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um SUV uptake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3초

수술로 제거된 비소세포폐암의 예후 예측에 있어 FDG-PET 최대 표준화 섭취계수의 유용성 (Prognostic Usefulness of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on FDG-PET in Surgically Resected Non-small-cell Lung Cancer)

  • ;이원우;성숙환;전상훈;김유경;이동수;정준기;이명철;김상은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0권4호
    • /
    • pp.205-210
    • /
    • 2006
  • 목적 : PET에서 측정되는 FDG 섭취가 비소세포폐암의 예후예측인자로 인정받고 있으나 최대 표준화섭취계수(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이하 maxSUV)의 예후예측 성능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저자들은 수술로 제거된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maxSUV의 재발예측 성능을 알아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FDG-PET을 실시한 후 4주 이내에 근치적인 수술을 시행받은 42명의 환자(여:남=14:28, 평균나이 $62.3{\pm}12.3$세)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술 후 병리학적인 stage는 29명은 stage I, 13명은 stage II이었다. 21명의 환자들은 수술 후 경구용 항암제 치료를 받았다. 추적관찰 기간(중앙값 16개월, 범위 3-26개월) 동안 재발여부와 maxSUV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10명(23.8%, 10/42)의 환자에서 재발이 확인되었다(추적관찰 기간: 중앙값 7.5개월, 범위 3-13개월). 단변량분석에서 maxSUV (<7 vs. $\geq7$, p=0.006), 종양의 크기(<3 cm vs. $\geq3$ cm, p=0.024), 그리고 종양의 분화도(well/moderate vs. poor, p=0.044)가 비재발-생존기간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Cox 위험도 모델을 이용한 다변량분석에서는 maxSUV만이 유일한 재발 예측인자이었다. (p=0.014) MaxSUV가 7이상인 환자들(n=10)은 1년 비재발 생존률이 50.0%인 반면에 maxSUV가 7미만인 환자들(n=32)은 1년 비재발 생존률이 87.5%이었다. 결론: MaxSUV는 수술로 제거된 비소세포폐암의 재발을 예측하는 독립적인 인자이었다. FDG 섭취 정도는 기존에 알려져 있는 인자들과 함께 비소세포폐암의 예후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가 면역 갑상선 질환에 대한 최대 표준섭취계수와 갑상선 자가 항체의 임상적 상관관계: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그레이브스병 중심으로 (Clinical Correlation between the Autoimmune Thyroid Disease for the Thyroid Autoimmune Antibodies and the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Base on the Hashimoto's Thyroiditis and the Graves' Disease)

  • 우민선;백철인;유주은;송종우;임인철;손주철;조수동;이재승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41-248
    • /
    • 2014
  • 본 연구는 미만성 $^{18}F-FDG$ 갑상선 섭취를 보이는 PET/CT 영상에서 최대 표준섭취계수($SUV_{max}$)와 갑상선 자가 항체(anti-TPO Ab, anti-TG Ab, TSH)들 사이의 임상적 상관관계를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그레이브스병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0년 5월부터 2013년 4월까지 건강검진에서 PET/CT 검사를 시행한 환자 1,097명을 대상으로 미만성 FDG 갑상선 섭취 여부를 분석하여 갑상선 기능 검사와 초음파 검사를 추가적으로 시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미만성 $^{18}F-FDG$ 갑상선 섭취를 보이는 자가 면역 갑상선 질환 환자는 39명(3.6%)이 발견되었으며 하시모토 갑상선염은 43.6%, 그레이브스병은 23.1% 이었다. 하시모토 갑상선염은 anti-TPO Ab와 anti-TG 수준이 높은 역가의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SUV_{max}$와 anti-TPO Ab간 상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0.4, p<0.05). 또한 그레이브스병은 대부분의 갑상선 자가 항체의 수준이 높은 역가의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SUV_{max}$와 TSH간 상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0.5, p<0.01). 따라서 미만성 18F-FDG 갑상선 섭취 증가에 따른 $SUV_{max}$ 수준이 높을수록 하시모토 갑상선염은 anti-TPO Ab 수준이, 그레이브스병은 TSH 수준이 비례적으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상관관계는 자가 면역 갑상선 질환에 대한 부대 징후를 판단할 수 있는 가장 영향력 있는 척도로서 임상적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Usefulness of Bone SPECT/CT for Predicting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in Children with Slipped Capital Femoral Epiphysis or Femoral Neck Fracture

