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um window size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33초

3GPP의 ARQ를 위한 threshold에 의존하는 점유량 조절 방식 (Threshold-dependent Occupancy Control Schemes for 3GPP's ARQ)

  • 신우철;박진경;하준;최천원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23-135
    • /
    • 2005
  • 3GPP는 RLC 프로토콜 명세서에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타 전송을 위해 window에 의해 조절되는 selective-repeat ARQ 방식을 채택하였다. 3GPP의 ARQ는 selective-repeat ARQ 부류에 속하므로 재정렬 문제가 불가피하게 야기된다. 긴 재정렬 시간은 throughput 및 지연 성능의 열화를 빚어내고 재정렬 버퍼의 범람을 불러올 수 있다. 또한 데이타의 상실 및 지연에 모두 민감한 서비스의 요구 조건을 수용하기 위해 재정렬 시간은 반드시 통제되어야 한다. 3GPP ARQ에서 window의 크기나 상태 보고 주기를 줄여 재정렬 버퍼의 점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throughput 및 지연 성능이 저하되고 역방향 채널의 자원이 잠식된다. 재정렬 버퍼의 점유량을 줄이는 동시에 throughput 및 지연 성능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논문에서는 post-threshold 방식과 pre-threshold 방식이라는 threshold에 의존하는 점유량 조절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의 효과성을 판단하기 위해 fading 채널 등 실제적인 환경에서 최고 점유량, 최대 throughput, 평균 지연을 조사한다. 모의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한 방식이 점유량과 throughput 간에 trade-off를 불러옴을 관찰한다. 또한 post-threshold 방식은 3GPP의 ARQ와 비교하여 재정렬 버퍼의 점유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throughput 및 지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한다.

  • PDF

Analytical Modeling of TCP Dynamics in Infrastructure-Based IEEE 802.11 WLANs

  • Yu, Jeong-Gyun;Choi, Sung-Hyun;Qiao, Daji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1권5호
    • /
    • pp.518-528
    • /
    • 2009
  • IEEE 802.11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has become the prevailing solution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while transport control protocol (TCP) is the dominant transport-layer protocol in the Internet. It is known that, in an infrastructure-based WLAN with multiple stations carrying long-lived TCP flows, the number of TCP stations that are actively contending to access the wireless channel remains very small. Hence, the aggregate TCP throughput is basically independent of the total number of TCP stations. This phenomenon is due to the closed-loop nature of TCP flow control and the bottleneck downlink (i.e., access point-to-station) transmissions in infrastructure-based WLANs. In this paper, we develop a comprehensive analytical model to study TCP dynamics in infrastructure-based 802.11 WLANs. We calculate the average number of active TCP stations and the aggregate TCP throughput using our model for given total number of TCP stations and the maximum TCP receive window size. We find out that the default minimum contention window sizes specified in the standards (i.e., 31 and 15 for 802.11b and 802.11a, respectively) are not optimal in terms of TCP throughput maximization. Via ns-2 simulation, we verify the correctness of our analytical model and study the effects of some of the simplifying assumptions employed in the model.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model is reasonably accurate, particularly when the wireline delay is small and/or the packet loss rate is low.

3GPP ARQ에서 재정렬 버퍼의 점유량 조절을 위한 부분 Go back N 방식 (Partial Go back N Scheme for Occupancy Control of Reordering Buffer in 3GPP ARQ)

