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urity stage

검색결과 559건 처리시간 0.04초

Comparison of Forage Quality, Productivity and β-carotene Content according to Maturity of Forage Rye (Secale cereale L.)

  • Zhao, Guo Qiang;Wei, Sheng Nan;Li, Yan Fen;Jeong, Eun Chan;Kim, Hak Jin;Kim, Jong Geu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23-130
    • /
    • 2020
  • These experiments were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of rye on forage quality, productivity and β-carotene concentration affected by maturity in Pyeongchang region. Limited information are available about how forage quality and β-carotene content ar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rye harvested every 5 days, from April 25 to May 31 (April 25, April 30, May 4, May 9, May 15, May 21, May 25 and May 31). Dry matter (DM) content, plant height, DM yield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yield increased continuously with the progressed maturity. However, crude protein (CP) content,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and relative feed value (RFV) decreased markedly with the delay of harvesting, while TDN content decreased from April 25 till May 15, then followed by a stable fluctuation. Conversely,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value increased and then fluctuated slightly after blooming stage. For quality of plant parts, stem contained the lowest CP content and RFV value, and the highest ADF and NDF contents compared with other parts, while the grain showed the higher CP, IVDMD, RFV and lower fiber contents than others. With the plant matured, leaf proportion decreased while stem and grain proportion increased, and feed value of all the three parts decreased till blooming stage and followed by a stable phase. β-carotene concentration showed its highest on jointing stage, and then fell down sharply on the sequential stages. In conclusion, harvest around May 15 (blooming) is proper for forage rye if directly consumed by livestock as green chop in Pyeongchang under the consideration of both nutritive yield and forage quality.

성숙기 브랜드 재활성화를 위한 캠페인전략 연구 -백설 브랜드를 중심으로- (A Study on Campaign Strategy of Brand Revitalization in Maturity Stage -focused on BEKSUL-)

  • 안혜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518-1524
    • /
    • 2012
  • 1953년 탄생한, 백설은 브랜드 수명주기 상 성숙기에 위치해 있다. 백설은 브랜드 쇠퇴를 미연에 방지하고 브랜드 수명을 늘리기 위해 2009년, 브랜드 노후화에 대한 예방책으로 로고와 광고 리뉴얼을 시도하였으나,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후, 2011년, 독립 브랜드로서 재탄생을 맞아 로고의 변경과 리포지셔닝 광고를 집행하였고,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더불어 브랜드 확장에 대한 의지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두 번에 걸쳐 단행된 백설 재활성화 캠페인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성숙기 브랜드 재활성화 캠페인 전략의 핵심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재활성화를 위한 전략으로 브랜드 참신성을 최우선으로 하기보다는 브랜드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으며, 브랜드 자산을 토대로 브랜드 충성도를 굳건히 하는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특히, 백설과 같은 식품브랜드는 시간을 브랜드 노후화의 요인으로 판단하고 부정하기보다는 브랜드 자산화함으로써 소비자에게 믿음과 신뢰를 소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논에서 생산된 옥수수의 수확시기가 곤포사일리지의 사료가치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rvest Stage of Corn on Nutritive Values and Quality of Roll Baled Corn Silage Manufactured with Corn Grown in Paddy Land)

  • 최기춘;조남철;정민웅;이경동;김종근;임영철;김원호;오영균;최진혁;김천만;정두근;최종만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5-74
    • /
    • 2011
  • 본 시험은 수확시기가 옥수수 원형 곤포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0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수행되었다. 옥수수 사일리지 전용 품종인 광평옥을 이용하여 숙기별 3회(유숙기, 황숙기 및 완숙기)에 걸쳐 수확을 하여 사일리지로 조제하였다. 숙기가 진행됨에 따라 옥수수 원형 곤포사일리지의 조단백질과 TDN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섬유소인 NDF 및 ADF 함량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숙기별 in vitro 건물 소화율은 비슷하였다. 숙기별 사일리지의 pH는 3.8~4.0을 유지하였으며, 숙기별 차이는 크지 않았다. 또한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초산 함량은 감소되었으나 젖산 함량은 증가되었다. 그리고 품질등급은 완숙기> 황숙기> 유숙기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양질의 옥수수 원형 곤포사일리지 제조를 위해서는 황숙기에 수확하여 사일리지를 만드는 것이 옥수수 사일리지 발효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잡초로 취급된 유채의 사일리지 제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Silage Manufacture of Rape Treated as Weed)