  • Yoo Sung Song;Won Woo Lee;Moon Seok Park;Nak Tscheol Kim;Ki Hyuk Su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2호
    • /
    • pp.264-270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bone single-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SPECT/CT) of the hip in predicting the later occurrence of avascular necrosis (AVN) after slipped capital femoral epiphysis (SCFE) or femoral neck fracture in pediatric patients. The quantitative parameters of SPECT/CT useful in predicting AVN were identified. Materials and Methods: Twenty-one (male:female, 10:11) consecutive patients aged < 18 years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SD], 11.0 ± 2.7 years) who underwent surgery for SCFE or femoral neck fracture and postoperative bone SPECT/CT were included. The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 mean SUV, and minimum SUV of the femoral head were measured. The ratios of the maximum SUV, mean SUV, and minimum SUV of the affected femoral head to the contralateral side were determined.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 1 year after the surgery. The SPECT/CT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patients who developed AVN and those who did not. The accuracy of SPECT/CT parameters for predicting AVN was assessed. Results: Six patients developed AV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 of the mean SUV among patients who developed AVN (mean ± SD, 0.8 ± 0.3) and those who did not (1.1 ± 0.2, p = 0.018).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ios of the maximum and minimum SUV between the groups (all p = 0.205). For the maximum, mean, and minimum SUV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groups (p = 0.519, 0.733, and 0.470, respectively). The cutoff mean SUV ratio of 0.87 yielded a 66.7% sensitivity and 93.2% specificity for predicting AVN. Conclusion: Quantitative bone SPECT/CT is useful for evaluating femoral head viability in pediatric patients with SCFE or femoral neck fractures. Clinicians should consider the high possibility of later AVN development in patients with a decreased mean SUV ratio.

18F-FDG PET-CT 검사에서 췌장암, 췌장염, 정상 췌장에 대한 최대 표준섭취계수의 임상적 기준 설정 (Clinical Reference of the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s to the Pancreatic Cancer, Pancreatitis and Normal Pancreas in the 18F-FDG PET-CT)

  • 이재승;권대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80-86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were to establish the clinical references and guidelines for the maximum standardized uptake ($SUV_{max}$) value of pancreatic cancer, pancreatitis, and normal pancreas in $^{18}F-FDG$ PET-CT examinations for pancreatic disease. For this purpose, we performed th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descriptive statistics, percentiles and inter quartiles range (IQR), normal distribution, and using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for pancreatic cancer, pancreatitis, and normal pancreas. As a result, the clinical reference of $SUV_{max}$ for the pancreatic cancer, pancreatitis, and normal pancreas was more than 3.45, 1.91 to 2.62, and less than 1.91, respectively. Also, optimal cut-off value for applying the dual time point PET-CT examination was determined to be 2.6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suggests the clinical reference and guideline for the pancreatic cancer, pancreatitis, and normal pancreas, and second, suggests a scientific approach to improve diagnostic accuracy of pancreatic disease by deviating from an approximate experience approach.

비소세포폐암에서 CT-보정 양전자단층촬영술을 이용한 악성 림프절 평가 및 N 병기 결정 성적 향상 (Improving Diagnostic Accuracy for Malignant Nodes and N Staging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Using CT-Corrected FDG-PET)

