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llofacial development

검색결과 375건 처리시간 0.032초

Enhanced Efficacy of Human Brain-Derived Neural Stem Cells by Transplantation of Cell Aggregates in a Rat Model of Parkinson's Disease

  • Shin, Eun Sil;Hwang, Onyou;Hwang, Yu-Shik;Suh, Jun-Kyo Francis;Chun, Young Il;Jeon, Sang Ryo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6권5호
    • /
    • pp.383-389
    • /
    • 2014
  • Objective : Neural tissue transplantation has been a promising strategy for the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PD). However, transplantation has the disadvantages of low-cell survival and/or development of dyskinesia. Transplantation of cell aggregates has the potential to overcome these problems, because the cells can extend their axons into the host brain and establish synaptic connections with host neurons. In this present study, aggregates of human brain-derived neural stem cells (HB-NSC) were transplanted into a PD animal model and compared to previous report on transplantation of single-cell suspensions. Methods : Rats received an injection of 6-OHDA into the right medial forebrain bundle to generate the PD model and followed by injections of PBS only, or HB-NSC aggregates in PBS into the ipsilateral striatum. Behavioral tests, multitracer (2-deoxy-2-[$^{18}F$]-fluoro-D-glucose ([$^{18}F$]-FDG) and [$^{18}F$]-N-(3-fluoropropyl)-2-carbomethoxy-3-(4-iodophenyl)nortropane ([$^{18}F$]-FP-CIT) microPET scans, as well as immunohistochemical (IHC) and immunofluorescent (IF) staining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results. Results : The stepping tes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contralateral forelimb control in the HB-NSC group from 6-10 week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5). [$^{18}F$]-FP-CIT microPET at 10 weeks posttransplantation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uptake in the HB-NSC group compared to pretransplantation (p<0.05). In IHC and IF staining, tyrosine hydroxylase and human ${\beta}2$ microglobulin (a human cell marker) positive cells were visualized at the transplant site.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B-NSC aggregates can survive in the striatum and exert therapeutic effects in a PD model by secreting dopamine.

CD44v3 and VEGF-C Express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Lymph Node Metastasis in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Uterine Cervix

  • Liu, Ye-Qing;Li, Hai-Feng;Han, Jing-Jing;Tang, Qiong-Lan;Sun, Qing;Huang, Zhi-Quan;Li, Hai-G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2호
    • /
    • pp.5049-5053
    • /
    • 2014
  • Backgroun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CD44v3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C (VEGF-C) and their relationship with lymph node metastasis in squamous cell carcinomas (SCC) of the uterine cervix. Materials and Methods: Expression of CD44v3 and VEGF-C was analyzed in 109 cases of cervical SCC by immunohistochemistry (IHC). The relationship was analyzed between expression and the patient age, histological differentiation, formation of tumor emboli in lymphoid vessels, lymph node metastasis, FIGO staging, and TNM classification. Results: Expression rates for both CD44v3 and VEGF-C were 43.1% in cervical SCC. The cells with positiv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CD44v3 were distributed mainly around the keratin pearls in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s, but distributed diffusely in the moderately and poorly differentiated lesions. VEGF-C was found stained positively in most of the tumor cells. There were differences in expression between normal epithelium and atypical hyperplasia as well as carcinoma. Both CD44v3 and VEGF-C were found to be associated positively with lymph node metastasis and TNM classification (both p=0.000). Neither CD44v3 nor VEGF-C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patient age, histological differentiation, formation of tumor emboli in lymphoid vessels and FIGO staging. CD44v3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VEGF-C positively (p=0.000). Conclusions: Abnormal expression of CD44v3 and VEGF-C is associated closely with the lymph node metastasis in cervical SCC, and these agents may cooperate in carcinogenesis and development of metastatic lesions.