  • 신우철;박진경;하준;최천원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통신소사이어티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02-305
    • /
    • 2003
  • 3GPP RLC protocol specification adopted an error control scheme based on selective repeat ARQ. In the 3GPP ARQ, distinctive windows are provided at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ations so that those stations are prohibited to send or receive data PDU's out of window. An increase in window size enhances delay performance. Such an increase, however, raises the occupancy at re-ordering buffer, which results in a long re-ordering time. Aiming at suppressing the occupancy at re-ordering buffer, we propose partial go back N scheme in this paper In the partial go back N scheme, the receiving station regards all data PDU's between the first (lowest sequence numbered) error-detected PDU and last (highest sequence numbered) error-detected PDU. By the employment of the partial go back N scheme, the occupancy at the re-ordering buffer is apparently reduced, while the delay and throughput performance may be degraded due to the remaining properties of go back N. We thus consider peak occupancy of re-ordering buffer, mean sojourn time at re-ordering buffer, mean delay time, and maximum throughput as measures to evaluate tile proposed scheme and investigate such performance by using a simulation method. From numerical examples, we observe a trade-off among performance measures and conclude that the partial go back N scheme is a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occupancy of re-ordering buffer.

  • PDF

심근경색 모델에서 자기공명영상에 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Myocardial Infarction model)

  • 임청환;정홍량;김정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4권2호
    • /
    • pp.19-2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ime course of signal enhancement on Gadomer-17 enhance MRI, and to correlate the size of enhanced area with that of the infarct area on 2'3'5'-triphenyl tetrazolium chloride(TTC) histochemical examination for the assessment of myocardial viability in reperfused Myocardial Infarction in a cat model. Tan cats(average weight: 3.8 kg) which had undergone 90 minutes of occlusion of the LAD followed by 90 minutes of reperfusion underwent MR T2-weighted imaging, and T1-weighted imaging, enhanced T1-weighted imaging. We used 1.5T Magneton Vision MRI system(Siemens, Erlangen, Germany). Signal intensities were measured in the enhanced and non-enhanced areas of enhanced T1-weighted imaging. and TTC histochemical staining the size of the abnormal signal area on each image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infarct area. Maximum enhancement was detected during a $40{\sim}60$ minute period with an average enhancement of $168{\pm}9.9%$ of normal myocardium. TTC staining revealed that the size of the high signal area on T2-weighted images and of the enhanced area on enhanced T1-weighted images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infarct area($T2=48.1%{\pm}3.7$, enhanced $T1=47.2%{\pm}2.6$, TTC $staining=38.7%{\pm}3.1$ ; p<0.05). In reperfused Myocardial Infarction in a cat model, enhanced MR imaging delineates reversibly and irreversibly damaged myocardium, with a strong enhancement and a broad temporal window. We may therefore expect that enhanced MR image is useful for demonstrating myocardial injury.

  • PDF

A Study on Passive Cooling Strategies for Buildings in Hot Humid Region of Nepal

  • Manandhar, Rashmi;Yoon, Jongho
    • KIEAE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53-60
    • /
    • 2015
  • Increase in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 is a big concern world over. In Nepal, energy crisis is a big issue but energy demand in buildings is barely even thought about. In the southern part of Nepal, where the weather is mostly hot during the year, cooling in buildings is very important. This is an initial study regarding building design strategies which focuses on cooling energy consumption in the building. It can be seen from the study that simple passive strategies can be applied in building design which can support in decreasing cooling load. Different passive cooling strategies like orientation, building size, thermal mass, window design and two direct cooling strategies have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Direct cooling strategies like shading and natural cooling helps in passive cooling. Different desing strategies have different impact on the cooling energy requirement and the study shows that thermo physical property of building materials has the maximum effect on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building. Each design strategy creates and average of 20% decrease in energy consumption, whereas the thermal conductivity can have as much as 10 times more effect on the energy consumption than other design strategies.

