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n sea level and its variation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3초

Topex/Poseidon위성 고도계 자료에 대한 신호처리 및 한반도 주변해역에 대한 그 적용 (Signal Treatement for Topex/Poseidon Satellite Altimetric Data and Its Application near the Korean Seas)

  • 윤홍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2-31
    • /
    • 1999
  • Topex/Poseidon위성의 고도계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주변해역에서의 해양 및 대기적 보정인자들의 특성과 평균 해수면 및 그 변화를 각각 알아 보았다. 이때 사용한 고도계 자료는 1992년 9월부터 1994년 8월(총 70개의 싸이클)까지의 자료를 사용했다. 또한 동시에 고도계 자료의 추출 및 신호 처리를 통한 최종의 해양신호(해수면)를 쉽게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상세히 묘사하였다. 대기적 보정인자들로서 건조 및 습윤 대류층, 이온층 그리고 해면기압의 변화 범위의 폭은 수cm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전자기적 편차의 변화 범위의 폭은 약 10cm로서 앞선 세 보정인자들에 비해서 높게 나타났다. 해양적 보정인자들의 변화 범위의 폭을 보면, 해양조(궤적 127에서는 35cm 그리고 궤적 214에서는 60cm)는 탄성조(궤적 127에서는 5cm 그리고 궤적 214에서는 1cm)와 하중조(궤적 127에서는 1.8cm 그리고 궤적 214에서는 1cm)에 비해서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해양에서 해수면의 변화에 크게 기여하는 주요 인자는 해양조 그리고 전자기적 편차의 순이라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최종 해양신호인 해수면의 한반도 주변해역에서의 특성을 보면, 황해에서의 평균 해수면은 동해 및 서해에 비해서 높았다. 그리고 이때 약 100cm의 평균 해수면 값과 함께 -60cm에서 210cm의 변화 범위를 보였다. 한반도 주변해안의 평균 해수면은 황해 및 동지나해에서 변화 특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서해의 용암포의 경우는 RMS가 5.689cm인데, 이것은 이 지역의 국부적인 지형의 특성과 조류의 영향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

An Estimation Of Average Current Velocity In The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 From Mean Sea Level Data

  • Lee, Jae Chul;Jung, Chang Hee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67-74
    • /
    • 1977
  • With the serial observation data and the tidal records at Busan and Izuhara from 1966 to 1973, the geostrophic current velocity and its relation to the difference of mean sea level of both sides were studied in order to estimate indirectly the average current velocity from the tidal observations. The results shows that the current velocity is estimated by the relationship V=4.016(H-98.3) with the 95% confidence limits of V 4.2 cm/sec. Ther relationship between the observed current velocity and the simultaneous daily mean sea level difference shows a similar result, V=4.717(H-99.6). The two equations were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annual variations of current velocity from the average monthly mean sea level data of both stations.

  • PDF

Topex/Poseidon 고도계자료를 이용한 동북아시아 연변해역의 해수면 변화 연구 (Sea Level Variations in the East Asian Marginal Seas by Topex/Poseidon Altimeter Data)

  • Yoon, Hong-Joo;Kim, Sangwoo;Lee, Moon-Ock;Park, Il-Heum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1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300-303
    • /
    • 2001
  • The first 7 years of altimeter data from the TOPEX/POSEIDON (T/P) were analyzed to study the surface circulation and its variability in the East Asian Marginal Seas. Long term averaged T/P sea level time series data where compared with in situ sea level measurements from a float-operated type tide gauge around of south Korea and Japan. T/P data are a large contaminated by 60-day tidal aliasing effect, very near the alias periods of M2 and S2. When this 60-day effect is removed, the data agree well with the tide gauge data with 4.6 cm averaged RMS difference. The T/P derived sea level variability reveals clearly the well-known, strong current-topography such as Kuroshio. The T/P mean sea level of North Pacific (NP) was higher than Yellow Sea (YS) and East Sea (ES). The T/P sea level valibility, with strong eddy and meandaring, was the largest in eastern part of Japan and this variability was mainly due to the influence of bottom topography in Kuroshio Extention area.