  • 이은정;최준영;이경수;정현우;이수진;조영석;최용;최연성;이경한;권오정;심영목;김병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31-238
    • /
    • 2005
  • 목적: 비소세포성폐암(NSCLC)의 FDG-PET 판독 시 SUV만 진단기준으로 사용하면 우리나라와 같이 만성 염증성 폐질환이 호발하는 지역에서는 폐문 및 종격동 림프절에 대한 위양성률이 높다. 이에 최근 국내에 도입된 CT-보정 FDG-PET (PET/CT)을 이용하여 SUV 외에 FDG 섭취양상 및 CT영상에서 림프절 석회화 등의 다른 기준을 어떻게 적용하면 림프절의 악성 유무 판정 및 N 병기 결정에 있어 검사의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는지 전향적으로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림프절 절제술을 받기 전에 PET/CT를 시행한 91명의 NSCLC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남/여: 62/29, 평균나이: $60{\pm}9$ yr). 종격동 대혈관보다 FDG 섭취가 증가되어 있는 폐문과 종격동 림프절의 최대 SUV (maxSUV)와 단경을 측정하고, FDG 섭취증가 병변의 경계 및 석회화 유무를 파악하였다. 이 기준들을 이용하여 PET/CT 소견을 세 단계로 나누어 각각의 진단 성적을 병리결과와 비교하였다. 1단계에서는 maxSUV만을 진단기준으로 사용하였다. 2단계 에서는 1단계에서 정한 cut-off 보다 낮은 maxSUV를 가지는 림프절 또는 높은 maxSUV를 가지더라도 CT 영상에서 석회화가 있거나 높은 attenuation을 보이는 림프절을 양성으로 분류하였다. 3단계에서는 2단계에서 양성으로 분류한 림프절 및 2단계에서 악성으로 분류된 림프절 중 FDG 섭취증가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림프절을 양성으로 하였다. 결과: 수술로 절제된 총 432개의 림프절 중 28개가 악성, 404개가 양성이었다. 71개가 비정상적인 FDG 섭취증가를 보였다. ROC 곡선 분석을 이용해 구한 cut-off는 maxSUV=3.5였다. 악성 림프절 판정에 대한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1단계에서 64.3%, 86.9%. 85.4%. 2단계 64.3%, 95.0%, 93.1%, 그리고 3단계 57.1%, 98.0%, 95.4%였다. N 병기 일치율은 1단계 64.8%, 2단계 80.2%, 3단계 85.7%였다. 결론: NSCLC 환자의 PET/CT 판독 시 림프절의 FDG 섭취증가 정도뿐만 아니라 병변의 석회화 유무 및 FDG 섭취증가의 경계부분 모양을 함께 고려하면 폐문 및 종격동 림프절의 악성 여부 평가 및 N 병기 결정에 있어 더 탁월한 진단성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Correlation between glucose transporter type-1 expression and $^{18}F$-FDG uptake on PET in oral cancer

  • Kim, Chul-Hwan;Kim, Moo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8권4호
    • /
    • pp.212-220
    • /
    • 2012
  • Objectives: Fluorine-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18}F$-FDG PET) is a non-invasive diagnostic tool for many human cancers wherein glucose uptake transporter-1 (GLUT-1) acts as a main transporter in the uptake of $^{18}F$-FDG in cancer cells. Increased expression of glucose transporter-1 has been reported in many human cance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18}F$-FDG accumulation and expression of GLUT-1 in or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42 patients diagnosed with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and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as confirmed by histology. 42 patients underwent pre-operative $^{18}F$-FDG PET, with the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_{max}$) measured in each cas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done for each histological specimen, and results were evaluated post-operatively according to the percentage (%) of positive area, intensity, and staining score. Results: For OSCC, $SUV_{max}$ significantly increased as T stage of tumor classification increased. For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SUV_{max}$ significantly increased as T stage of tumor classification increased. For OSCC, GLUT-1 was expressed in all 36 cases. GLUT-1 staining score (GSS) increased as T stage of tumor classification increased, with the differ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GLUT-1 expression was observed in all 6 cases; average G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than that in patients without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Average GSS was higher in OSCC ($11.11{\pm}1.75$) than in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5.33{\pm}3.50$).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SS and $SUV_{max}$ was observed in OSCC or in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Conclusion: We fou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SS and $SUV_{max}$ in OSCC or in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Studies on the various uses of GLUT during $^{18}F$-FDG uptake and SUV and GLUT as tumor prognosis factor need to be conducted through further investigation with large samples.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종양의 FDG 섭취와 CT 조영증강정도에 관한 연구 (FDG Uptake and a Contrast Enhancement According to Histopathologic Types in Lung Cancers)

