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ing behavior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3초

모래주사 Microphysogobio koreensis(Cyprinidae)의 산란행동 (Spawning Behavior of Microphysogobio koreensis(Cyprinidae) in Korea)

  • 박종성;윤승운;김재구;김현태;박철우;김형수;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14
    • /
    • 2021
  • 멸종위기 담수어류 모래주사의 산란행동을 조사하기 위해 산란시기인 2012년 4월부터 5월까지 전북 임실군의 섬진강 일대에서 연구를 실시하였다. 모래주사의 산란은 무리산란 (group spawning)하는 어류와 달리 암수 한 쌍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수중으로 대량의 생식세포를 방출하여 산란하는 원시적인 생식모드 (broadcast spawner)로 확인되었다. 자연에서 모래주사의 산란행동은 휴식(resting), 유혹(male chase), 자극(body beating), 평행유영(parallel swim), 암컷의 산란회피(female withdrawal), 경쟁(male competition), 산란(spawning), 산란 후 난을 보호하는 행동은 보이지 않아(not guard) 총 8가지 행동을 보인 반면 수조 내에서는 휴식, 유혹, 자극, 평행유영, 산란, 산란 후 난을 보호하지 않은 6가지 행동이 관찰되었다. 특히 산란전 행동은 수조 내에서 보다 자연상태에서 더 빈번하게 일어났다. 이와 같은 행동적 차이는 작고 좁은 수조에서의 행동적 제약에 의한 결과로 추정된다.

호박과실파리[Bactrocera (Paradacus) depressa (Shiraki)] 성충의 야외 망사상 내 짝짓기 행동 (Mating Behavior of the Pumpkin Fruit Fly [Bactrocera (Paradacus) depressa (Shiraki)] in a Field Cage)

  • 김태흥;전성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87-490
    • /
    • 2008
  • 호박과실파리의 유충은 전북 완주군 진안의 호박 피해과에서 채집하였다. 실내 사육실 $24{\pm}2^{\circ}C$, RH $65{\pm}5%$, 14L:10D에서 용화를 유도하였으며 번데기에서 우화한 성충은 전지분유를 기본으로 한 diet를 제공하였다. 호박과실파리 짝짓기 관련 행동의 관찰은 우화 후 40일의 암, 수 성충을 대상으로 야외 케이지를 이용하여 2008년 7월과 10월 초 오후 자연광 아래에서 실시하였다. 성충 수컷 날개 떨림의 광 조건은 200 lux-20 lux였고, 30 lux에서 활발하였다. 날개 떨림 후 성충 암, 수의 올라타기는 150 lux-30 lux 사이에서 관찰 되었으며, 올라타기도 30 lux에서 빈도가 높았다. 교미의 경우 올라타기 광 조건과 유사한 150 lux-20 lux에서 관찰되었다. 날개 떨림 중의 수컷은 암컷과 교미 성공률이 64% 수준으로 날개 떨림 행동을 통해 이끌려 날아온 암컷이 수컷의 앞쪽에 있을 때 대부분 교미가 이루어졌다. 날개 떨림을 하지 않은 경우 앞쪽, 옆쪽, 그리고 어느 쪽에 암컷이 있어도 교미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최적의 야외유인을 위한 복숭아명나방(Dichocrocis punctiferalis)의 성페로몬 조성 (Sex Pheromone Composition for Field-trapping of Dichocrocis punctiferalis (Lepidoptera: Pyralidae) Males)

  • 정진교;한경식;최광식;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5-110
    • /
    • 2000
  • 사과, 복숭아와 밤 열매 등을 가해하는 주요해충 중의 하나인 복수아명나방(Dichocrcis punctiferalis)을 성페로몬을 이용하여 발생예찰하기 위해 성페로몬 성분분석과 행동관찰, 성페로몬 조성별 야외포획실험을 수행하였다. 처녀암컷의 교미행동은 16L:8D의 광주기 $26\pm$1$^{\circ}C$ 온도조건에서 소등 후 4시간째에, 수컷의 가는털뭉치 돌출행동은 5시간째에 최고를 나타내었다. 이시간대의 암컷 복부 끝 헥산추출물에서는 E10-hexadecenal과 Z10-hexadecenal이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의해 85:15의 비율로 검출되었다. 야외에서 수컷 성충을 유인하기 위해 두 성분의 합성화합물을 이용하여 사과 및 복수아와 밤 과수원에서 포획실험이 수행되었는데 E10-hexadecenal과 Z10-hexadecenal이 70:30~80:20의 비율에서 가장 많이 포획되었고, 이와 유사한 조성에서 수컷의 가는털뭉치 돌출반응과 상승비행반응이 관찰되었다.