  • 최기춘;류재혁;정민웅;박형수;김원호;김다혜;김천만;김종근;김맹중;임영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05-41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관상용으로써 가치가 없어지면 잡초로 변해 버린 유채를 조사료원으로써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서 천안에 위치한 국립축산과학원 자원개발부 초지사료포장에서 수행되었다. 유채는 생육시기별 3회(개화기, 유숙기, 호숙기)에 걸쳐 수확을 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한 후 사료가치 및 품질을 조사하였다.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수분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예건에 의해서 사일리지 제조 적기 수분함량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호숙기는 거의 헤일리지 수준의 수분함량을 나타냈다. 유채의 원형곤포 사일리지는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p<0.05) 섬유소인 ADF 및 NDF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그리고 유채 사일리지의 TDN 함량도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되었다(p<0.05). 수확시기에 따른 사일리지의 pH는 3.8~4.4을 유지하였으며, 호숙기의 pH는 개화기나 유숙기 보다 높았다(p<0.05) 그리고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젖산 함량은 증가하였으나(p<0.05) 초산 함량은 감소하였다(p<0.05). Flieg법에 의한 유채의 원형곤포 사일리지의 품질등급은 개화기(100), 유숙기(100) 및 호숙기(88) 모두 우수등급을 나타났다.

수확시 숙기, 예건 및 유산균첨가제 처리가 호밀 원형곤포 사일리지의 건물 손실률 및 형태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rvest Maturity, Wilting and Inoculant on the DM Losses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Round Baled Rye Silage)

  • 김종근;박형수;이상훈;김맹중;김종관;임영철;정의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83-289
    • /
    • 2015
  • 수확시 숙기와 조제방법이 호밀 라운드베일 사일리지의 건물 손실률과 형태변화에 대한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3가지 시험을 수행하였다. 호밀은 3번의 생육단계에 맞춰 수확하였으며 (수잉기, 출수기 및 개화기) i) 예건 (비예건, 단기예건, 장기예건)에 따른 변화, ii) 유산균첨가제 (무처리, 첨가제 A 및 첨가제 B) 처리에 따른 변화, iii) 비닐색 (백색, 흑색, 녹색)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수잉기 및 비예건 처리구에서 저장 2개월 후의 형태 변화가 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출수기 이후의 수확 처리구에서는 변화정도가 심하지 않았다. 첨가제 처리는 사일리지의 형태변화와 건물 손실률을 감소시켰다. 건물 손실률은 수확이 지연되거나 첨가제 처리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수잉기 처리에서는 형태변화가 심하게 관찰이 되었는데 첨가제 처리구가 비 처리구보다 형태변화가 더 심하게 일어났다. 흑색비닐 처리는 다른 비닐색에 비해 형태변화가 심하게 일어났 으나 건물 손실률은 비닐색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상관관계에서는 수확시 숙기와 예건기간이 형태변화와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건물함량은 사일리지의 형태변화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동해안 기름가자미 Glyptocephalus stelleri (Schmidt)의 성숙과 산란 (Maturity and Spawning of Korean Flounder Glyptocephalus stelleri (Schmidt) in the East Sea of Korea)

  • 차형기;권혁찬;이성일;양재형;장대수;전영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63-271
    • /
    • 200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동해안에 서식하는 기름가자미(Glyptocephalus stelleri)의 성숙과 산란에 관한 연구로, 2005년 5월부터 2008년 9월까지 동해구기선저인망어업에 의해 어획된 시료를 구입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암컷의 GSI 값은 12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3~5월에 높은 값을 보였고, 6월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수컷도 암컷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생식소 발달과정 및 생식소 숙도지수의 월 변화로부터 기름가자미의 산란기는 3~6월, 주 산란기는 4~5월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난소의 생식주기는 미숙기(7~11월), 중숙기(12~2월), 완숙기(3~4월), 휴지기(5~6월)로 구분되었다. 포란수는 최소 15,146개(TL 24.1 cm)에서 최대 101,491개(TL 38.1 cm)로 계수되었고, 전장(TL)과 포란수(F)와의 관계식은 $F=0.0004TL^{3.449}$ ($R^2=0.663$)으로, 체장이 커질수록 포란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란에 참여하는 암컷의 성숙체장은 25.6 cm로 추정되었다.