  • 한유미;최재걸;김영철;박은경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1호
    • /
    • pp.19-25
    • /
    • 2009
  • 목적: 폐암에서 양전자단층촬영(PET-CT)에서의 2[F-18]-fluoro-2-deoxy-d-glucose (FDG)의 최대 표준화섭취(SUVmax)와 전산화단층찰영(CT)에서의 조영증장정도에 서로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SUVmax와 조영증강 정도에 있어 폐암의 조직학적 유형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PET-CT와 조영증강 흥부 CT를 시행하고 조직학적으로 원발성 폐암으로 확진된 환자 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기 및 지연 PET-CT영상에서의 종양의 SUVmax (SUV1, SUV2), 지연영상에서의 SUVmax의 증가정도(SUVd), 잔류지수(RI) 및 종양의 CT 조영증강정도를 측정하고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이 변수들의 폐암의 조직학적 유형에 따른 차이와 종양내부에서 차이를 평가하였다. 결과: 평균값과 표준 편차는 SUV1이 $8.3{\pm}4.4$, SUV2가 $10.7{\pm}5.7$, SUVd가 $2.4{\pm}1.6$, RI가 $30{\pm}14$, 조영증강정도가 $47.1{\pm}14.8$ HU (Hounsfield Unit)이었다. 조직학적 유형 간 SUV1과 조영증강정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SUV1과 SUVd 사이에는 r=0.74(p<0.01), SUV1과 종양의 크기 사이에는 r=0.58 (p<0.01)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SUV1과 조영증강정도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r=0.06, p=0.69). 같은 종양 내부에서 최대 FDG 섭취부위와 최대 조영증강부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10예 있었다. 결론: 폐암에서의 FDG 섭취정도와 CT 조영증강정도는 서로 유의한 양적인 선형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FDG 섭취나 조영증강정도의 차이도 없었다.

4D RT에서 PET/CT Image를 이용한 Metabolic Target Volume 적용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Feasibility of Applying Metabolic Target Volume in 4D RT Using PET/CT Image)

  • 김창욱;천금성;허경훈;김연실;장홍석;정원균;;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1권2호
    • /
    • pp.174-182
    • /
    • 2010
  • 본 연구는 호흡 정보를 갖고 있는 PET 영상의 표준섭취계수(SUV: standard uptake value)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편리한 호흡동조 방사선치료의 metabolic target volume (MTV) 적용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평가를 위해 4D 팬텀에 임의의 인공산물을 만들어 PET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최대 SUV를 기준으로 임의로 설정한 50%, 30%, 그리고 5%의 SUV에서의 VOIs (Volumes Of Interest)와 호흡동조 방사선치료를 위한 4D-CT를 통해 획득한 호흡위상백분율에서 설정한 GTV (Gross Target Volume)을 비교하였다. 4D-CT를 통해 얻은 총합 GTV와 PET 영상의 30% SUV로 얻은 VOI와의 비교는 50%의 SUV로 얻은 VOI의 비교 결과보다 종(Longitudinal) 방향에서의 오차가 상당히 감소되었으며 4D 총합 CTV와 가장 일치하는 PET 영상은 5% SUV로 얻은 VOI로 관찰되었다. 4D PET/CT에서 전체 호흡의 25% 흡기에서 25% 호기까지 호흡위상백분율 영상의 30% SUV로 얻은 VOI는 IGRT (Image-guided radiation therapy)에 적용되는 4D-CT의 동일한 호흡위상백분율 영상에서 설정한 GTV와 비교한 결과, 최대 0.5 cm 이하로 잘 일치하였으며 4D PET의 5% SUV로 얻은 VOI의 경우 모든 방향에서 잘 일치하였다. 따라서 IGRT의 MTV 적용에 있어서 일반 PET 영상의 이용보다 4D PET 영상의 적용이 더 유용함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현재 핵의학과에서 인체종양의 VOI를 30% SUV로 권고하고 있지만 30% 이하의 주변 SUV와 구분되는 최소 SUV를 선택해 적용한다면, 더욱 유용한 MTV 적용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전신 PET/CT 영상에서 조영제 영향의 보정 유.무에 따른 SUV 평가 (The Evaluation of SUV Using with and without Correction for Effect of Contrast Media in Whole Body PET/CT Imaging)

