량 및 복강지방 중량은 맥반석 분말의 첨가 급여에 의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맥반석 분말 2% 첨가구에서 가슴근육의 중량이 가장 높았으며, 다리근육중량은 반대로 낮아지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맥반석 분말 1% 첨가구에서는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맥반석 분말 2% 첨가구에서는 맛, 연도 및 다즙성의 전 항목에 걸쳐 유의하게 높아지거나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Physicochemical Meat Quality and Sensory Property of Holstein Steer Beef Produced by Different Fattening Periods

  • Cho, Soohyun;Kim, Jongin;Kang, Sunmoon;Kang, Geunho;Seong, Pilnam;Park, Kyungmi;Ki, Kwangsuk;Kim, Hyunsub;Kim, CheonJei;Park, Beomyo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49-755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olstein steer beef loin (M. longissimus dorsi) and top round (M. semimembranosus) from 18, 21 and 24-mon old. The loin and top round muscles from the 24-mon group had higher intramuscular fat content (%) than the other groups (p<0.05); however, the protein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3 groups (p>0.05). With regard to meat color (CIE), the l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of the loin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21- and 24-mon groups, and those of the top round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21-mon group than the same cuts in the other groups. The Warner-Bratzler shear force was the lowest at 24 mon for both the loin and top round muscles (3.69 kg); however, the water holding capacity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loin muscles from the 21-mon group (54.53%, p<0.05). The loin muscles from the 24-mon group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 an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saturated fatty acid than those in the other groups (p<0.05). The tenderness, juiciness, flavor-likeness and the overall-likeness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beef from the 21- and 24-mon groups than that from the 18-mon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both the slaughtering age and muscle type significantly affect meat quality. Therefore, fattening the beef for more than 4 mon during the late fattening stage would be advantageous for the meat quality of Holstein steers.

인삼, 산약, 한약 부산물의 급여가 재래종 계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anax ginseng Leaves, Dioscorea japonica Hulls and Oriental Medicine Refuse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Native Chicken Meat)

  • 김병기;황인업;김영직;황영현;배만종;김수민;안종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2-129
    • /
    • 2002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축산기술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재래닭 160수를 공시하여 인삼 부산물(잎 줄기), 산약 부산물(박피후 건조껍질), 한약(달인 후 찌꺼기) 부산물을 각각 5%씩 기본사료에 첨가급여하였다. 시험기간은 부화후 8주령에 시작하여 20주령에 종료하였으며, 재래종 계육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숙성온도와 기간이 한우 거세우 배최장근의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eing Temperature and Time on the Meat Quality of Longissimus Muscle from Hanwoo Steer)

  • 김진형;조수현;성필남;하경희;김학균;박범영;이종문;김동훈;안종남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1-178
    • /
    • 2007
  • 본 연구는 숙성온도와 숙성기간이 한우 거세우 배최장근의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숙성온도를 0, $4^{\circ}C$로 하여 2, 7, 14, 21, 28, 49일 동안 숙성하면서 한우 거세우 배최장근의 pH, 전단력, MFI, 가열 및 육즙감량, 전자현미경 관찰, 관능검사 및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pH는 숙성온도가 $0^{\circ}C$일 때 숙성 21일까지, 숙성온도가 $4^{\circ}C$일 때 숙성 14일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다(p<0.05). 전단력 값은 숙성 14일부터 28일까지 $4^{\circ}C$에서 숙성한 배최장근이 $4^{\circ}C$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연도가 향상되었다(p<0.05). MFI의 경우 $4^{\circ}C$에서 숙성한 배최장근 보다 $0^{\circ}C$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고,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0^{\circ}C$에서 숙성한 배최장근의 가열 및 육즙감량이 $4^{\circ}C$보다 적은 경향이었고,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관능검사에서 연도와 다즙성은 $0^{\circ}C$에서 숙성한 배최장근이 $4^{\circ}C$ 보다 좋은 평가를 보였고, 숙성기간이 경과하면서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얻었다(p<0.05). 전자현미경에 의한 미세구조 변화는 $4^{\circ}C$에서 숙성한 배최장근이 $0^{\circ}C$보다 1주일 빠르게 Z-disk의 붕괴가 확실하게 관찰되었고, 숙성기간이 경과하면서 Z-disk의 붕괴정도가 많아졌다. 아미노산 함량 변화는 $4^{\circ}C$에서 숙성한 배최장근이 $0^{\circ}C$보다 높은 경향이었고, 숙성기간이 경과하면서 각 아미노산 조성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한우 거세우 등심의 최적 숙성 조건은 $0^{\circ}C$에서는 14일간, $4^{\circ}C$에서는 7일간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숙성기술의 산업적 적용을 위하여 한우의 부위 및 근육별 적정 숙성기간 설정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Comparison of Carcass and Sensory Traits and Free Amino Acid Contents among Quality Grades in Loin and Rump of Korean Cattle Steer