자연어 처리 및 기계학습을 통한 동의보감 기반 한의변증진단 기술 개발 (Donguibogam-Based Pattern Diagnosi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Machine Learning)

  • 이승현;장동표;성강경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8
    • /
    • 2020
  • Objective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Donguibogam-based pattern diagnosis by apply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machine learning. Methods: A database has been constructed by gathering symptoms and pattern diagnosis from Donguibogam. The symptom sentences were tokenized with nouns, verbs, and adjectives wit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ool. To apply symptom sentences into machine learning, Word2Vec model has been established for converting words into numeric vectors. Using the pair of symptom's vector and pattern diagnosis, a pattern prediction model has been train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Word2Vec model's maximum performance was obtained by optimizing Word2Vec's primary parameters -the number of iterations, the vector's dimensions, and window size. The obtained pattern diagnosis regression model showed 75% (chance level 16.7%) accuracy for the prediction of Six-Qi pattern diagnosis.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developed pattern diagnosis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symptom and pattern diagnosis from Donguibogam. The prediction accuracy could be increased by the collection of data through future expansions of oriental medicine classics.

졸-겔 방법으로 $SiO_2/Si$ 기판 위에 제작된 (Bi,La)$Ti_3O_12$ 강유전체 박막의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Bi,La)$Ti_3O_12$ Ferroelectric Thin Films on $SiO_2/Si$/Si Substrates by Sol-Gel Method)

  • 장호정;황선환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12
    • /
    • 2003
  • 졸-겔(Sol-Gel)법으로 $SiO_2/Si$ 기판 위에 $Bi_{3.3}La_{0.7}O_{12}$(BLT) 강유전체 박막을 스핀코팅하여 Metal-Ferroelectric-Insulator-Silicon 구조의 캐패시터 소자를 제작하였다. 열처리하지 않은 BLT 박막시료를 $650^{\circ}C$$700^{\circ}C$의 온도에서 열처리함으로서 임의 배향을 가지는 퍼롭스카이트 결정구조를 나타내었다. 열처리 온도를 $650^{\circ}C$에서 $700^{\circ}C$로 증가시킴에 따라서 (117) 주피크의 full width at half maximum(FWHM)값이 약 $0.65^{\circ}$에서 $0.53^{\circ}$로 감소하여 결정성이 개선되었으며 결정립 크기와 $R_rms$ 값이 증가하면서 박막표면이 거칠어지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700^{\circ}C$에서 열처리한 BLT 박막시료에 대해 인가 전압에 따른 정전용량(C-V)값을 측정한 결과 5V의 인가전압에서 메모리 원도우 값이 약 0.7V를 보여주었으며, 3V의 인가전압에서 누설전류 값이 약 $3.1{\times}10^{-8}A/cm^2$을 나타내었다.

  • PDF

SAR 영상 보정용 삼각 전파 반사기의 정확한 RCS 추출 (RCS Extraction of Trihedral Corner Reflector for SAR Image Calibration)

  • 권순구;윤지형;오이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979-98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합성 개구 레이더(SAR: Synthetic Aperture Radar) 영상에서 SAR 보정용으로 설치된 삼각 전파 반사기(TCR: Trihedral Corner Reflector)의 레이더 단면적(RCS: Radar Cross Section)을 정확하게 추출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SAR 보정 정확도를 분석한다. TCR의 이론적 RCS를 geometrical optics(GO)와 physical optics(PO) 방법을 이용하여 이론적으로 계산하고, 측정값과 비교하여 정확성을 검증한다. 이때에 단일 반사는 PO로, 이중 반사는 GO-PO로, 삼중 반사는 GO-GO-PO로 계산하고, 모서리 영향은 PTD(Physical Theory of Diffraction) 방법을 이용하여 이론적 RCS를 정확하게 계산한다. 크기가 다른 5개의 TCR를 설치하고, TerraSAR-X로 그 지역에 대한 위성 영상을 취득하여 그 TCR들에 대한 RCS를 추출한다. 레이더 IRF(Impulse Response Function) 특성에 의해 분산된 전력(power spill)을 모두 구하기 위해 정사각형 모양의 면적(window)을 설정하여 정확하게 RCS를 추출하고, 이 RCS를 이론적 RCS와 비교한다. 면적의 크기와 배경의 레이더 후방 산란 계수 크기에 따른 TCR의 RCS 오차를 계산하며, 최소 적분 면적과 최대 배경 산란계수 크기를 제안한다.