  • 남소라;손혜경;임한상;박훈희;조효민;이창래;김희중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7권4호
    • /
    • pp.246-251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신 PET/CT영상에서 조영제의 영향에 대한 보정 유 무가 SUV (standard uptake value)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영상획득은 GE DSTe PET/CT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간질환(hepatocellular carcinoma, HCC)과 신장질환(renal cell carcinoma, RCC)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영상을 평가하였다. 영상 평가는 조영제에 의한 영향을 보정한 영상과 보정하지 않은 영상에서 각각 동일한 위치에 같은 크기의 관심영역을 설정한 후 각 관심영역으로부터 구한 SUV를 비교함으로써 수행하였다. HCC 환자의 경우 조영제에 의한 영향의 보정 유 무에 따른 평균 SUV의 차이는 $1.5{\pm}1.2%$이었고, 최대 4.3%의 SUV 차이를 나타내었다. RCC 환자의 경우 평균 SUV의 차이는 $1.0{\pm}0.9%$이었고, 최대 1.9%의 SUV 차이를 나타내었다. 조영제를 사용한 PET/CT 영상에서 조영제에 의한 영향을 보정하지 않았을 경우는 조영제에 의한 영향을 보정해준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SUV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HCC 환자와 RCC 환자의 경우 조영제에 의한 영향을 보정한 경우와 보정하지 않은 경우 SUV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향후 보다 많은 수의 HCC 환자와 RCC 환자를 대상으로 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다른 질환을 가진 환자의 경우에 대해서도 조영제가 SUV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유용하리라 생각한다.

  • PDF

무증상 성인의 F-18-FDG PET 대장 섭취양상 : 대장내시경 소견과의 비교 (Colonic Uptake Patterns of F-18-FDG PET in Asymptomatic Adults: Comparison with Colonoscopic Findings)

  • 배문선;조유경;정성애;심기남;이홍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5-20
    • /
    • 2005
  • 목적 : 건강검진 등을 목적으로 시행된 무증상의 성인에서 대장 섭취는 매우 자주 관찰되나 대장선종 및 암종에서 FDG 섭취가 보고되어 생리적인 FDG 섭취와 구별이 쉽지 않았다. 이에 저자들은 무증상 성인을 대상으로 FDG-PET을 시행하여 그 섭취 패턴과 섭취 강도를 조사하고 대장내시경 소견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FDG-PET과 대장내시경을 모두 시행한 무증상인 64명($27{\sim}87$세, 남:여=31:33) 을 대상으로 하였다. FDG 섭취 양상은 focal, segmental, diffuse세 그룹으로 나누고 모든 환자에 대해 최대 SUV값을 구하고 병소의 크기 및 조직학 소견과 비교하였다. 결과 : Diffuse 53.1%, Segmental 26.5%, Focal 20.3%의 섭취양상을 보였으며, Diffuse 양상을 보이면 대부분에서 정상이었고 선종이 소수 발견되었으나 크기가 작았다. Focal 양상의 환자에서는 선종 또는 기타 병리 소견 등의 양성 대장내시경 결과를 더 많이 보였고 다른 두 섭취 양상에서보다. 발견된 선종의 크기가 컸다. 대장 섭취정도를 SUV로 측정하였을 때 내시경 음성인 환자들은 선종 및 기타 병리소견이 있는 내시경 양성환자보다 SUV가 낮았으나 선종의 크기에 따른 SUV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무증상 환자에서 FDG-PET를 시행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 제시된 대장 섭취 패턴과 섭취강도에 따른 내시경 결과와의 관계가 대장 선종 및 기타 병소를 진단하거나 내시경 등의 다음 검사로의 진행 결정에 일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