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llary protrusion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1초

Study of soft tissue changes in the upper lip and nose after backward movement of the maxilla in orthognathic surgery

  • Seon, Suyun;Lee, Hyun-Woo;Jeong, Bong-Jin;Lee, Baek-Soo;Kwon, Yong-Dae;Ohe, Jo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6권6호
    • /
    • pp.385-392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s soft tissue changes of the upper lip and nose after maxillary setback with orthognathic surgery such as Le Fort I or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Materials and Methods: All 50 patients with bimaxillary protrusion and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underwent Le Fort I or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with backward movement. Soft and hard tissue changes were analyzed using cephalograms collected preoperatively and 6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Cluster analysis on the ratios shows that 2 lines intersected at 4 mm point. Based on this point, we divided the subjects into 2 groups: Group A (less than 4 mm, 27 subjects) and Group B (more than 4 mm, 23 subjects). Also, each group was divided according to changes of upper incisor angle (≥4°=A1, B1 or <4°=A2, B2). The correlation between A and B groups for A'/ANS and Ls/Is (P<0.001) was significant; A'/A (P=0.002), PRN/A (P=0.043), PRN/ANS (P=0.032), and St/Is (P=0.010). Variation of nasolabial angle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of vertical movement and angle variation. Conclusion: The ratio of soft tissue to hard tissue movement depends on the amount of posterior movement in the maxilla, showing approximately two times higher rates in most of the midface when posterior movement was greater than 4 mm. The soft tissue changes caused by posterior movement of the maxilla were little affected by angular changes of upper incisors. Interestingly, nasolabial angle showed a different tendency between A and B groups and was more affected by incisal angular changes when horizontal posterior movement was less than 4 mm.

전방 분절골 절단술과 임프란트 식립을 이용한 구강악기능의 재건 : 증례보고 (ORAL REHABILITATION WITH MANDIBULAR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AND IMPLANTATION: A CASE REPORT)

  • 문철웅;김수관;김학균;문성용;유재식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1권4호
    • /
    • pp.319-324
    • /
    • 2009
  • Kole's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of the mandible is commonly used to close an anterior open bite, to depress an elevated anterior dentoalveolar segment, or to retrude or advance a dentoalveolar segment. The procedure is often combined with an anterior maxillary segmental osteotomy to correct bimaxillary protrusion. We report 53-year-old woman who the extruded state of mandibular anterior alveolar segment was corrected using an mandibular anterior alveolar segmental osteotomy and dental implantation of the anterior maxilla. We planned to remove the old prosthesis, and then perform an anterior mandibular segmental osteotomy and implant restoration of the anterior maxilla. We suggest that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is very useful for rehabilitating edentulous patients with malaligned alveolar segment.

관골 골절에 따른 합병증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COMPLICATIONS FOLLOWING ZYGOMA FRACTURE)

  • 송상훈;엄기훈;양병은;유준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1권4호
    • /
    • pp.366-369
    • /
    • 1999
  • 관골 골절을 분류할 때 주위의 해부학적인 구조물과 연관해서 기능적인 면에 중점을 두어야 하므로 복시나 내안증같은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는 안와골절을 포함하는 분류를 해야한다. 관골 골절의 변위에 따라 나타나는 합병증의 양상이 매우 다양하므로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초창기에 이러한 임상적인 합병증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추후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간과해서는 안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I급 Activator를 이용한 혼합치열기 II급 부정교합아동의 치험례 (TREATMENT OF CLASS II MALOCCLUSION IN THE MIXED DENTITION WITH CLASS II ACTIVATOR: CASE REPORT)

  • 유건정;김현정;남순현;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35-742
    • /
    • 1997
  • Class II malocclusion can be treated via early orthopedic, orthodontic treatment or orthognathic surgery with orthodontic treatment. In the mixed dentition, early orthopedic treatment can be used. Especially, in the case of mandibular retrognathism, the functional appliances can be used, and in the case of maxillary protrusion is combined, they can be used together with headgear. After using activator and activator combined with headgear to the class II malocclusion paitent in the mixed denti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Lateral profile was improved, and lower face height was increaed. 2. Overjet was decreased, and molar relationship was changed to class I molar relationship. 3. Growth can be undisturbed, and the aggravation of malocclusion can be prevented to make the 2nd phase orthodontic treatment be much easier.

