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llary anterior segment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7초

X선상으로 본 영양관과 골주상구조에 관한 연구 (ROENTGENOGRAPHIC STUDY OF NUTRIENT CANALS AND BONE TRABECULAR PATTERN)

  • 박태원
    • 치과방사선
    • /
    • 제7권1호
    • /
    • pp.16-18
    • /
    • 1977
  • The purposes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determine the appearance rate of nutrient canals and the aspect of alveolar bone trabecular patterns. 1949 subjects, averages 23 years old, who have normal occlusion were used. The film used in this investigation was full mouth roentgenographic survey.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trabecular pattern, coarse form was 35.17% and fine one was 64.14% in both jaws. 2. The appearance rate of nutrient canals was much higher in mandibular anterior segment(89.13%) than in the maxillary posterior segment(0.86%). 3. In the trabecular forms, small trabecular space and horizontal relation appeared in the mandible, and vertical relation in the maxilla.

  • PDF

Positional changes in the mandibular proximal segment after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Surgery-first approach versus conventional approach

  • Jung, Seoyeon;Choi, Yunjin;Park, Jung-Hyun;Jung, Young-Soo;Baik, Hyoung-Se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24-335
    • /
    • 2020
  • Objective: To compare postoperative positional changes in the mandibular proximal segment between the conventional orthognathic surgery (CS) and the surgery-first approach (SF) using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IVRO) in patien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Methods: Thirty-eight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ho underwent bimaxillary surger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use of preoperative orthodontic treatment: CS group (n = 18) and SF group (n = 20). Skeletal changes in both groups were measured using computed tomography before (T0), 2 days after (T1), and 1 year after (T2) the surgery. Three-dimensional (3D) angular changes in the mandibular proximal segment, condylar position, and maxillomandibular landmarks were assessed. Results: The mean amounts of mandibular setback and maxillary posterior impaction were similar in both groups. At T2, the posterior portion of the mandible moved upward in both groups. In the SF group, the anterior portion of the mandible moved upward by a mean distance of 0.9 ± 1.0 mm,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1). There were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s in occlusal changes (p < 0.001) as well as in overjet and overbit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s in proximal segment variables. Conclusions: Despite postoperative occlusal changes, positional changes in the mandibular proximal segment and the position of the condyles were similar between CS and SF, which suggested that SF using IVRO achieved satisfactory postoperative stability. If active physiotherapy is conducted, the proximal segment can be adapted in the physiological position regardless of the occlusal changes.

하악(下顎) 구치부(臼齒部) 분절골절단술(分節骨切斷術)에 의(依)한 구치부(臼齒部) 교차교합(交叉交合)의 치험례(治驗例) (SURGICAL AND ORTHODONTIC CORRECTION OF POSTERIOR SCISSOR BITE BY THE POSTERIOR MANDIBULAR SEGMENTAL OSTEOTOMY)

  • 김명래;전윤식;채평배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2권3호
    • /
    • pp.74-80
    • /
    • 1990
  • This is to report a case of surgical and orthodontic of posterior scissor bite, deep bite and gummy smile by the segmental osteotomies. The surgical thechnics procedures used are Peterson's mandibular posterior segmental osteotomy, modified $K{\ddot{o}}le$ technic for mandibular anterior segment and Wunderer's maxillary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Peterson's mandibular posterior segmental osteotomy could be achieved by the buccal approach with some difficulties in accessbility. 2) Upper and lower anterior segmental osteotomies were followed separately to correct the deep curve of Spee, deep bite and gummy smile in shortened period. 3) All alveolar segments were immobilized in preplanned position by the prefabricated palatal and lingual resin splint, therefore intermaxillary fixation was not necessary.

