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um-minimum temperature variation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5초

GMS/S-VISSR 자료로부터 Bispectral Thresholds 기법을 이용한 운량 분석에 관하여 (Cloud Cover Analysis from the GMS/S-VISSR Imagery Using Bispectral Thresholds Technique)

  • 서명석;박경윤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9
    • /
    • 1993
  • A simple bispectral threshold technique which reflects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analysis area has been developed to classify the cloud type and estimate the cloud cover from GMS/S-VISSR(Stretched Visible and Infrared Spin Scan Radiometer) imagery. In this research, we divided the analysis area into land and sea to consider their different optical properties and used the same time observation data to exclude the solar zenith angle effects included in the raw data. Statistical clear sky radiance(CSRs) was constructed using maximum brightness temperature and minimum albedo from the S-VISSR imagery data during consecutive two weeks. The CSR used in the cloud anaysis was updated on the daily basis by using CSRs, the standard deviation of CSRs and present raw data to reflect the daily variation of temperature. Thresholds were applied to classify the cloud type and estimate the cloud cover from GMS/S-VISST imagery. We used a different thresholds according to the earth surface type and the thresholds were enough to resolve the spatial variation of brightness temperature and the noise in raw data. To classify the ambiguous pixels, we used the time series of 2-D histogram and local standard deviation, and the results showed a little improvements. Visual comparisons among the present research results, KMA's manual analysis and observed sea level charts showed a good agreement in quality.

저압 수은-아르곤 혼합기체 방전의 주파수에 따른 전압, 전류 변화의 이론적 해석 (A Theoretical Analysis of Voltage and Current in Low Pressure Mercury-Argon Mixture Gas Discharge with Frequency Variation)

  • 이진우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3-27
    • /
    • 2005
  • 저압 수은-아르곤 혼합기체 방전을 이용하는 형광램프는 일정전력을 소비하는 경우, 전원주파수 1(kHz)부근에서 전류는 최대 값을 램프전압은 최소 값을 갖는 현상을 나타낸다. 본 논문에서는 원자레벨의 방전 모델 식을 만들어 입자밀도와 전자온도의 변화를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원주파수에 따라 형광램프의 전류와 램프전압이 변화하는 현상을 이론적으로 설명하였다.

제주지역 기온과 강수량의 기후 변동 특성 (Climatological Variability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Jeju)

  • 김성수;장승민;백희정;최흥연;권원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8-197
    • /
    • 2006
  • 1924년부터 2004년까지 제주관측지점 자료를 이용하여 제주의 기온과 강수량의 변동 특성을 조사하였다. 지난 81년 동안 연평균 기온은 $0.02^{\circ}C/year$ 정도로 증가하였으며 1980년 이후에는 $0.05^{\circ}C/year$로 이전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최저기온의 증가가 최고기온 증가보다 크게 나타나 결과적으로 최저기온의 상승이 평균기온의 상승을 유발한 것으로 보인다. 기온과 강수의 특이기후 발생빈도 또한 조사하였다. 최고기온 특이값 빈도에 대한 기온편차는 지구온난화경향과 더불어 1980년대에 증가하였으며, 최저기온 특이값은 여름과 겨울 동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수일수는 감소하고 일강수량이 80 mm 이상인 호우일수의 빈도는 증가하여 강수강도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河川의 日別 水溫差에 대한 推計學的 特性 (Stochastic Properties of Daily Temperature in Rivers)

  • Ahn, Ryong Me;Lee, Hong Keun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2
    • /
    • 1984
  • The stochastic characteristics of the daily range of water temperature variation was analyzed by employing the techniques of autocorrelation coefficient, autoreggresive model and crosscorrelation model. These time series included daily observations on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water temperature and air temperature. The measurement was made by automatic recording instrument at Gu-yee and Dook-do in Han River, and at Waegwan and Gu-mi in Nackdong River in 1981.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1) The correlogram of daily water temperature ranges $\Delta AT_i$ and daily air temperature $\Delta AT_i$ at Gu-mi and Gu-yee showed the exponential curves. (2) The most high frequency values of $\Delta AT_i$ and $\Delta WT_i$ were 11$\circ$C and 0.5${\circ}C$ respectively at every measuring site. (3)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daily mean air temperature AT$_i$ and the daily mean water temperature were fairly high as 0.966 at Dook-do and 0.949 at Gu-yee, bu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Delta AT_i$ and $\Delta WT_i$ were very low as 0.1074 at Gu-yee and 0.0324 at Dook-Do.