경남지역 청소년들의 치과진료형태가 치과공포감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the Type of Dental Treatment on the Dental Fear of Adolescent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 권수진;최유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77-285
    • /
    • 2010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치과진료형태에 따른 치과공포감의 영향관계에 대해 규명하여 청소년의 치과진료 시 불안, 공포감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경남지역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2009년 12월 2일부터 9일까지 8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2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상관분석을 통한 치과진료 경험과 공포감의 관계에서 각 구성요소 간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 회귀분석 결과 전체적인 공포감에는 치과보철 진료경험이, 치과진료 회피 공포감에는 치과보존 진료경험이, 생리적 반응요인 공포감에는 구강악안면 진료경험이, 치료자극 반응요인 공포감에는 치과보철 진료경험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향후 치과 의료기관은 청소년들이 치과진료에 대한 막연한 공포나 두려움을 없애고, 정기적인 치과방문을 통한 예방진료 등의 강화로 구강건강증진을 도모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진료형태별 대상별 치과 공포감을 없앨 수 있는 매뉴얼 개발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Horse Bone-derived Natural Calcium Phosphate Powders

  • Jang, Kyoung-Je;Cho, Woo Jae;Seonwoo, Hoon;Kim, Jangho;Lim, Ki Taek;Chung, Pill-Hoon;Chung, Jong Hoo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9권2호
    • /
    • pp.122-133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ffective process for fabricating biocompatible calcium phosphate powders (CPPs) using horse bones,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m. Methods: The characteristics of horse bone powders (HBP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osseous tissue types (compact bone and cancellous bone), bone types (spine and tibia), pretreatment methods (cold water, $H_2O_2$, and hot water), sintering time (4, 8 and 12h), and sintering temperature (600, 900, 1100 and $1300^{\circ}C$). In addition, the grinding methods were compared based on the wet grinding (ball mill) and dry grinding (blade grinder) method to make it as powders. Finally, their cytotoxicity and cell viability were checked. Results: Regardless of the types of osseous tissues and bones, HBPs were well fabricated as biocompatible CPPs. It was also found that the pretreatment methods did not influence on the resultants, showing well-fabricated HBPs. Considering the processing time, the hot water method was the most suitable compared to other pretreatment methods. Further, 12h-sintering time was sufficient to remove residual organic compounds. The sintering temperatures greatly affected the properties of bone powders fabricated. The x-ray diffraction (XRD) peak of horse bone sintered at $600^{\circ}C$ was most closed to that of hydroxyapatite (HA). Our bioactivity study demonstrated that the HBPs fabricated by sintering horse bones at $1300^{\circ}C$ showed the best performance in terms of cell viability whereas the HBPs $1100^{\circ}C$ showed the cytotoxicity. Conclusions: Using various types of horse bone tissues, biocompatible CPPs were successfully developed. We conclude that the HBPs may have a great potential as biomaterials for various biological applications including bone tissue engineering.

안면비대칭자의 하악골 악교정수술 후 정면 연조직 변화 예측을 위한 연구 (Prediction of frontal soft tissue changes after mandibular surgery in facial asymmetry individuals)

  • 황현식;;황정현;최학희;임회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52-264
    • /
    • 2008
  •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 환자의 악교정수술 시 경조직 이동에 따른 연조직 변화를 정면에서 평가함으로써 정면 얼굴 이미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안면비대칭이 동반된 하악골 수술 예정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정모 두부방사선규격사진과 얼굴사진(photo)을 술전 및 술후에 각각 같은 각도로 촬영한 후, 술전 및 술후의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경조직 계측점의 변화를, 얼굴사진을 이용하여 연조직 계측점의 변화를 수평 및 수직으로 구분하여 각각 측정한 후 경조직 변화에 따른 연조직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조직 변화와 경조직 변화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수평 방향, 수직 방향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1 : 1 mean ratio 산출을 위하여 서로 상관성이 가장 높은 경조직 계측점을 연조직 계측점별로 선택한 결과 직하방에 있는 경조직보다는 다소 멀리 떨어져 있는 경조직 계측점이 선택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경조직 변화를 이용하여 연조직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회귀방정식을 연조직 계측점별로 산출한 결과 연조직 수평변화 예측에 경조직 수직변화도 사용되고 연조직 수직변화 예측에 경조직 수평변화도 사용되었으며, 수평과 수직변화 모두에서 가장 설명력이 높은 방정식은 연조직 menton에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하부 경조직 계측점과 상부 연조직 계측점의 비율을 이용하는 1 : 1 mean ratio 방법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회귀분석을 이용한 연조직 변화 예측은 임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면 이미지의 경우 컴퓨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반드시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업무수행과의 관계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the Practice Performance as Dental Hygienist)