  • PDF

재조합 인간상피세포 성장인자(rhEGF, DWP401)가 랫드의 수태능, 태자와 신생자 발달 및 모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Fertility and Reproductive & Developmental Toxicity Study on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hEGF, DWP401) in Rats)

  • 박귀례;한순영;신재호;이유미;김판기
    • 약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90-204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or its effects on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toxicity of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hEGF) in Sprague-Dawley rats. Male rats were administered rhEGF at doses of 1, 10, 100, and 1000$\mu$g/kg/day, respective1y, by subcutaneous injection from 63 days before and throughout to mating period until the day before sacrifice. Female rats were administered rhEGF at the same doses from 14 days before mating to day 20 of gestation or to day 21 of lactation. We examined the male and female fertility indices and maternal toxicity of F0 parental animals. Also, we examined the external, visceral, or skeletal malformation of fetuses, growth and development, behavior, and/or reproductive performance of F1 animals. At the highest dose (1,000 $\mu$g/kg), the mean body weights of F0 anima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males and females at 3 or 2 weeks after treatment, respective1y. No clinical signs and food intakes were observed at any time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by rhEGF treatment. In autopsy examination, the relative and absolute liver weight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sexes of 1,000 $\mu$g/kg. At the highest dose (1,000 $\mu$g/kg),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pregnancy period and the number of dead fetuses. Moreover, significant increase of mean fetal body weight and decrease of number of live fetuses, which related to the difficult dilivery were observed in highest dose group. In Fl examination, no adverse effects on external, visceral, and skeletal malformation, physical and functional development, behavior or reproductive ability of Fl animals were observed in any group.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treated groups in copulation or fertility indices of Fl anima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hEGF had no adverse effect on fertility and reproductive ability of Sprague-Dawley rats.

  • PDF

사과굴나방(Phyllonorycter ringoniella)의 생식행동과 성페로몬샘 구조 (Sexual Behavior and Sex Pheromone Gland of the Apple Leafminer, Phyllonorycter ringoniella(Lepidoptera: Gracillariidae))

  • 정창훈;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23-330
    • /
    • 1997
  • 우리나라 사과나무 잎의 주요해충인 사과굴나방(Phyllonorycter ringoniella)의 발생예찰을 위한 성페로몬조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그들의 인공사료 개발가능성, 생식행동, 성페로몬샘의 구조 및 성페로몬성분을 분석하였다. 사과굴나방 유충을 위한 인공사료를 다각도로 검토하였었지만 거의 돌아다닐 수 없는 1령유충에 인공사료를 어떻게 잘 공급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와 미생물의 오염을 극복하는 문제가 중요한 과제로 나타났다. 사과굴나방 암컷들의 산란에는 사과잎 추출물이 유인효과가 좋았으며, 산란기질로 사용하는 종이의 재질에 따른 차이는 별로 없었다. 성충들의 유인 행동과 교미는 불이 켜진지 30분 이내에 가장 왕성하였으며, 우화 후 3-4일 된 성충들의 교미율이 가장 높았다. 성페로몬샘은 성충 암컷 복부의 8번째와 9번때 마디 사이에 고리 모양을 이루고 있었으며,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와 GC-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암컷 복부의 8번째와 9번째 마디 사이에 고리 모양을 이루고 있었으며,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와 GC-mass spectrometry를 이용해 암컷 복부 추출물을 분석해 본 결과 (E, Z)-4, 10-tetradecadienyl acetate가 성페로몬의 주성분으로 나타났고, 그 외에 (Z)-10-tetradecenyl acetate로 예상되는 물질이 탐지되었으나, 정확하게 확인할 수 는 없었다.

  • PDF

규칙화된 Fe-Al 계 금속간 화합물의 산화특성과 미끄럼 마모거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xidation and Sliding Wear Behavior of Ordered Fe-Al Intermetallic Alloys)

  • 김용석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44-148
    • /
    • 1999
  • The relationship between oxidation and sliding wear behavior of Fe-28 at%. Al alloys with B2 ordered structure has been investigated. Sliding wear tests of the alloys have been carried out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using a pin-on-disk wear tester. The wear rate of the ordered alloys in an oxygen atmoshpere was found to be much lower than in an oxygen atmosphere showed that Fe2O oxides formed on the wearing surface. The oxide layer prevented direct contact of the two mating materials and therefore improved wear resistance of the Fe-Al intermetallic alloy. It was found that the surface Al2O3 oxide layer which provides good oxidation resistance and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broke down easily and didnot function properly as an oxidation barrier.

