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um Heat Release Rate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8초

음영사진의 화상해석에 의한 디젤화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sel Flame by Means of Image Analysis ofn Shadow Photographs)

  • 장영준;박호준;신본무정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222-1233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급속압축장치에서 실현된 단발분무하염내의 매연을 레이저음영 사진법에 의하여 가시화하고, 화염내의 매연농도의 시간적, 공간적분포를 조사한다. 또 전보에서 측정된 비증발분무내의 당량비분포와 비교검토하여 디젤화염내의 매연 생 성기구를 고찰하고, 분위기조건에 따른 착화지연이 매연생성에 미치는 영향 및 매연생 성과 열발생율과의 관계를 밝힌다.

Numerical analysis on the rapid fire suppression using a water mist nozzle in a fire compartment with a door opening

  • Lee, Jaih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1권2호
    • /
    • pp.410-423
    • /
    • 2019
  • Fire suppression using a water mist nozzle directly above an n-Heptane pool in a fire compartment with a door opening was numerically investigated using the Fire Dynamics Simulator (FDS) for the purpose of application in nuclear power plants. Input parameters for the numerical simulation were determined by experimental measurements. Water mist was activated 10 s after the fire began. The sensitivity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ree input parameters: total number of cubic cells of 6032-2,926,400, droplets per second of 1000-500,000, and extinguishing coefficient of 0-100. In a new simple calibration method of this study, the extinguishing coefficient yielding the fire suppression time closest to that measured by experiments was found for use as the FDS simulation input value. When the water mist jet flow made contact with the developed fire, the heat release rate instantaneously increased, and then rapidly decreased. This phenomenon occurred with a displacement of the flame near the liquid fuel pool.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oor opening with different aspect ratios and opening ratios had impact on the maximum value of the heat release rate due to the flame displacement.

콘 칼로리미터를 이용한 건축 바닥재의 연소거동과 가스유해성 평가 (Burning Behavior of Flooring Materials in the Cone Calorimeter and Evaluation of Toxic Smoke)

  • 이장원;이봉우;권성필;이병호;김희수;김현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45-53
    • /
    • 2008
  • 건축 내장재 중 바닥재의 연소거동을 살펴보기 위해 열류량 $50kWm^{-2}$의 콘 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7종의 국산 바닥재를 이용하여 각각의 연소 거동을 최대 열방출률과 전체 열방출량 그리고 평균 열방출률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실험한 결과 중밀도섬유판(MDF) 바닥재가 다른 바닥재에 비해 높은 열 방출 특성을 나타났다. 또한 MDF 바닥재는 연소 시 질량의 감소가 다른 바닥재보다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소 시 발생하는 가스 발생량을 측정하였는데, PE계 섬유판(PE fiberboard flooring)과 PVC계 plastic resin sheet에서 높은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광소멸면적을 통해서 가스 평균 방출량을 살펴보면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와 같은 경향을 나타났다. 바닥재의 가스유해성 평가는 쥐의 행동 정지시간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MDF 바닥재에서 유해성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대나무숯 성형보드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Bamboo Charcoal Boards)

  • 박상범;박주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1호
    • /
    • pp.19-2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대나무숯의 인테리어용 건축자재로의 이용을 위하여 대나무숯 성형보드를 개발코자 하였다. 대나무숯 성형보드의 난연성능 확보를 위해 대나무숯과 발포질석 및 무기계 바인더를 혼합, 성형하여 제조하였다. 초기 열류량 50 kW/$m^2$의 조건에서 콘칼로리미터에 의한 대나무숯 성형보드의 연소시험이 수행되었다. 중량 감소율, 총열방출량, 최대열방출률의 연소거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3종의 건축재료(합판, 일본산 죽탄보드, 석고보드)를 사용하였으며, 표면시험 및 가스유해성을 조사하였다. 대나무숯 성형보드의 중량감소율은 연소 10분후 12.0%로 불연성 석고보드의 중량감소율(15.6%)보다 작았다. 연소 개시 5분 시점에서 대나무숯 성형보드의 총열방출률은 3 MJ/$m^2$, (KS 기준 8 MJ/$m^2$ 이하)이며, 최대열방출률은 20 kW/$m^2$ (KS 기준 200 kW/$m^2$ 이하)를 나타내어 난연3급의 건축재료에 해당되었다. 연소에 따른 외관상 변형과 방출가스에 의한 마우스 유해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구획 화재 시 벽면의 열적 특성을 고려한 온도분포 해석결과 (Numerical Analysis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Considering the Wall Thermal Conductivity in Compartment Fire)

  • 유우준;고권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644-64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구획 공간에서 가솔린 화재 시 내벽의 열전도 계수 변화에 따른 열유동 현상에 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내벽의 열전도 계수가 $0.18W/m{\cdot}K$인 내화보드의 재질로 구성된 가로 0.4 m, 세로 0.6 m, 높이 0.6m인 축소된 구획공간을 제작하였으며, 개구부 면적이 $0.12m^2$이고 연료 팬의 크기가 $0.01m^2$인 조건에서 가솔린 화재실험을 수행하여 높이 0.37 m 국부지점의 온도와 총괄 발열량을 산출하였다. 벽면 열전도 계수 변화가 구획 공간 내부의 온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화재해석 프로그램인 FDS(Fire Dynamic Simulator)를 사용하여 동일한 발열량 조건에서 온도분포 측정값과 해석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최대 발열량이 4.8 kW인 정상상태 구간에서 온도분포 예측 값이 10 % 이내로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벽면 열전도 계수가 $0.1W/m{\cdot}K$에서부터 $100W/m{\cdot}K$까지 증가한 결과 벽면의 평균 온도는 약 71% 정도 감소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구획화재에서 벽면의 열전도 계수와 내부 온도의 상관관계 분석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all Thermal Conductivity and Inner Room Temperature in Compartment Fires)