  • 김경선;유미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11-115
    • /
    • 2004
  • 치과위생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전문직 자아개념 정립과 치위생직 전문직 발전에 도움이 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전라북도 전주시 치과진료기관에 종사하는 110명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2002년 3월 11일부터 3월 2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 분석결과 종교(p<.05)와 최종학력(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업무수행 분석결과 종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3. 전문직 자아개념과 업무수행과의 상관관계는 순상관성(F=.663, p<.001)을 보여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업무수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 전문직 자아개념은 업무수행 영역의 독자적업무(F=.683, p<.001), 대인관계업무(F=.648, p<.001), 일반관리업무(F=.573, p<.001), 협동적업무(F=.478, p<.001)순으로 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2) 업무수행은 전문직 자아개념 영역의 전문적 실무(F=.637, p<.001)와 만족감(F=.337, p=.000)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치과위생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업무수행 정도를 높이기 위해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의 기회가 확대, 유지되어야한다. 둘째, 치과위생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업무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전주시 치과의료기관에 국한된 것이므로 연구결과를 확대 해석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하고 설문도구 작성에 있어 주로 간호사를 중심으로 개발된 문항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치과위생사에 적합한 표준문항이 없어 타당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 PDF

조형가공기술을 이용한 인공지지체의 수산화나트륨 개질 효과 (Effect of Sodium Hydroxide Treatment on Scaffold by Solid Freeform Fabrication)

  • 박수아;이정복;김양은;김지은;권일근;이준희;김완두;김형근;김미은;이준식
    • 폴리머
    • /
    • 제38권6호
    • /
    • pp.815-819
    • /
    • 2014
  • 조직공학에서의 인공지지체는 세포의 부착과 증식 및 분화가 잘 되어야 하고, 우수한 생체친화성 및 생분해성을 지녀야 한다. 다양한 인공지지체 제작 방법이 시도되어지고 있으며, 최근들어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방식이 활발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다.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은 낮은 녹는점을 가지고 있어 3D 프린팅하기에 우수한 생체적합 고분자 합성재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3차원 PCL 인공지지체를 제작하였고, 지지체의 표면개질을 위해 수산화나트륨(NaOH)을 이용하였다. 표면개질된 인공지지체의 표면특성을 SEM으로 확인한 결과, 수산화나트륨을 처리한 PCL 인공지지체가 처리하지 않은 PCL 인공지지체에 비해 거칠기가 증가함을 보였으며, 접촉각 측정을 통해 친수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In vitro 실험결과, 수산화나트륨을 처리한 PCL 인공지지체가 처리하지 않은 PCL 인공지지체에 비해 세포의 증식과 분화가 증가함을 보였고, 세포의 부착 모습은 균일하고 밀집된 형태로 부착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조형가공기술을 이용하여 수산화나트륨을 처리한 표면개질된 PCL 인공지지체를 제작하고 분석함으로써, 세포적합성을 통해 체내 인공지지체 개발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Effect of Lidocaine.HCl on the Fluidity of Native and Model Membrane Lipid Bilayers

  • Park, Jun-Seop;Jung, Tae-Sang;Noh, Yang-Ho;Kim, Woo-Sung;Park, Won-Ick;Kim, Young-Soo;Chung, In-Kyo;Sohn, Uy Dong;Bae, Soo-Kyung;Bae, Moon-Kyoung;Jang, Hye-Ock;Yun, Il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6권6호
    • /
    • pp.413-42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d the mechanism of pharmacological action of local anesthetic and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development of new effective local anesthetics. Fluorescent probe technique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lidocaine HCl on the physical properties (transbilayer asymmetric lateral and rotational mobility, annular lipid fluidity and protein distribution) of synaptosomal plasma membrane vesicles (SPMV) isolated from bovine cerebral cortex, and liposomes of total lipids (SPMVTL) and phospholipids (SPMVPL) extracted from the SPMV. An experimental procedure was used based on selective quenching of 1,3-di(1-pyrenyl)propane (Py-3-Py) and 1,6-diphenyl-1,3,5-hexatriene (DPH) by trinitrophenyl groups, and radiationless energy transfer from the tryptophans of membrane proteins to Py-3-Py. Lidocaine HCl increased the bulk lateral and rotational mobility of neuronal and model membrane lipid bilayes, and had a greater fluidizing effect on the inner monolayer than the outer monolayer. Lidocaine HCl increased annular lipid fluidity in SPMV lipid bilayers. It also caused membrane proteins to cluster. The most important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there is far greater increase in annular lipid fluidity than that in lateral and rotational mobilities by lidocaine HCl. Lidocaine HCl alters the stereo or dynamics of the proteins in the lipid bilayers by combining with lipids, especially with the annular lipids. In conclusion, the present data suggest that lidocaine, in addition to its direct interaction with proteins, concurrently interacts with membrane lipids, fluidizing the membrane, and thus inducing conformational changes of proteins known to be intimately associated with membrane lipid.