  • PDF

Physical Feature, Physiological Character and Behavior Study of Gayal(Bos frontalis)

  • Giasuddin, M.;Islam, M.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1호
    • /
    • pp.1599-1603
    • /
    • 2003
  • The physical feature, physiological character and behavior studies were conducted with fifteen newly collected gayals in Bandarban hill tract area of Bangladesh. Their morphology is different from domestic cattle. The range of pulse rate, body temperature and respiration rate were 47 to 75 per minute, 37.78 to $38.88^{\circ}C$ and 20 to 40 per minute, respectively. These physiological values vary with different age group and seasonal variation. In hematological feature, the average findings were RBC $7.01{\pm}0.52$ million/cu.mm, WBC $14.3{\pm}3.69$ thousand/cu.mm, hemoglobin concentration $9.81{\pm}2.25gm%$, PCV $35.86{\pm}3.68%$. In differential WBC count neutrophils $28.23{\pm}1.75%$, lymphocytes $62{\pm}2.05%$, monocytes $4.4{\pm}1.34%$, eosinophils $5{\pm}2.49%$ and basophils $0.4{\pm}0.51%$. In behavior study, the animal shows browsing nature on hill slopes. They are watchful in new environment, become excited and nervous with strangers. Heated female gayals response for mating with domestic bull.

조명나방, Ostrinia furnacalis (Guenee) (Lepidoptera: Pyralidae)의 유인행동과 성페로몬샘 (Galling Behavior and Sex Pheromone Gland of the Asian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Guenee) (Lepidoptera: Pyralidae))

  • 박재우;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6-73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조명나방 성충의 우화시간대, 나이에 따른 암컷의 유인해동양상과 교미능역, 1일부터 5일된 암컷이 분비한 성페로몬에 대한 3일된 수컷의 반응 그리고 성페로몬샘의 구조와 위치를 조사하였다. 광주기를 16L/8d로 햇을 때 성충운 일잔벅으로 암시간대 시작 한시간 이전부터 1~2시간이후까지 우화 하였다. 그리고 2일과 3일된 암컷ㅇ에서 6시부터 7시 사이에 가장 황성한 유인행동을 보였으며, 3일된 암컷에 대한 수컷의 반응이 암시간대 5~8 시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미쌍은 암시간대 4~7시간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1일부터 4일된 암컷중 성페로몬샘을 돌출시킨 개체들은 65%이상의 교미율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성페로몬샘을 돌출한 2~3일된 암컷은 1~5일된 각각의 수컷과 60%이상의 교미율을 보여주었다. 암컷의 성페로몬샘으로 추측되는 두꺼운 세포층들은 복부 8번째, 9번째, 그리고 9번째와 10번째 사이의 막질성 표피층에 위치하고 있었다.

  • PDF

분변내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측정을 통한 멸종 위기 침팬지의 번식형태와 임상적용 (The Reproductive Patterns and Clinical Application of Endangered Common Chimpanzees by Monitoring the Steroid Hormone Measurements in Fecal Samples)

  • 정소영;김미영;정유정;장유니;임양묵;윤용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2호
    • /
    • pp.167-172
    • /
    • 2011
  • 멸종 위기에 처한 침팬지에서 연중번식주기와 무월경, 번식주기, 임신진단을 포함한 번식형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형광항체 분석법을 사용하여 에스트라디올, 프로게스테론, 테스토스테론 호르몬 대사산물과 인간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침팬지의 번식능력은 연령이 번식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인자가 아니며, 개체별 번식능력의 차이, 산과질환의 유무, 배우자와 합사한 조건에서 나타나는 성적행동의 차이 같은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본 연구는 침팬지의 종보전과 인간과 연관된 폐경과 산과질환을 연구하는데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찰을 고려한 포일 저널베어링의 정특성 해석 (The Static Performance Analysis of Foil Journal Bearings Considering Coulomb friction)

  • 김경웅;이동현;김영철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24권6호
    • /
    • pp.378-385
    • /
    • 2008
  • In foil bearings, the friction between bumps and their mating surfaces is the major factor which exerts great influence on the bearing performance. From this point of view,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of the friction on the foil bearing performance by developing a number of analytical models. However, most of them did not consider the hysteretic behavior of the foil structure resulting from the friction. The present work developed the static structural model in which hysteretic behavior of the friction was considered. The foil structure was modeled using finite element method and the algorithm which determines the conditions of the contact nodes and the directions of the friction forces was used to take into account the friction. The developed model was integrated into the foil bearing prediction cod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riction on the static performance of the bearing.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multiple static equilibrium positions are presented for the one static load under the influence of the friction, inferring its great effects on the dynamic performance. However, the effect of friction on the minimum film thickness which determines load capacity of the bearing is neglig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