  • 유우준;고권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2호
    • /
    • pp.17-2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Buckingham 파이 정리를 이용하여 구획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벽면을 구성하는 재료의 열전도 계수와 내부 온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존 무차원 변수의 주요 인자를 고려하여 발열량, 열전도계수, 구획공간의 체적, 벽면 두께 그리고 대류 열전달 계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발열량에 대한 화염에서의 최대 온도 그리고 벽면의 온도를 산출하기 위해서 내화보드를 사용하여 ISO 9705 룸 코너 시험기(Room Corner Tester)의 1/6 크기를 갖는 축소 규모의 구조물을 제작하였으며, 10 cm, 15 cm 그리고 20 cm인 정사각형 화원에 대해서 가솔린 화재실험을 수행하여 국부 지점의 산소 농도와 화염에서의 온도분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류 열전달 계수와 열전도 계수의 변화에 따라서 외벽에서의 온도가 증가하는 조건을 제시하였으며, 발열량 변화에 대한 Buckingham 파이의 무차원 경험식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구획 공간에서 외벽 형상 및 열전도 계수의 변화를 고려한 화재 현상을 연구하기 위한 기초 자료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자동차 내장재의 연소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bustion for Car Interior Materials)

  • 김영탁;김해림;박영주;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50-455
    • /
    • 2008
  • We have carried out the test using the cone calorimeter and the smoke density chamber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for the car interior materials passed horizontal burning test. We have analysed many parameters related to fire hazard. These parameters are the ignition time, the heat release rate, the maximum average rate of heat emission, the flashover propensity and specific optical dens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RR and optical smoke density. The HRR was $185{\sim}446kW/m^2$ and optical smoke density was $119{\sim}1207$. Only horizontal burning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fire hazard for the car interior materials.

  • PDF

바이오디젤 혼합 연료에 커먼레일 디젤기관에서 예비 분사시기가 연소 및 배기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lot injection timing on the Combus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in a Common Rail Diesel Engine with Bio-diesel blended fuel)

  • 윤삼기;최낙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573-2578
    • /
    • 2014
  • 본 연구는 4실린더 커먼레일 디젤 기관에서 바이오 디젤 혼합 연료를 사용하여 예비 분사시기와 EGR율을 변화시켰을 때 연소 압력과 배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예비 분사 시기와 EGR율은 디젤 기관의 연소 및 배기 배출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관 회전 속도 2,000rpm에서 바이오 디젤 혼합율 20%의 연료를 사용하여 예비 분사 시기와 EGR율에 다양하게 변화를 주어 실험을 하였다. 실험결과, 도시 평균 유효 압력은 예비 분사 시기가 상사점전 BTDC $10^{\circ}$에서 가장 높았으며, 연소 압력과 열 발생율은 동일 예비 분사 시기에서 EGR율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NOx배 출량은 예비 분사시기에 관계없이 EGR율이 증가할수록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매연(Soot)은 예비 분사 시기 BTDC $20^{\circ}$에서 가장 적게 배출되었다.

정용연소기에 있어서 어유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ish Oil in a Constant Volume Combustion Bomb)

  • 서정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8권2호
    • /
    • pp.184-190
    • /
    • 1992
  •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ignition delay, p-t, dp/dt, Q-t of diesel oil and fish oil blended diesel oils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pressure and temperature in a constant volume combustion bomb.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pressure on the ignition delay was almost constant in high temperature, regardless of the blending rates, and the ignition delay was shortest in the 60% blend. 2) The maximum pressure was high in order of with pure diesel oil, with the 20% blend and the 60% blend. 3) The rate of pressure rise was high in order of with pure diesel oil, with the 20% blend and the 60% blend. The rate of maximum pressure rise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pure diesel oil than with two blends. 4) The amount of accumulative heat release was large in order of with pure diesel oil, with the 20% blend and the 60% blend.

  • PDF

메탄-수소-공기 예혼합기의 연소특성( I )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Methane-Hydrogen-Air Premixture( I ))

  • 김봉석;권철홍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129-139
    • /
    • 1995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methane-hydrogen-air premixture in a constant volume combustion chamber. Primary factors of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methane- hydrogen-air premixture are the equivalence ratio and hydrogen supplement rate. In the case of $\phi$= 1.1, maximum combustion pressure and heat release rate have peaks, and they increase as the initial pressure and hydrogen supplement rate increase. The total burning time is also the shortest at the $\phi$= 1.1, it shorten by lowering the initial pressure and by increasing the hydrogen supplement rate. The maximum flame temperature is shown at the $\phi$= 1.0, and increasing the initial pressure and hydrogen supplement rate, it increases. The concentration of NO reveals the highest value at the $\phi$= 0.9, and it increases by increasing the initial pressure and hydrogen supplement rate. It is also found that the limit of lean inflammability of methane-hydrogen-air premixture is greatly widened by increasing the hydrogen supplement ra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