  • PDF

여름철 도심 공원의 O3과 NO2 농도의 일변화: 기온과 풍속의 영향 (Diurnal Variations of O3 and NO2 Concentrations in an Urban Park in Summer: Effects of Air Temperature and Wind Speed)

  • 한범순;곽경환;백종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36-546
    • /
    • 2016
  • The diurnal variations of $O_3$ and $NO_2$ in an urban park and the effects of air temperature and wind speed on the diurnal variations are investigated. $O_3$ and $NO_2$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at a site in an urban park of Seoul from 27 July 2015 to 9 August 2015. The $O_3$ and $NO_2$ concentrations observed in the urban park are compared to those observed at the Gangnam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 (AQMS). The $O_3$ concentration is higher in the urban park than at the Gangnam AQMS in the daytime because the amount of $O_3$ dissociated by NO is smaller as well as partly because the amount of $O_3$ produced in the oxidation process of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s larger in the urban park than at the Gangnam AQMS. The $NO_2$ concentration is lower in the urban park than at the Gangnam AQMS during day and night because the observation site in the urban park is relatively far from roads where $NO_x$ is freshly emitted from vehicles. The difference in $NO_2$ concentration is larger in the daytime than in the nighttime. To examine the effects of air temperature and wind speed on the diurnal variations of $O_3$ and $NO_2$, the observed $O_3$ and $NO_2$ concentrations are classified into high or low air temperature and high or low wind speed days. The high $O_3$ and $NO_2$ concentrations in the daytime appear for the high air temperature and low wind speed days. This is because the daytime photochemical processes are favorable when the air temperature is high and the wind speed is low. The scatter plots of the daytime maximum $O_3$ and minimum $NO_2$ concentrations versus the daytime averages of air temperature and wind speed show that the daytime maximum $O_3$ and minimum $NO_2$ concentrations tend to increase as the air temperature increases or the wind speed decreases. The daytime maximum $O_3$ concentration is more sensitive to the changes in air temperature and wind speed in the urban park than at the Gangnam AQMS.

PTC $BaTiO_3$ 및 전극의 직류 및 교류 특성 (AC & DC Electrical Characterization of PTC $BaTiO_3$ and Electrodes)

  • 전표용;최경만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1-108
    • /
    • 1991
  • 0.2 mo1% La doped BaTiO3 samples were prepared by a wet chemical process (Pechini proces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measured from annealing temperatures(800-110$0^{\circ}C$) to room temperature continuously. 2 probe I-V characteristics showed that Pt electrodes were non-ohmic below about 80$0^{\circ}C$ for Ladoped sample. I-V curves showed varistor behavior and breakdown voltages showed PTC-like behavior. AC complex impedance of 0.2 La and 0.05 Mn mo1% doped BaTiO3 samples with three different electrodes (electroless Ni, Pt, Ag electrodes) were measured with temperature variation. Complex impedance plots showed that the samples with electroless Ni electrodes have negligible electrode resistance. Samples with Ag or Pt paste electrodes showed large electrode resistance. PTC effect, which is defined as the ratio of maximum resistance to minimum resistance, was found to be less than 10 for 0.2 mo1% La doped dense sample however greater than 105 with codoping of 0.05 mo1% Mn and 0.2 mol% La.