  • PDF

Double keyhole loop에 의한 상악 6전치의 후방견인시 치아이동양상에 관한 측모두부방사선계측학적 연구 (A Cephalometric study on tooth movement pattern of maxillary 6 anteriors with double keyhole loops)

  • 김현경;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1호통권90호
    • /
    • pp.9-18
    • /
    • 2002
  • 일반적으로 치조성 양악전돌증의 치료는 환자의 나이나 골격 부조화의 원인, 심도 등에 따라 다른데, 환자의 성장이 이미 완료되고 골격적 부조화의 점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치아의 이동만으로 문제를 해소하는 교정적인 절충치료를 행하게 되며 심미성의 증진을 위해서는 소구치, 특히 제1소구치 발치가 적절한 선택일 수 있다. 제1소구치의 발치 후 전치부의 En Masse 견인시 이용되고 있는 double keyhole loop(이하 DKHL로 약함)에는 4개의 루프가 있어 발치 공간 폐쇄시 견치 치관의 원심경사를 조절하고 구치 치관이 근심측으로 경사되는 것을 막아 교합평면의 굴곡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한편 견치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연구는 I급 치조성 양악전돌증 및 II급 1류 부정교합이 있는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상, 하악 6전치를 후방이동시킴으로써 연조직의 변화를 가져와 심미적으로 좋은 치료의 결과를 얻기 위해 상악 제1소구치를 발거하여 DKHL에 의해 치료가 완료된 환자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치료 전, 후의 골격적인 변화와 치아치조영역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고,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DKHL에 의한 치료 전, 후의 골격적인 변화는 SNB의 감소경향(0.49 ${\pm}$ 0.87$^{\circ}$ , p<0.05)과 PTFH의 증가경향(0.50 ${\pm}$ 0.8 mn, p<0.05)을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고 주된 변화는 치아치조영역에서 일어났다. 2. 치료 후 치아치조영역에서는 절치간각을 제외한 모든 계측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감소를 보였다. 3. 상하순의 돌출도 모두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4. 상악 전치의 치관은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후방이동(7.08 ${\pm}$ 2.14 mm, p<0.01)을 보였고, 상악 전치의 치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수직고경의 감소(2.38 ${\pm}$ 1.15 mm, p<0.01)를 보였다. 5. 상악 구치의 치관, 치근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전방이동(2.48 ${\pm}$ 0.99 mm, 2.05 ${\pm}$ 0.91 mm,p<0.01)을 보였다.

전치부 후방이동에 따른 하안면부 연조직 측모 변화의 예측 (Prediction of the change of soft tissue profile on the lower face following retraction of incisors)

  • 이장섭;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99-409
    • /
    • 1999
  • 본 연구는 교정치료동안의 전치부 후방이동에 의한 하안면부 연조직 측모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치조성 양악전돌을 주소로 내원하여 상, 하악 제 1 소구치를 발거하고 전치부 후방이동을 시행한 31증례의 치료전후 측모두부X선규격사진을 이용하였으며 성장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17세 이상의 한국인 여성으로 대상을 제한하였다. 치료전후 각 계측치와 변화량을 이용하여 paired f-test와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cdot$치아의 후방이동량과 연조직의 후방이동량의 비는, 상악 중절치 (UIS):상순 (LS)은 1.54:1, 하악 중절치 (LIS):하순 (Ll)은 0.92:1이며 각각의 상관계수는 각각 0.746과 0.584로 나타났다. $\cdot$치료동안 연조직 자체의 두께는 상순 (UIS-LS)에서만 증가가 있었고 나머지 부위에서는 약간의 감소가 있었다. $\cdot$치아 이동량과 연조직 이동량간의 상관분석에서 상순 (LS)은 상악 중절치 (UIS)와 하순(LI)은 B점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cdot$치아이동에 따른 하안면부 연조직의 이동을 예측하기 위한 다중 회귀방정식을 구할 수 있었다.

  • PDF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골 전방견인장치 사용후 측모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OFILE CHANGE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AFTER WEARING PROTRACTION HEAD GEAR)

  • 임중기;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5-401
    • /
    • 1995
  •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의 원인은 상악 열성장, 하악 과성장과 두 양상의 조합형태로 나뉠 수 있다. 이중 상악 열성장을 동반한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의 경우,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의 사용이 추천되고 있는데, 이러한 장치의 치료효과는 상악골의 전하방 이동과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외 선학들에 의해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의 치료효과에 대한 많은 동물실험과 임상실험 결과가 발표되었으나, 연조직 측모 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고, 또한 치료를 받은 환자간의 치료효과에 대한 비교도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저자는 상악골 열성장으로 인한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 받은 93명의 환자를 성별, 치료개시 나이별, 구개봉합 opening여부(구강내 장치), 안모성장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각 유형에 따라 어떠한 경조직과 연조직 측모의 변화가 관찰되는지 여부와, Angle씨 제 I 급 부정교합의 정상군 20명과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받은 환자 사이에 경조직과 연조직에 있어서 성장량과 치료량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비교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사용시 골격적 계측항목과 치아와 연조직 계측항목에서 성장량보다 많은 치료에 의한 변화량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남녀별 치료개시 나이에 따른 상악골 전방이동량과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량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3. R.P.E.에서 La-Li보다 유의성 있는 상악골(A point)의 전방이동을 보였으며, 상악 전치의 순측 돌출이 La-Li를 사용하였을때 보다 감소되었다. 4. 안모성장 형태에 따라서는 상악골 전방이동량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을 나타내는 계측치에서 counterclockwise군이 clockwise군보다 많은 변화를 나타냈다. 5. 상순과 하순의 후경변화는 하부 골조직과 상하악 치아의 위치변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순의 고경과 nasolabial angle이 증가하고, mentolabial angle이 감소되었다.

