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n monthly temperature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37초

AWS 설치장소에 따른 기온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Ai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Automatic Weather System)

  • 주형돈;이미자;함인화
    • 대기
    • /
    • 제15권3호
    • /
    • pp.179-186
    • /
    • 2005
  • Due to several difficulties, a number of Automatic Weather Systems (AWS) operat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re located on the rooftop so that the forming of standard observation environment to obtain the accuracy is needed. Therefore, the air temperature of AWSs on the synthetic lawn and the concrete of the rooftop is compared with the standard observation temperature. The hourly mean temperature is obtained by monthly and hourly mean value and the difference of temperatur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location, the weather phenomenon, and cloud amount. The maximum and the minimum temperatures are compared by the conditions, such as cloud amount, the existence of precipitation or not. Consequently, the temperature on the synthetic lawn is higher than it on the concrete so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same effect from ASOS, on the contrary the installation of AWS on the synthetic lawn seem to be inadequate due to heat or cold source of the building.

지역별 잣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인자와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adial Growth and Climate Factors by Regions in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 이상태;배상원;장석창;황재홍;정준모;김현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733-739
    • /
    • 2009
  • 본 연구는 설악산 지역 인제군과 지리산 지역 산청군 그리고 남원시 잣나무 연륜생장과 주요 기후인자인 월별 온도와 강수량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측정된 연륜생장량은 크로스데이팅과 기후인자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기후인자는 전년도 8월부터 당해연도 9월까지의 월별 평균온도와 강수량을 이용하였다. 설악산 지역인 인제군의 경우 당해연도 4월, 5월 그리고 6월, 8월의 온도와 부의 상관을, 강수량의 경우 전년도 생장기 8월과 10월 그리고 생장기인 당해연도 4월과 8월의 강수가 정의 상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청군에서는 온도의 경우 전년도 9월과 당해연도 8월의 온도가 부의 상관을, 당해연도 1월의 온도는 정의 상관으로 나타났으며, 강수량의 경우 전년도 9월과 당해연도 8월이 정의 상관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원시의 경우 온도와의 관계에서는 전년도 생장기 8월과 10월 그리고 당해연도 6월이 부의 상관을 보이고 있으며, 당해연도 2월의 경우 잣나무의 연륜생장에 정의 상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수량의 경우 전년도 생장기 8월과 당해연도 5월과 8월이 정의 상관을 보여주고 있다. 조사지역 모두 강수에 대하여 정의 상관을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고온에 따른 토양수분의 감소와 이로 인한 수분스트레스가 임목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조사지역의 임분구조와 입지환경 그리고 미세기후에 의한 차이가 지역간 기후반응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별, 연령별 산양삼의 광합성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otosynthetic Rates of Panax ginseng in the Different Age and Provinces)

  • 서세명;우수영;이동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3호
    • /
    • pp.357-361
    • /
    • 2007
  • 연구지는 6지역의 우수재배지역을 선정하여 기존에 재배활동을 하던 곳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홍천, 상주, 진안, 풍기, 함양 그리고 상주인근의 밭인삼 재배지역을 조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각 지역별로 $20m{\times}20m$의 방형구를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월평균 기온은 산지인삼이 생육을 시작하는 5, 6월에는 상주지역의 온도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7월과 8월의 온도는 함양과 홍천지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천지역의 강수량은 생육과 관련 있는 6, 7월 무렵에도 다른 지역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풍기지역의 일사량은 5월과 6월이 다른 지역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지역에서 광합성능력은 연령이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국연안해역에서의 해면수위의 변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a Level Variations in Korean Coastal Area)

  • 이경연;김동수;손창배;김창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9-27
    • /
    • 1999
  •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long and short term variations of mean sea level in Korean coastal waters by identifying interrelations among the mean sea level, atmospheric pressure and air temperature along the coast. For this, long-term tidal data observed at tidal and weather observation stations were brought into a statistical analysis. It was noted that, in a general sense, an invers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sea level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 level and air temperature, respectively. The maximum difference of monthly mean sea level was in the range of 21 to 25 cm at the eastern and southeastern coasts, meanwhile more than 30 cm being in both in southern and western coasts. It was also noted that mean sea level continues to rise in a long-term basis. Long-term variation of mean sea level trends to rise 0.10 ∼ 0.44 cm per year for each region. However, the long-term variation of mean sea level in the isolated islands shows a different trend, Ullngdo being 0.41 cm fall per year and Chejudo being 0.44 cm rise per year.

  • PDF

한국 근해 수온의 주기적 변화(I) 남해의 거문도해역 표면수온 년주변화 및 영년변화 (Periodic Variations of Water Temperature in the Seas Around Korea(I) Annual and Secular Variations of Surface Water Temperature, Kumun-Do Region, Southern Sea of Korea)

  • 한상복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13
    • /
    • 1970
  • Ten days and monthly mean temperatures were analysed daily data observed during July, 1916 to March, 1970 statistically. Periodic characters were calculated by Δn, new method of approximate solution of Schuster Method. According to ten days mean temperatures, annual variation function is F($\theta_d$)=16.29-5.27 cos $\theta_d$+0.75 cos2 $\theta_d$-3.14 sin $\theta_d$+1.16 sin2 $\theta_d$-0.63 sin $\3{theta}_d$, where $\theta_d$=$-\frac{\pi}{18}$(d-3), d is the order of ten days period, 1 to 36. Annual mean water temperature is 16.3$^{\circ}C$, minimum in the last ten days of February 10.9$^{\circ}C$, maximum in the last ten days of August 24.5$^{\circ}C$. Periodic character of secular variation shows 11 year and its curve is F($\theta_y$)=16.29+0.53 cos $\theta_y$ -0.16cos $2{\theta}_y$+0.10 cos$3{\theta}_y$-0.10 sin $\theta_y$, where $\theta_y$=2$-\frac{2\pi}{11}$(y-1920), y is calendar year. And the relation between air temperature x and water temprature y is following. y=9.67 1.035$\^x$