  • PDF

동해 재분석 자료에 나타난 북한한류의 계절 및 경년변동성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the North Korean Cold Current in the East Sea Reanalysis Data)

  • 김영호;민홍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21-31
    • /
    • 2008
  • Analyzing the results of East Sea Regional Ocean Model using a 3-dimensional variational data assimilation scheme, we investigated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the North Korean Cold Current (NKCC) in the East Sea. The climatological monthly mean transport of the NKCC clearly shows seasonal variation of the NKCC within the range of about 0.35 Sv ($=0^6m^3/s$), which increases from its minimum (about 0.45 Sv) through December-January to March, decreases during March and May, and then increases again to the maximum (about 0.8 Sv) in August-September. The volume transport of the NKCC shows interannual variation of the NKCC with the range of about 1.0 Sv that is larger than seasonal variation. The southward current of the NKCC appears often not only in summer but in winter as well. The width of the NKCC is about 35 km near the Korean coast and its core is located under the East Korea Warm Current. The North Korean Cold Water (NKCW), characterized by low salinity and low temperature, is located both under the Tsushima Warm Water and in the western side of the maximum southward current of the NKCC that means the NKCC advects the NKCW southward along the Korean coast. It is revealed that the intermediate low salinity water, formed off the Vladivostok in winter, flows southward to the south of $37^{\circ}N$ through $2{\sim}3$ paths; one path along the Korean coast, another one along $132^{\circ}E$, and the middle path along $130^{\circ}E$. The path of the intermediate low salinity varies with years. The reanalysis fields suggest that the NKCW is advected through the paths along the Korean coast and along $130^{\circ}E$.

목포지방 기상요인과 단작목화의 생육 및 섬유수량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Lint Yield of Monoculture Cotton in Mokpo Area)

  • 박희진;김상곤;정동희;권병선;임준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2-149
    • /
    • 1995
  • 1978년부터 1992년까지 작물시험장목포지장의 시험포장에서 재배하여 관측한 목화의 4품종(Kinggus, 용당재래, 113-4,380)의 주요특성과 재배기문중 관측된 기상자과를 이용하여 목화 단작의 생육 및 수량과 기상요인과의 및 수량 추정식을 한 유도는 다음과 같다. 1. 기상요인중 변이가 큰 것은 7월의 강수량과 폭풍일수로서 변이계수가 84.89%, 97.05%로 높았고 5~9월중의 평균기온과 최고기온 및 최저기온은 비교적 변이가 적었다. 2. 생육및 수량형질의 변이는 9,10월의 적채면수량에서 68.77%, 78.52%로 높아서 연차간변이가 아주 컸고 조면비율과 결과지수는 11.77%, 19.13%로 변이가 약간 컸으며 개화기와 개서기는 6.05%, 7.83%로 변이가 아주 적어서 연차간 변이가 아주 적었음을 알 수 있었다. 3. 5월의 강수량과 결과지수간, 7월의 일조시수와 삭수간, 7월의 최고기온과 적채면 수량간, 8월의 증발량과 적채면 수량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4. 7월의 기상요인($X_1$~$X_8$)을 이용하여 9. 10. 11월의 총적채면 수량(Y)을 추정한 결과 Y =-1080.8515 + 144.7133$X_1$+15.8722$X_2$ + 164.9367$X_3$ + 0.0802$X_4$ + 0.5932$X_5$ + 11.3373$X_6$ + 3.4683$X_7$ - 9.0846$X_8$(r=0.8448**)의 회귀식을 유도할 수 있었으며 8월의 기상요인(X$_4$를 제외한 X$_1$~X$_{9}$)을 이용하여 총적채면 수량(Y)을 추정한 결과 Y =2835.2497 + 57.9134$X_1$ - 46.9055$X_2$ - 41.5886$X_3$ + 1.2559$X_5$ - 21.9687$X_6$- 3.3763$X_7$- 4.1080$X_8$- 17.5586$X_9$의 회귀식을 유도할 수 있었으며, 이 식을 이용하여 실제수량과 이론수량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직선상에 아주 가깝게 추정하여 오차가 적었다.