  • PDF

상악 전치부 후방 견인 시 이동 양상과 응력 분포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e pattern of movement and stress distribution during retraction of maxillary incisors using a 3-D finite element method)

  • 정애진;김운수;이수행;강성수;최희인;조진형;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98-113
    • /
    • 2007
  • 상악 전치부 후방 견인 시의 이동 양상 및 응력 분포를 건조 두개골을 전산화 단층 촬영에 의해 3차원 영상화한 유한 요소 모델 상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피질골 절단술의 시행 여부와 고정원, 힘의 작용점을 각기 달리 설정하여 8개의 실험군을 구성하여 비교하였다. 통상적인 T-loop을 이용하여 공간폐쇄를 하는 경우 전치부는 후하방으로 경사이동 하였으며, 구치부에서도 약간 전방 이동하였다. 피질골 절단술을 동반하여 전치부를 견인한 경우, 전치부 골편에서의 응력 분포가 전반적으로 넓게 분포되었으며, 전치부 경사의 정도가 적은 반면에 변위량은 훨씬 더 많았다. 협측에서의 견인 시 상악 협측에 식립된 미니 임플랜트와 견치 Power arm간에 견인력을 가한 경우가 미니 임플랜트로 고정원이 강화된 제2소구치와 견치 브라켓 간에 견인력을 가한 경우보다 전치부의 후하방 경사 정도가 적었다. 구개측에서 Powerarm에 대한 견인 시 정중구개봉합 부위에 식립한 미니 임플랜트로부터 견인력을 가한 경우가 상악 제1, 2대구치 간 구개면에 식립된 미니 임플랜트로부터 견인력을 가한 경우보다 전치부의 후하방 경사 정도가 컸다. 이러한 결과로써 치아이동 시 피질골 절단술의 효과와 저항중심에 대한 교정력 벡터 조정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상하악 동시 악교정술시 안정성에 관한 연구;[Ⅰ] 강선 고정에 의한 방법 (STABILITY OF SIMULTANEOUS MAXILLARY AND MANDIBULAR SURGERY;[Ⅰ]Wire osteosynthesis)

  • 김여갑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2권2호
    • /
    • pp.9-20
    • /
    • 1990
  • A series of 19 cases with maxillary hyperplasia and mandibular retrognathia were operated on by simultaneous superior repositioning of the maxilla after Le Fort I osteotomy and anterior repositioning of the mandible afte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ies with or without osteotomy of the inferior border of the mandible. These were evaluated by retrospective cephalometric and computer analysis for the longitudinal skeletal and dental changes for an average of 17.1 months after surgery. For stabilization of the osteotomized segments, the authors used wire osteosynthesis by means of bilateral infraorbital and zygomatic buttress suspension wire at the maxilla, and direct interosseous wire at the split segments of the mandibular rami. Results show generally good stability after simultaneous maxillary and mandibular surgery with wire osteosynthesis, and a minimal to moderate tendency toward skeletal and dental relapse. This article is a preliminary study to defy the efficiency of the wire osteosynthesis (wo)compared with rigid internal fixation (RIF) for simultaneous maxillary and mandibular surgery. 1. The vertical relapse rate of the A point after superior repositioning of the maxilla is 2.2%. 2. The horizontal relapse rate of the B point after advancement of the mandible is 18.3%. 3. The condyle is distracted inferiorly and slightly posteriorly at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4. At the long term follow up examination, the condyle presents tendency of return to the preoperative position. 5. Condylar segment angle is decreased at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and at the long term follow up evaluation, the angle is increased. 6. Gonial angle is increased at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and then is decreased at the long term follow up evaluation. 7. The dentition is satisfactory with acceptable movement at the long term follow up evaluation. 8. At the mandibular free body analysis, genioplasty shows good stability. 9. Wire osteosynthesis provides excellent stabilization for the simultaneous maxillary and mandibular surgery.

  • PDF

상악 전치부에서 치관 형태에 따른 치은의 특성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crown form and gingival feature in upper anterior region)

  • 김수형;정현주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3호
    • /
    • pp.761-776
    • /
    • 2005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 of the clinical crowns in the maxillary anterior segment and the clinical feature of gingiva such a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gingival thickness. Fifty periodontally healthy subjects were clinically examined regarding the probing depth, the thickness of the free gingiva, and the width of the keratinized gingiva. From study models of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the width at cervical third(CW) and the length(CL) of the clinical crown, the papillary height, and the gingival angle of the 6 anterior teeth were measured. Each tooth was classified into 4 groups (longnarrow, NL; narrow, N; wide, W; short-wide, WS) according to CW/CL ratio and all the data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NL and WS using independent t-tes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tooth region with the gingival thickness at the level of sulcus bottom,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and gingival angle as the dependent variables. As the results, the NL group of the upper anterior teeth displayed, higher papilla height, and narrower keratinized gingiva, more acute gingival angle resulting in pronounced "scalloped" contour of the gingival margin, compared to the WS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NL and WS with respect to probing depth and the gingival thickness. The regression analyses demonstrated that the gingival thickness in central incisor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to the mesio-distal width and bucco-lingual width of the crown, and labial probing depth.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abial probing depth in central incisors and with proximal probing depth and gingival angle in lateral incisors, and with labial and proximal probing depth, and gingival angle in canines. The gingival angl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apillary height and CW/CL ratio and additionally with proximal probing depth in central incisors, with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in lateral incisors, and with labial probing depth and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in canin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orm of clinical crown in upper anterior region could influence the clinical feature of gingiva and the influencing factors might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ooth region.