  • PDF

한국연안의 월평균해면의 변화에 대하여 (On the Variations of Monthly Mean Sea Levels along the Coast of Korea)

  • 이석우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권1_2호
    • /
    • pp.24-33
    • /
    • 1967
  • 본고는 한국연안의 9개검조소 (울릉도, 묵호, 울산, 부산, 진해, 여수, 제주, 목포 및 인천등)의 최근의 월평균해면의 자료를 분석한 성과이다. 평균해면의 변화가 주로 기압 및 바람의 효과, 해수밀도의 변화, 하천유량의 변화 그리고 경도류의 역학적효과등에 기인한다는 것은 여러 해양학자들에 의해 증명되었다. 특히 근래에는 평균해면의 자료를 해황의 변동의 판단에 이용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원래 해양관측은 다액의 경비와 인력을 필요로 하므로 동일해역을 자주 관측한다는 것은 매우 곤란하므로 비교적 용이한 해면의 관측을 통해 해황변동을 파악한다는 것은 매우 흥미있는 사실이라 생각된다. 과거 한국근해의 평균해면에 대한 연구조사는 1930년 소창신길(Ogura,S.)가 원산, 부산, 군산, 인천 및 진남포등의 평균해면의 월편차를 산출발표한것과 금1967년 가을 Listzin, E.가 "도해의 평균해면의 변화"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원산 및 부산의 평균해면을 논한 것뿐이다. 그리고 Miyazaki, M.는 1954년 "일본연안의 평균해면의 계절변화"를 연구발표한바 있다. 앞으로 한국연해의 해황판단 에 평균해면자료를 이용시도함에 앞서 우선 평균해면에 미치는 요소를 특히 기압의 영향과 해수밀도의 변화의 효과를 고찰해 보기로 한다.

  • PDF

THE CASPIAN SEA LEVEL, DYNAMICS, WIND, WAVES AND UPLIFT OF THE EARTH'S CRUST DERIVED FROM SATELLITE ALTIMETRY

  • Lebedev, S.A.;Kostianoy, A.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973-976
    • /
    • 2006
  • The oscillations of the Caspian Sea level represent a result of mutually related hydrometeorological processes. The change in the tendency of the mean sea level variations that occurred in the middle 1970s, when the long-term level fall was replaced by its rapid and significant rise, represents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changes in the natural regime of the Caspian Sea. Therefore, sea level monitoring and long-term forecast of the sea level changes represent an extremely important task. The aim of this presentation is to show the experience of application of satellite altimetry methods to the investigation of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the sea level, wind speed and wave height, water dynamics, as well as of uplift of the Earth’s crust in different parts of the Caspian Sea and Kara-Bogaz-Gol Bay.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estimates of the Volga River runoff derived from satellite altimetry data. The work is based on the 1992-2005 TOPEX/Poseidon (T/P) and Jason-1 (J-1) data sets.

  • PDF

지구 평균 질량 변화를 포함한 GRACE 중력 모델 보정 (Refinement of GRACE Gravity Model Including Earth's Mean Mass Variations)

  • 서기원;엄주영;권병두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537-542
    • /
    • 2014
  • GRACE는 2002년 발사된 이래로 지하수, 빙하, 해수면의 변동에 의한 지구의 질량 재배치를 관측해오고 있다. GRACE 관측으로부터 추정된 지구 중력 모델은 기압보정을 거쳐 대기 질량이 제거된 지구 표면과 그 하부의 질량 변화를 나타낸다. 그러나 대기 총 질량은 지표면과 대기 사이의 물 교환에 의해 변한다. 그 결과 GRACE 중력 모델은 구면 조화 함수의 계수 degree 0, order 0 ($C_{00}$)에 해당하는 총 대기 질량 변화에 관련된 중력 스펙트럼을 가져야 한다. 주로 계절적인 시간 척도 안에서 변하는 수증기 때문에 $C_{00}$의 변화(${\delta}C_{00}$)는 특히 해수면의 계절적 변동과 북반구와 남반구 사이의 질량 균형에 매우 중요하다. 이 결과는 ${\delta}C_{00}$가 기후변동과 관련된 대륙 규모의 질량 변화 연구에 꼭 고려되어야 함을 뜻한다.