성장기 아동의 악안면 성장과 신체발육에 관한 연구 (STUDY ON MAXILLOFACIAL GROWTH AND PHYSICAL DEVELOPMENT OF GROWING CHILDREN)

  • 황충주;경승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63-978
    • /
    • 1997
  • 교정 환자들은 성장과 발육을 하는 개체이므로 교정치료의 시기 선택은 가장 어렵고 중요한 요소이며,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의 개발에 따라 안면 성장의 양상과 연령 증가에 따른 성장 변화량은 성장 예측 등의 교정적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되어왔다. 이에 3세에서 12세까지의 한국인 남여 아동 각 연령군에서의 두개 안면부의 경조직 계측치 평균과 신장, 체중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교정치료를 받은적이 없고, 성장과 발육에 장애가 없는 3세에서 12세까지의 소년 147명과 소녀 106명을 연구대상으로 만 2년간 두부방사선 사진을 채득하여 경조직 분석을 Burstone의 COGS논문에 기초하여 두개저, 상악골과 하악골, 수직 계측, 수평 계측, 상하악 기저골 관계 및 치성 계측의 6개 부분으로 나누어 성장과의 관계 및 키와 몸무게와의 관계를 연구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개저 계측에서 N-Ar(FH), N-Ba(FH)의 최대 성장 증가량은 남녀 모두 체중과 신장의 최대 증가량을 나타내는 연령과 일치한다. 그 외의 항목은 일정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큰 증가를 보이지 않고 있어 두개저의 성장은 초기에 거의 완성됨을 알 수 있었다. 2. Genial angle은 남녀 모두에서 성장과 함께 점차 감소하였다. 3. ANS-Me(L)보다 N-ANS(L)가 더 많은 성장량을 보여 안면 형태에 많은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4. $N-A-Pog^{\circ}$ 은 연령증가와 더불어 감소하며 이는 하악골의 성장이 상악골의 성장량보다 빠르고 많았다. 5. 상하악 기저골 관계에서 Y-axis의 길이는 증가하지만 각도는 일정하게 유지되어 하악골은 두개저에 대해 일정방향으로 성장하였다. 6. 영구치 맹출과 더불어 Interincisal angle은 감소하였다.

  • PDF

배자와 태아에서 하악골의 형태발생 및 교원질 발현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The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Collagens and the Morphogenesis in the Developing Mandible of Human Embryos and Fetuses)

  • 국윤아;김상철;김은철;김오환;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7-196
    • /
    • 1996
  • 치아 위치에 영향을 미치는 악안면의 성장 발육에서 Meckel 연골발생전 후의 하악골 형성과정과 교원 단백질 분포 및 발현 정도를 알아보고자 좌고를 측정하여 태령을 결정한 후 4주부터 38 주까지 50 례의 배자와 태아를 대상으로 통법에 따른 조직절편을 제작하였으며 Hematoxylin과 Eosin, Alcian blue-PAS와 Goldner의 Masson Trichrome 염색, 그리고 제 1 형과 제 2 형 교원 단백질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좌고 20.5 mm 배자에서 Meckel 연골이 출현하였으며, 좌고 22 mm에서 38 mm까지 하악골 외방에 신생골을 형성하고, 좌고 60 mm태아에서 Meckel 연골이 점유하던 공간이 신생골로 채워져 연골내골화가 뚜렸하게 관찰되었으나, 좌고 240 mm에서 Meckel 연골이 거의 소실되었다. 교원질에 대한 면역 염색결과에서 Meckel 연골 출현전 제 1 형 교원질 발현은 주로 상, 하악돌기의 구강상피에 국한되어 관찰되었고 제 2 형 교원질 발현은 상대적으로 약간 적었다. Meckel 연골 출현 및 신생골 형성시기는 제 1 형 교원질이 주로 치제상피와 신생골에서 약양성의 발현을 보였으며 Meckel 연골 및 신생골에서는 제 1 형보다 제 2 형의 교원질이 많이 발현되었다. 막내골화시기에는 제 1 형 교원질이 골아세포 및 골기질에서 중등도로 발현되었으나, 제 2 형에서는 경미하게 나타나 Meckel 연골형성전 후 제 2형에서 제 1 형으로 발현 전환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