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STHETIC RESTORATION BY OPEN-FACED STAINLESS STEEL CROWN IN PREMATURE LOSS OF MAXILLARY PRIMARY INCISORS

상악 유중절치 조기 상실시 개창 금속관을 이용한 심미적 수복

  • Lee, Jung-J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and Oral Research Center, Yonsei University) ;
  • Kim, Seong-Oh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and Oral Research Center, Yonsei University) ;
  • Lee, Je-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and Oral Research Center, Yonsei University) ;
  • Choe, Hyeong-J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and Oral Research Center, Yonsei University) ;
  • Son, Heung-Kyu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and Oral Research Center, Yonsei University) ;
  • Choi, Byung-Ja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and Oral Research Center, Yonsei University)
  • 이정진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구강과학연구소) ;
  • 김성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구강과학연구소) ;
  • 이제호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구강과학연구소) ;
  • 최형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구강과학연구소) ;
  • 손흥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구강과학연구소) ;
  • 최병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구강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6.11.30

Abstract

Premature loss of maxillary primary incisors often results from early childhood caries (ECC), trauma. While space maintenance in the posterior region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when there is early loss of primary molars, the anterior segment appears to be stable, even with the early loss of several incisors, once the primary canines erupt. However, collapse of anterior arch integrity is evident in cases where incisor teeth are in a crowded dentition prior to extraction or lost before the eruption of the primary canines. So, when early loss of maxillary primary incisors, the aim of restoration is esthetics, speech problem, oral habit such as tongue thrusting than space maintenance. This paper reports that the esthetic problem due to premature loss of maxillary incisors can be successfully resolved by soldered open-faced stainless steel crown.

상악 유절치가 조기 상실되는 경우는 유년기 우식증이나 외상 등으로 인하여 종종 발생한다. 상악 유절치 조기 상실시 치아간의 접촉이 긴밀하거나 총생이 있는 유치열의 경우와 유견치 맹출 전에 유절치가 상실된 경우에는 공간의 상실이 일어날 수 있으나, 그 외에 치간 공간이 있는 유치열이나 유견치 맹출 후에 유절치가 상실된 경우에서는 공간의 상실이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절치 조기 상실시 수복의 목적은 공간 유지라기 보다는 심미성 회복과 발음문제 해결, 혀내밀기 등의 구강습관 방지에 있다고 하겠다. 본 증례에서는 4세 5개월 된 여아에서 ECC로 인하여 상악 우측 유중절치를 조기 발거한 후 심미적 문제 해결을 위하여 상악 우측 유중절치 부위를 납접한 개창 금속관으로 수복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