한국 연안에서 1999년부터 2017년까지 해수물성과 대기압 변화에 따른 계절 비천문조와 월평균 해수면 변화 (Non-astronomical Tides and Monthly Mean Sea Level Variations due to Differing Hydrographic Conditions and Atmospheric Pressure along the Korean Coast from 1999 to 2017)

  • 변도성;최병주;김효원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6권1호
    • /
    • pp.11-36
    • /
    • 2021
  • 비천문조인 연주조(Sa)와 반년주조(Ssa)는 해수특성 변화와 기상 상태에 영향을 받는 비대칭 월평균 해수면의 연변화와 관련이 깊다. 국립해양조사원이 운영하는 21개 조위관측소에서 관측한 1시간 간격의 19년(1999~2017년) 간 해수면 높이 자료에 대하여 두 종류의 조석 조화분해 프로그램(Task2K와 UTide)을 사용하여 Sa와 Ssa의 조화상수를 산출하였다. 조화분해에 사용되는 자료의 시작 시기와 길이에 따른 Sa의 안정도를 조사하였으며, Sa와 Ssa의 조화상수의 분포 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인천 조위관측소의 20년(1999~2018년) 해수면 관측자료를 1일씩 이동하면서 1년(369일) 조화분해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두 프로그램 모두 자료의 시작 시기에 따라 Sa 조화상수가 불규칙하게 크게 변동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ask2K가 Sa 분조 계산식에 근일점 천문변수를 고려하지 않아서, 두 프로그램 간에 약 78°의 지각 차가 났으며, 이들 진폭 차이는 1 cm 이하였다. 우리나라 연안에서는 Sa 조화상수가 해마다 크게 다르므로, 조위 예측 정확도와 관련하여 안정적인 조화상수 산출에 필요한 적절한 자료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 관측자료 길이(1년, 2년, 3년, 5년, 9년, 19년)에 따른 인천 조위관측소의 Sa 조화상수 값의 변동성을 살펴보았다. 대표성 있는 Sa 조화상수를 구하기 위해서 조화분해를 수행할 때 5~9년 동안의 관측자료를 사용하면 조화상수 예측오차가 상당히 줄어들며, 19년 자료를 사용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Sa 분조의 진폭은 각 해역별로 다른 해양·대기 환경 특성에 의해 서해안에서 15.0~18.6 cm,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안에서 10.7~17.5 cm이었으며, 울릉도를 포함한 동해안에서 10.5~13.0 cm이었다. 울릉도 등 동해 일부 해역을 제외하고 우리나라 연안에서 Ssa 분조의 영향으로 인해 연중 최고(최저) 해수면 높이가 발생하는 시기가 늦어(빨라)져서 해수면의 계절변화가 시간적으로 비대칭적인 특성을 보였다. 끝으로, 월평균 해수면, 대기압 보정 해수면, 비부피 높이 간 관계로부터 해수면의 해해변화와 계절변화의 비대칭성에 대기압 효과와 해수밀도가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Modeling the long-term vegetation dynamics of a backbarrier salt marsh in the Danish Wadden Sea