상악 6전치부의 후방견인시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e vertical location of the center of resistance for maxillary six anterior teeth during retraction using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 이혜경;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25-438
    • /
    • 2001
  • 이 연구는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상악 6전치부에 피질골 절단술을 시행한 경우와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서 상악 6전치부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다양한 후방견인력을 가하였을 때 상악 6전치의 초기 치아이동을 통하여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를 계측, 비교하고 저항중심의 변화양상을 관찰하며, 힘의 크기변화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변화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상악 6전치와 치주인대 및 치조골의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제작한 후, 상악 6전치부에 부착된 설측장치와 이 장치가 부착된 치아군을 한 개의 견고한 연결체로 가정하였다. 유한요소모델에서 사용된 전체요소의 수는 14,584개, 전체 절점의 수는 17,292 개였고, 힘 체계의 분석을 위해 미국 Swanson Analysis System사의 범용 유한요소 프로그램 인 ANSYS(Ver. 5.5A)를 사용하였다. 저항중심은 힘이 가해질 때 치아가 평행 이동될 수 있는 힘의 적용부위라 정의하고, 설측 장치에서 연장된 Extension arm의 7개의 Level에 편측당 각각 200 gm, 250 gm, 300 gm, 350 gm의 설측 후방견인력을 가하였을 때 치아의 절단연과 치근첨에서의 변위를 읽어 평행이동이 일어나는 위치를 복원법으로 계산하여 저항중심의 위치를 계측,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 6전치부의 초기치아이동에서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는 Level 4와 Level 5사이, 즉 치경부에서 치근단 쪽으로 6.76 mm, $44.32\%$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였다. 2. 피질골 절단술 시행후, 상악 6전치부의 후방 견인시 저항중심의 수직적위치는 Level 4와 Level 5사이, 즉 치경부에서 치근단 쪽으로 7.09 mm, $46.38\%$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였다. 3. 후방견인력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치아의 변위량은 커졌으나, 피질골 절단술 시행 유무에 관계없이 후방견인력의 크기변화는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피질골 절단술 시행시에 저항 중심의 수직적 위치는 치근단 쪽으로 이동하였고, 그 변위량은 피질골 절단술 시행 시가 컸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상악 6전치부 후방견인시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는 치경부에서 치근단 쪽으로 치근길이의 $44.32\%$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였고, 피질골 절단술 시행시에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는 치경부에서 치근단 쪽으로 치근 길이의 $46.38\%$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여 피질골 절단술 시행하지 않은 경우보다 치근단 쪽으로 이동되었으며, 후방견인력의 크기 변화에 따라 저항 중심의 수직적 위치는 변하지 않았다.

  • PDF

상악 유중절치 조기 상실시 개창 금속관을 이용한 심미적 수복 (THE ESTHETIC RESTORATION BY OPEN-FACED STAINLESS STEEL CROWN IN PREMATURE LOSS OF MAXILLARY PRIMARY INCISORS)

  • 이정진;김성오;이제호;최형준;손흥규;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17-721
    • /
    • 2006
  • 상악 유절치가 조기 상실되는 경우는 유년기 우식증이나 외상 등으로 인하여 종종 발생한다. 상악 유절치 조기 상실시 치아간의 접촉이 긴밀하거나 총생이 있는 유치열의 경우와 유견치 맹출 전에 유절치가 상실된 경우에는 공간의 상실이 일어날 수 있으나, 그 외에 치간 공간이 있는 유치열이나 유견치 맹출 후에 유절치가 상실된 경우에서는 공간의 상실이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절치 조기 상실시 수복의 목적은 공간 유지라기 보다는 심미성 회복과 발음문제 해결, 혀내밀기 등의 구강습관 방지에 있다고 하겠다. 본 증례에서는 4세 5개월 된 여아에서 ECC로 인하여 상악 우측 유중절치를 조기 발거한 후 심미적 문제 해결을 위하여 상악 우측 유중절치 부위를 납접한 개창 금속관으로 수복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 PDF