  • PDF

상악동저 거상술에서 이식재 양에 따른 이식골 높이 변화에 대한 방사선학적 평가 (A change of sinus floor level related to the amount of grafted material after bone added osteotome sinus floor elevation (BAOSFE) technique: A radiographic retrospective study)

  • 이지은;박소민;이종빈;방은경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5권11호
    • /
    • pp.756-765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valuate a change o bone level on the sinus floor by a bone added osteotome sinus floor elevation (BAOSFE) technique, according to the amount of deproteinized bovine bone mineral (DBBM). And Changes in augmented bone height after BAOSFE procedure were also assessed for 6 months after the implant procedure. Materials and Methods: Forty eight single implants were placed in the posterior maxilla using BAOSFE technique. The implantation site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mount of grafted DBBM, 0.25 group (0.25g) and 0.5 group (0.5 g). Panoramic views or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were taken at the time of implant placement with BAOSFE and after at least 6 months to assess the bone level changes in the elevated sites with DBBM. Results: Alveolar bone level around all implants was stable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during the follow-up. Mean augmented bone height was $5.21{\pm}0.94mm$ in 0.25 group and $6.92{\pm}1.19mm$ in 0.5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ugmented bone height was found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0.25 group and 0.5 group at the time of surger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ngth of the implant protruding into the maxillary sinus and the augmented bone height. After 6 months, mean reduction of augmented bone height was $0.50{\pm}0.34mm$ in 0.25 group and $0.41{\pm}0.30mm$ in 0.5group. There was no specific correlation between the reduction of augmented bone height and amount of grafted DBBM. Conclusion: Within the limit of this study, the amount of grafting materials and the protrusion length of implant into the maxillary sinus affect the amount of the augmented bone height.

  • PDF

뇌병변 장애 환자와 자폐성 장애 환자의 교정치료: 증례 보고 (ORTHODONTIC TREATMENT FOR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AND AUTISM: CASE REPORT)

  • 문소연;이대우;김재곤;양연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4-88
    • /
    • 2019
  • 장애인의 교정 치료는 환자에 따라 치료 목표와 방법이 비장애인의 교정 치료와 달라질 수 있다. 교정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환자의 교정 치료의 한계에 대한 보호자와의 충분한 의사소통이 먼저 이루어져야 하고, 교정 치료는 환자가 견딜 수 있으면서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또한 교정치료 시 보호자들에게 구강위생관리의 중요성을 항상 강조하고 집에서의 구강 위생 관리를 위한 교육을 반드시 시행해야 한다.

삼차원적 안모형태의 미적분석 (MAXILLOFACIAL ESTHETICS BY THREE DIMENSIONAL FACIAL MORPHOMETRICS)

  • 이상한;권대근;백상흠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6호
    • /
    • pp.606-612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verage anthropometric value of normal Korean men and women and to compare the preceding literatures. Additionally, average Korean profilogram was made to serve as a template for diagnosis of facial form. Eighty five Korean subjects(41 men, 44 women) aged between 21 to 26 were selected by members of the author's department on the basis of intact dentition and Class I occlusion without facial asymmetry. Frontal and lateral photographs were taken under standardized condition with digital camera. The image was magnified and adjusted according to the FH plane of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digitized using personal computer. To compare the Western beauty, 25 esthetically pleasing female was selected to measure various angle and distance of the face. 1. It was possible to calculate the mean coordinate value of Korean normal samples which enables the direct visualization and comparison with the use of template. The method in this study was easy to applicate under the Microsoft $Windows^{(R)}$ bases. 2. Maxillary vertical hypoplasia, upper and lower lip protrusion was characteristics of Korean norms and relatively narrow alar base distance, less conspicuous nasal projection was observed. As the vermilion exposure and upper lip length was more than western norm, chin looks shorter than western. To compare the Korean and Western esthetically pleasing profile, facial convexity and nose was less conspicuous in Korean wom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