  • Daehyun Kim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7권2호
    • /
    • pp.49-62
    • /
    • 2023
  • Background: Over the past three decades, gradual eustatic sea-level rise has been considered a primary exogenous factor in the increased frequency of flooding and biological changes in several salt marshes. Under this paradigm, the potential importance of short-term events, such as ocean storminess, in coastal hydrology and ecology is underrepresented in the literature. In this study, a simulation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wind waves driven by atmospheric oscillations on sedimentary and vegetation dynamics at the Skallingen salt marsh in southwestern Denmark. The model was built based on long-term data of mean sea level, sediment accretion, and plant species composition collected at the Skallingen salt marsh from 1933-2006. In the model, the submergence frequency (number yr-1) was estimated as a combined function of wind-driven high water level (HWL) events (> 80 cm Danish Ordnance Datum) affected by the North Atlantic Oscillation (NAO) and changes in surface elevation (cm yr-1). Vegetation dynamics were represented as transitions between successional stages controlled by flooding effects. Two types of simulations were performed: (1) baseline modeling, which assumed no effect of wind-driven sea-level change, and (2) experimental modeling, which considered both normal tidal activity and wind-driven sea-level change. Results: Experimental modeling successfully represented the patterns of vegetation change observed in the field. It realistically simulated a retarded or retrogressive successional state dominated by early- to mid-successional species, despite a continuous increase in surface elevation at Skallingen. This situation is believed to be caused by an increase in extreme HWL events that cannot occur without meteorological ocean storms. In contrast, baseline modeling showed progressive succession towards the predominance of late-successional species, which was not the then-current state in the marsh.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variations in the NAO index toward its positive phase have increased storminess and wind tides on the North Sea surface (especially since the 1980s). This led to an increased frequency and duration of submergence and delayed ecological succession. Researchers should therefore employ a multitemporal perspectiv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hort-term sea-level changes nested within long-term gradual trends.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의 오존농도의 계절변화와 일변화 특징 (Seasonal and Diurnal Variations of Surface Ozone at Ieodo in the East China Sea)

  • 신범철;이미혜;이재학;심재설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31-639
    • /
    • 2007
  • We examined diurn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ozone ($O_3$) concentrations and its relation to meteorological parameters observed at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32.07^{\circ}N$, $125.10^{\circ}E$, 36 m above sea level) during June 2003 and May 2005. Over the 2-year period, the mean ozone concentration was $49.5{\pm}15.5\;ppbv$. Ozone concentrations show great variability with a monthly mean up to 68.2 ppbv in May 2005 and seasonal variations with being highest in spring and fall, and lowest in summer. However, the amplitude of diurnal variation was less than ${\sim}4\;ppbv$ with a maximum at $3{\sim}4\;p.m.$ and minimum at $7{\sim}8\;a.m.$ HYSPLIT backward air trajectory indicated that the air masses with higher ozone came from the north or northwest and those with lower ozone arrived mainly via southerly or southeasterly. Ozone distributions at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were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impacted by long-range transport and regional scale air circulation.

시화호 표층퇴적물의 특성과 오염도 평가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 and quality assessment of surface sediments in Sihwa Lake)

  • 주재식;손문호;조현서;김평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33-338
    • /
    • 2016
  • 시화호 표층퇴적물 중 지구화학적 특성과 미량금속의 오염도 평가를 위해 입도, 강열감량(IL),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및 미량금속(As, Pb, Cd, Cu, Cr, Zn, Ni, Mn, Hg, Fe, Li)을 분석 하였다. 시화호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는 2.94~6.35Ø의 범위로 분포하였으며, 퇴적상은 전반적으로 sandy silt(sZ)를 나타내었고, 이러한 표층퇴적물의 성상은 유기물 및 미량금속의 농도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p<0.05). 특히, 표층퇴적물 중 As, Pb, Cd, Cu, Cr, Zn, Fe, Hg은 평균입도와 상관성을 보일 뿐만 아니라, IL(Ignition Loss)과도 높은 상관성을 보여 이들 원소의 농도가 입도와 유기물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시화호의 표층퇴적물 관리에 있어서 미량금속의 유입 뿐 만 아니라 유기물의 유입을 병행하여 조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오염도 평가에 있어서 표층퇴적물 중 미량금속 함량의 농축계수와 농집지수는 대부분 약간 오염된 상태를 나타낸 가운데, As의 경우 농축계수와 농집지수 가 오염된 상태를 보였다. 이는 특정 중금속에 의한 농축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아울러 비교적 공단지역 및 배수갑문에 근접한 지역은 오염도가 높은 반면, 시화호 중앙부분은 오염도가 낮은 경향을 보여, 지역적 편차를 고려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시 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