  • PDF

남극 세종 기지 주변의 복사, 기온 및 풍향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Radiation, Temperature and Wind Direction around King Sejong Station, Antarctica)

  • 최태진;이방용;김성중;박유민;윤영준
    • 지구물리
    • /
    • 제9권4호
    • /
    • pp.397-408
    • /
    • 2006
  • 남극 반도와 그 주변에서의 온난화는 시간적, 공간적 변동이 크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의 국지 기후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남극 세종 기지 주변에서의 지표 복사, 기온 그리고 풍향의 특징을 밝혀내고, 그 변수들간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지는 연간 15-20 Wm-2의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지만, 여름 (12월-1월)에는 평균적으로 85 Wm-2의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였다. 이 흡수량은 남극의 다른 지역에 비해 상당히 큰 값이다. 월 평균 기온은 -7.7-2.8oC 이었으며, 매년 다른 변동을 보였다. 북서, 서 및 동풍이 주풍이었으며, 풍향의 변동이 기온 변동을 설명할 수 있었다. 찬 동풍과 따뜻한 북서 및 북풍 빈도의 변동이 특히 여름철 지표 복사 수지에도 크게 영향을 주었으며, 이 시기의 대기와 지면 간의 에너지 교환에 풍향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2006년 동해안 감포의 열수지 (Heat Budget at Gampo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in 2006)

  • 최용규;한인성;서영상;고우진;김상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3-39
    • /
    • 2009
  • Based on the monthly weather report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nd daily sea surface temperature (SST) data from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in 2006, heat budget was estimated at Gampo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the region occuring the cold water known as upwelling in summer. Net heat flux was transported from the air to the sea surface during February to November, and it amounts to $345Wm^{-2}$ in monthly mean value. During December to January, the transfer of net heat flux was conversed from the sea surface to the air with $-56Wm^{-2}$ in minimum of monthly mean value in January. Long wave radiation was ranged from $6Wm^{-2}\;to\;106Wm^{-2}$. Sensible heat was varied from $-36Wm^{-2}$(June) to $61Wm^{-2}$(February) and showed negative values from April to August. Latent heat showed $20Wm^{-2}$(July) with its minimum in July and $49Wm^{-2}$ with its maximum in March in monthly mean value. The annual mean of net heat flux is $129Wm^{-2}$, giving an annual heat surplus of $22Wm^{-2}$. Thus, during summer, the upwelled cold water at Gampo, appears to compensate the heat gain. However the ways in which these compensations are accomplished remains to be clarified.

한국 근해 수온의 주기적 변화(II). 삼도와 중지도 해역 표면수온의 년주변화 및 장주기 변화 (Periodic Variations Of Water Temperature In The Seas Around Korea(II). Annual And Long Term Variations Of Surface Water Temperature In The Regions Of Mishima And Okinoshima)

  • 한상복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1-51
    • /
    • 1970
  • 수권(Hydrosphere)은 기권(Atmosphere)과 암권(Lithosphere)의 중간에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는 지구 물리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 지는 것 중의 하나이다. 특히 수권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해양에서의 환경 변화를 조사하는 것은 해황의 변동을 예측하여 수산업이나 기타의 해중 시설물을 설치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는 기초 적인 분야이다.

  • PDF

부산광역시 국지적 기후 패턴에 대한 기온변화율과 불투수면의 영향 (Influences of Temperature Change Rates and Impervious Surfaces on the Intra-City Climatic Patterns of Busan Metropolitan Area)

  • 박선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99-217
    • /
    • 2016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13개 기상관측지점을 대상으로 1997~2014년 동안의 기온상승율과 하강율의 계절적 특성이 연간 기온변화 특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일별 기온 자료를 시계열적으로 단순화하기 위해 푸리에분석법을 적용하였는데, 이는 기상 자료와 같이 연속적으로 수집되는 시계열자료를 몇 개의 한정된 주요 파형으로 환원하여 자료를 단순화하는 수학적 기법이다. 부산광역시의 국지적 기온변화율은 대륙도에 의해 공간적으로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계절적으로는 3월에 가장 높은 기온상승율(평균 $1.121^{\circ}C/month$)을 보였고, 11월에 가장 가파른 기온하강율(평균 -$1.564^{\circ}C/month$)을 나타냈다. 지역적으로 최난월인 8월 평균기온에 지배적인 영향을 주는 7월 평균기온상승율과 대륙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최난일이 일찍 출현한 것으로 보아, 해양의 영향이 적은 지역일수록 기온상승률이 높고 해양 인접 지역에 비해 연중최고기온에 도달하는 시기가 앞당겨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지역 관측 지점 전체를 평균한 연도별 분석 결과도 7월 평균기온이 높은 해일수록 최난일 출현은 시기적으로 앞당겨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도시화 정도를 나타내는 불투수면의 면적 비율 역시 기온의 연 변화와 통계적으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측지점의 불투수면 면적비율이 증가할수록 연평균기온이 높게 나타났고, 연평균 기온상승율과 하강율의 장기적 변동 폭도 크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