한국 남해안에 서식하는 보구치(Pennahia argentatus)의 성숙과 산란 (Maturity and Spawning of White Croaker Pennahia argentatu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전복순;최정화;임양재;이해원;김재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36-42
    • /
    • 2020
  • The maturation and spawning of white crocker Pennahia argentatus were investigated using samples collected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2018. We analysed monthly changes in maturity stage, gonad-osomatic index (GSI), total length (TL) at 50% group maturity. The spawning period was May to July. Fecundity varied between 71,627 and 888,041 egg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cundity and TL of the fish was expressd in the fecundity equation as F=0.2198TL4.2784 (r2=0.8423). The percentage of sexually mature females estimated from a logistic function was over 50% for the size group 19.33 cm (total length, TL).

강원도 연안 대문어의 성숙과 산란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giant Pacific octopus, Octopus dofleini in the coast of Gangwondo, East Sea)

  • 이성일;양재형;이해원;김종빈;차형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0권2호
    • /
    • pp.154-161
    • /
    • 2014
  •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giant Pacific octopus, Octopus dofleini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samples collected in the coast of Gangwondo, East Sea,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09. Individuals of mature stage had a higher occurrence rate from February to May, and gonadosomatic index (GSI) also showed a higher value from February to May than the other months. For that reason, the spawning period was estimated from February to May with the main spawning period from March to May. The total number of eggs in the fecundity (F) ranged from 9,045 in 11.0 kg (TW) to 148,682 in 16.5 kg (TW), which was proportional to total weight (TW),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weight and fecundity was $F=0.185{\times}TW^{2.238}$ ($R^2=0.389$). The total weight at 50% group maturity (TW0.5) of female was estimated to be 12.2 kg.

부정교합자(不正咬合者)의 사춘기성장(思春期成長)과 수완(手腕) 부골(部骨) 성숙단계(成熟段階)에 관(關)한 누년적(累年的) 연구(硏究) (A LONGITUDINAL STUDY ON THE PUBERTAL GROWTH PEAK AND MATURITY STAGES OF THE HAND-WRIST IN MALOCCLUSION)

  • 김형일;이동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23-133
    • /
    • 1989
  • To predict the pubertal growth peak in stature and study the skeletal maturity degree using hand-wrist radiograph, the author used the 70 malocclusions (male 24, female 46). After longitudinal measurement of stature and skeletal maturity indicators of hand-wrist radiographs were taken during 4 years, the rsults were as follows. 1) The pubertal growth peak in stature occurred mainly at SMI 6-7 (56.5%) in female, SMI 5-6 (37.5%), 6-7 (37.5%) in male (Table 5). 2) It was suggested that the pubertal growth peak in stature was already passed, if SMI 8 occurred. 3) Ages of SMI in female were about 2 years earlier than those of SMI in male, and the sexual difference was gradually decreased in puberty. 4) Duration of SMI was longest at SMI 6-7 in both sex and the mean was 8.5 months. After this stage, the velocity of skeletal maturity in female was decreased than in male. 5)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ach SMI and pubertal growth peak was very high (Table 8).

  • PDF

한국 서해에 출현하는 용가자미, Cleisthenes pinetorum 암컷의 성숙과 산란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Pointhead Flounder Cleisthenes pinetorum in the West Sea of Korea)

  • 최동혁;윤병일;이승환;권대현;김맹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575-582
    • /
    • 2022
  • This study revealed the reproductive biology of pointhead flounder Cleisthenes pinetorum, in the middle of the West Sea of Korea. We collected samples using gill net and drag net fisheries in coastal waters from January to December 2019. Mmonthly gonodosomatic index and maturity stage results showed that the spawning period was October to December, and the females grew faster than the males. The fecundity ranged from 16,728 to 1,039,616 number of egg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L and fecundity (F) was 0.0000003TL4.7434 (R2=0.4898). The size-frequency distribution of eggs suggested that C. pinetorum spawm once during a spawning period. The length at 50% maturity for females was estimated to be 18.9 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