Laser 반사측정법을 이용한 전치부 후방 견인시 치조골 높이와 치근길이 감소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Change of Locations of the Center of Resistance According to the Decrease of Alveolar Bone Heights and Root Lengths during Anterior Teeth Retraction using the Laser Reflection Technique)

  • 민영규;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5-181
    • /
    • 1999
  • 교정치료시 치아와 주위조직의 부작용을 최소로 하면서 최대의 치료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치료역학을 각 환자의 치아 및 주위 해부학적 환경에 맞도록 개인화 시켜야한다. 특히 성인 교정시 문제되기 쉬운 치근흡수 또는 치주질환으로 인한 치조골 손실로 인하여 치관/치근 비율이 변했을 때 치아의 저항중심위치의 변화와 관련된 생역학적 반응의 차이에 주의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치주조직뿐만 아니라 다양한 비정상적 치주 및 치아상태에서 치관/치근 비율이 변하였을 때 일정한 교정력하에서의 치아의 초기이동 양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성인의 인체 건조 두개골 및 하악골상에서 laser 반사측정법 및 lever and pulley force applicator와 photodetector를 이용하여, 상악 6전치군을 대상으로는 치조골높이를 각각의 치아에 대하여 2mm씩 총 8mm까지 감소시켰고, 하악 6전치군을 대상으로는 치근길이를 각각의 치아에 대하여 2mm씩 총6mm까지 감소시키면서, 이렇게 다양하게 정량화된 변수들 하에서 상하악6전치군의 저항중심의 위치변화를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초기상태에서 상악 6전치군의 초기이동시의 저항중심점의 위치는 6전치 전체 평균치아 치근의 치경부(CEJ)로부터 치근첨 방향으로 약 $42.4\%$되는 위치에 있었으며, 각 치아의 치조골의 높이가 감소할수록 저항중심점은 치근첨방향으로 약 $76.7\%$되는 부위까지 이동하였다. 2. 상악 6전치군에서 저항중심점의 6전치 전체 평균 치조정으로부터의 거리는 치조골의 감소와 함께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치조골내의 평균 치근의 길이에 대한 비율은 치조골의 감소에 상관없이 약 $33\%$내외에서 비교적 일정하였다. 3. 초기상태에서 하악 6전치군의 초기이동시의 저항중심점의 위치는 6전치 전체 평균치아 치근의 CEJ로부터 치근첨방향으로 약 $43\%$되는 위치에 있었으며, 각 치아의 치근의 길이가 감소할수록 이 비율은 약 $54\%$까지 증가하였다. 그러나 CEJ로부터 저항중심점까지의 거리는 5.3mm전후로부터 3.3mm내외까지 감소하여 치근의 길이가 감소할수록 저항중심점이 CEJ방향으로 이동하였다. 4.치조골 또는 치근흡수시, 각각의 단위 흡수량에 따른 저항중심위치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초기에는 치조골이 감소 될 때가 더 컸으나 전체 평균 치근길이의 중간부위에서의 영향은 비슷했다.

  • PDF

한국인에서의 분절골 절단술 후 연조직 변화의 평가 (Evaluation of Soft Tissue Change after Segmental Osteotomy in Korean)

  • 박재억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75-979
    • /
    • 1998
  • 하악 전치부 근첨하 골전단술을 동반한 상악 변형 분절골 절단술 목적은 양치조성 혹은 양악 전돌 환자로부터 가장 좋은 치료 결과를 얻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부방사선 계측 분석과 정면 사진을 비교 분석해 술 후 연조직 변화를 조사하였다. 구순 전돌이 효과적으로 감소되었으며 비순각은 증가하였다. 코가 약간 넓어졌으나 결과는 비교적 양호하였다. 절단된 골분절의 혈액공급은 잘 유지되었다. 이것은 많은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수술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