  • Piao, Min Yu;Jo, Cheorun;Kim, Hyun Joo;Lee, Hyun Jung;Kim, Hyun Jin;Ko, Jong-Youl;Baik, Myungg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1호
    • /
    • pp.1629-1640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carcass traits, sensory characteristics, physiochemical composition, and contents of nucleotides, collagen, and free amino acids among quality grades (QG) and to understand the association between QG and above parameters in loin and rump of Korean cattle steer. Loin and rump samples were obtained from 48 Korean cattle steers with each of four QG (QG 1++, 1+, 1, and 2; average 32 months of age). Carcass weight and marbling score (MS) were highest in QG 1++, whereas texture score measured by a meat grader was highest in QG 2. A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MS (r = 0.98; p<0.01) and fat content (r = 0.73; p<0.01) had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with QG and that texture had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r = -0.78) with QG. Fat content in loin was highest but protein and moisture contents were lowest in QG 1++. Our results confirmed that a major determinant of QG is the MS; thus, intramuscular fat content.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Illumination $L^*$, $a^*$, and $b^*$ values in loin were highest in QG 1++. Numeric values of shear force in loin were lowest in QG 1++, whereas those of tenderness, juic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tended to be highest in QG 1++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QG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juiciness (r = 0.81; p<0.01) and overall acceptability (r = 0.87; p<0.001). All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higher (p<0.05) in loin than those in rump. Adenosine-5'-monophosphate (AMP) and inosine-5'-monophosphate (IMP) contents in both loin and rump did not differ among QGs. No nucleotide (AMP, IMP, inosine, hypoxanthine) was correlated with any of the sensory traits. Total, soluble, and insoluble collagen contents in loin were higher in QG 1++ than those in QG 1. All three collagens had lower content in loin than that in rump. All three collage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nderness, juic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Glutamic acid conten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mong the four QGs in either loin or rump. In conclusion, it is confirmed that QG is associated with sensory traits but nucleotide contents in beef may not be a major factor determining meat palatability in the present study.

실용 재래닭의 지방산 조성 및 관능적 특성 (Fatty Acids Composi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Commercial Native Chicken Meat)

  • 김영호;민중석;황성규;이상옥;김일석;박형일;이무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64-970
    • /
    • 1999
  • 본 연구는 실용계의 육질특성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재래계와 육용계의 교잡종 6개구(RcDR, RcLR, BcBR, BcDR, BcLR, RcBR)와 전용육계 1개구(Arbor Acre), 재래계 3개구(적갈색종-D, 황갈색종-L, 흑색종-B)에 대한 지방산 조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출하주령에서의 지방산 조성에서 재래계는 일반적으로 다른 종보다 불포화지방산함량이 더 높았다. B, BcBR, BcDR은 가장 높은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나타낸 반면 포화지방산 함량은 다른 종에 비해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결과를 살펴보면 다리육의 경우 다즙성(juiciness), 연도(tenderness), 기호성(acceptibility)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다즙성은 흑색종과 RcBR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Arbor Acre 가 가장 낮았다. 연도는 흑색종이 가장 우수하였고, 그다음은 RcBR이었으며, RcDR은 가장 낮았다. 풍미와 냄새에서는 각각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기호성은 재래계 특히 흑색종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시험구중에서는 RcBR이 가장 우수하였다.

  • PDF

오리 가슴육의 발골시간과 저장온도가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ning Time and Storage Temperature on Meat Qualify of Duck Breast)

  • 강근호;정진연;샤우컷 알리;김상호;장병귀;강희설;이덕수;이상진;박구부;주선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3-48
    • /
    • 2006
  • 도압 후 오리 가슴육의 발골시간과 취급방법이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처리구 간의 pH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냉동해동 처리구가 냉도체 발골구에 비해 높은 명도($L^*$)와 황색도($b^*$)를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짧은 근절길이와 높은 가열감량을 보였고, 그 결과 높은 전단가를 나타내었다. 이 같은 결과는 냉동해동 처리구의 근원섬유 단백질 용해성이 낮은 것과 관련이 있었으며, 낮은 용해성은 nebulin과 같은 고분자 단백질이 사후초기에 냉동에 의해 분해되지 않은 결과로 사료된다. 따라서 오리고기는 도압 후곧바로 발골하여 냉동 또는 냉장 유통하는 것보다 냉도체 발골하여 냉장 유통하는 것이 육질향상을 위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