패킷 손실률에 기반한 효율적인 TCP Buffer Tuning 알고리즘 (An Efficient TCP Buffer Tuning Algorithm based on Packet Loss Ratio(TBT-PLR))

  • 류기철;김동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1호
    • /
    • pp.121-128
    • /
    • 2005
  • 기존 TCP 기술은 송${\cdot}$수신측에 각각 고정된 크기의 버퍼를 할당하기 때문에 높은 대역폭(High-Bandwidth) 및 큰 전송지연(High Delay)을 가진 통신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종단간의 TCP 처리량을 개선하기 위해 통신망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TCP 버퍼를 조절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ATBT(Automatic TCP Buffer Tuning)에서 송신측은 현재의 혼잡 제어 윈도우(CWND)의 값에 따라 송신 버퍼 크기를 조절하고 수신측은 운영체제가 정해ens 최대 크기의 TCP 버퍼 값으로 수신 버퍼 크기를 고정한다. DRS(Dynamic Right Sizing) 에서는 이전에 수신한 TCP 데이터의 두 배를 현재 송신할 TCP 데이터라고 예측함으써, TCP 수신측은 단순히 이에 따라 수신 버퍼 크기를 동적으로 변화시킨다. 그렇지만 TCP 세그먼트의 손실 가능성으로 인해 정확히 두 배로 버퍼 크기를 변화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우리가 제안한 패킷 손실률에 기반한 효율적인 TCP 버퍼 조절 알고리즘(TBT-PLR:TCP Buffer Tuning Algorithm based on Packet Loss Ratio)은 TCP 송신측에는 ATBT 방법을 TCP 수신측에는 TBT-PLR 방법을 적용하였다. 실제 TCP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리눅스 커널 2.4.18을 수정하여 구현하였으며 기존의 고정된 크기의 TCP 버퍼를 가진 경우와 버퍼 크기가 동적으로 변하는 TBT-PLR을 적용한 경우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TCP 연결들간의 균형있는 메모리 사용으로 인해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실내모형실험에 의한 핵석 풍화대 지반 특성 산정 (Characterization of Weathered Zone bearing Corestones through Scale Model Test)

  • 우익
    • 지질공학
    • /
    • 제17권3호
    • /
    • pp.435-44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풍화대에 분포하고 있는 핵석지반에 대한 지질공학적 조사와 실내모형실험을 통하여 핵석지반의 공학적 물성을 산정하였다. 핵석이 노출된 세 곳의 산사면에 대한 조사창 조사와 시추공 코어 관찰로 핵석의 분포도와 기하학적 모양을 분석하였다. 현장 핵석분포 및 크기에 대한 조사 자료와 모형실험용 공시체 시편의 크기를 바탕으로 산정된 축소율을 고려하여 5mm이하-평균 2mm의 분쇄-연마된 핵석시료를 실내핵석 실험용으로 사용하였다. 핵석 체적함유비를 0%, 10%, 20%로 달리하면서 토양 직접전단시험 및 석고모형실험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핵석지반의 특성을 구하고자 하였다. 핵석함유 토양의 직접전단실험에서는 핵석 함유량의 증가로 인하여 전단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핵석함유비가 20%일 경우는 핵석 입자의 맞물림에 의한 점착력의 증가가 마찰각의 변화보다 더욱 전단강도의 상승을 유발시키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핵석 함유비를 달리한 석고모형실험에서는 핵석이 많아질수록 모형시료의 강도 및 탄성계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석고모형실험에서 얻어진 핵석 함유량에 따른 모형의 물성변화률을 현장에서 측정한 풍화대의 물성과 비교하여, 현장에서 핵석함유에 따른 물성을 예측한 결과, 핵석 함유가 0%에서 10%로 증가하면 15%의 일축압축강도 증가를, 핵석 함유가 20%로 증가되면 30%의 일축압축강도 증가를 유발하는 것으로 예측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