  • PDF

득량만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Deukryang Bay, Korea)

  • 한동훈;홍성윤;마채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17-532
    • /
    • 1995
  • 득량만내 동물플랑크톤의 분포를 연구하기 위하여 1992년 7월, 9월 그리고 1993년 1월, 3월에 걸쳐 득량만내 15개 정점 (3월은 14개)에서 채집된 동물플랑크톤을 조사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3월에 가장 높았고, 7월에 가장 낮았으면, 출현 개체수는 9월에 가장 많았고 3월에 가장 적었다. 득량만에서의 현존량은 Sagitta crassa의 체장 변화에 의해 좌우되었다. 3월에 많이 출현한 S. crassa는 체장이 커서 현존량이 매우 높았다. 반면, 9월에는 작은 Noctiluca scintillans 다량 출현하였다. 득량만내 동물플랑크톤 종조성 및 출현 개체수는 수온의 계절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주로 동물플랑크톤 분류군 중 7월에는 십각류 유생, 9월과 1월에는 요각류 그리고 3월에는 Coelenterates가 다량 출현하였다. 요각류중 7월과 3월에는 Paracalanus indicus, 9월에는 Acartia pacifica. 그리고 1월에는 Pseudodiaptomus marinus가 주요 종이었다.

  • PDF

수도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기상영향의 해석적 연구 (Analysis of the Effects of Some Meteorological Factors on the Yield Components of Rice)

  • 박석홍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8권
    • /
    • pp.54-87
    • /
    • 1975
  • 수도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몇가지 기상요인의 기여율과 수량 구성요소의 지역내 년차 변이 및 년차내 지역 변이를 검토하여 수도 재배법 개선 및 작황 예측의 참고 자료를 얻고서 1966년부터 1973년까지 8개년간 3개 작물시험장 및 각 도 농촌진흥원포장에서 실시한 수도 작황 시험성적을 재료로 하여 표준 편회귀분석법을 적용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도 수량에 미치는 수량 구성요소의 기여율은 보통기 재배에서는 수수가 가장 크고, 적파 만식재배 및 북부 지방에서의 보통기재배에서는 등숙비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2. 수량 구성요소의 년차 기여율은 수수가 가장 크고, 해에 따라서는 등숙비율과 현미 1,000립중이 컸으며 통일은 단위 면적당 경화수가 수량성립에 크게 영향하였다. 3. 수량 구성요소의 기여율을 적용하여 지역별 수량성립 유형을 1) 영양생장 의존형(V), 2) 편영양생장 의존형(P.V), 3) 중간형(M), 4) 편등숙 의존형 (P.R) 5) 등숙 의존형(R)으로 분류하였다. 대체로 남부지방에서는 단위 면적당 경화수 의존도가 크고 중북부에서는 등숙요소의 의존도가 컸다. 4. 수량에 대한 수량구성 4요소의 회귀식을 상승적인 식에서 대수변환하여 가산적인 식으로 작성하였던바 보통기 재배나 적파 만식재배에서 다같이 가산적인 식으로 계산하였을 때 정도높은 수량측정을 할 수 있었다. 5. 분약 각기의 경수와 수수와의 관계는 보통기재배에서나 만식 재배에서 이앙후 20일부터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인정할 수 있었다. 6. 수수는 이앙후 21∼30일의 기상요인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7. 각기상 요인들의 최고분약수에 미치는 기여율은 이앙후 31∼40일의 평균기온의 기여율이 가장 크고 일조시간의 기여율은 11∼30일의 컸으며 수온의 기영율은 대체로 적었다. 8. 수수의 조기 측정은 경수만의 단요인이나 기상 요인만을 조합한 것보다는 이앙후 20일경수와 이앙후 20∼40일의 최고기온, 기온교차 및 일조시간 등 복합 요인을 조합하므로서 정도 높은 추정식을 작성할 수 있었다. 9. 수당 경화수와 기상 요인과는 출수전 25∼34일에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었는데 중북부에서는 최고기온과 일조시간의 기여율이 컸고, 남부에서는 최저기온과 일조시간의 기여율이 컸으며 최저기온은 부치를 나타냈다. 10. 각 기상 요인들의 등숙비율에 미치는 기여율은 최고기온이 가장 크고 최저기온은 출수전이나 등숙 초기에 부치를 나타냈다. 11. 현미 1,000립중에 미치는 기상요인의 기여율은 최고기온이 등숙초기나 중기에 높고 최저기온은 등숙기간에 대체로 부치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