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26초

대학수학 기초학력 부진학생을 위한 기초수학 지도 방안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of basic mathematics for low achievement students in university general mathematics)

  • 표용수;박준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525-541
    • /
    • 2010
  • P대학에서는 교양수학 교과에 대한 기초학력 부진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하여, 대학 교육역량강화사업의 일환으로 수학카페 운영과 함께, 기초수학 특강, 개인지도 및 컴퓨터 활용학습 등을 시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름 및 겨울방학을 이용하여 기초수학 특강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중심으로 수학에 대한 기초학력 부진학생들을 위한 효율적인 기초수학 학습지도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의사소통 중심의 수학 쓰기 학습 전략이 수학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Communication-oriented Mathematical Writing Strategies Effect on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Propensity)

  • 김은지;전인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47-36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중심의 수학 쓰기 학습 전략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와 수학적 성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동질성이 검증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 쓰기, 문제해결 과정쓰기, 개념 설명쓰기 등 3가지 유형의 의사소통 중심 수학 쓰기 학습 전략을 활용한 수업을 하고, 비교집단에서는 교과서 및 지도서에 준한 일반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비교집단에 비교하여 실험집단의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수학적 성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잠재집단분석(LCA)에 의한 수학교사와 학생들의 신념유형 분석 (Analysis of Belief Types in Mathematics Teachers and their Students by Latent Class Analysis)

  • 강성권;홍진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17-39
    • /
    • 2020
  • 본 연구는 수학과 관련된 수학교사와 학생들의 신념을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 LC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학의 본질', '수학의 교수', '수학적 능력'에 대한 고등학교 수학교사 60명의 설문과 '수학교과', '수학문제해결', '수학학습', '자아개념'에 대한 고등학생 1850명의 설문에 대해 유사한 응답을 한 교사와 학생을 각각 소집단으로 분류하고, 그 신념특성을 분석하며 신념프로파일을 작성하였다. 관찰결과, 수학교사들은 '수학의 본질'에 대해 3개, '수학의 교수'와 '수학적 능력'에 대해서는 각각 2개의 신념소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자아개념'에 대해 3개, '수학교과', '수학문제해결', '수학학습'에 대해서는 각각 2개의 신념소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잠재집단분석은 수학적 신념을 귀납적으로 범주화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교사와 학생의 신념의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다.

방정식의 문제 만들기 활동에서 문제구조를 중심으로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Students' Problem Solving in process of Problem Posing for Equation at the Middle School Level)

  • 고상숙;전성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09-128
    • /
    • 2009
  • 2006년에 발표된 7차 수학과 개정시안의 교수학습활동에서는 더욱 확장된 문제해결능력과 창의적 사고로 나아가도록 문제 만들기 활동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Polya의 문제 만들기 전략에 따른 문제 만들기 수업을 통해 학생의 문제해결 과정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학생의 학습과정을 조사하는 것이므로 정성연구방법을 선택하여 중학교 방정식 내용을 중심으로 5차시에 걸친 문제 만들기 활동을 구성하여 중학교 2명의 협력학습과정을 관찰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문제해결에서 주어진 것과 구하려는 것을 알고 관계식을 세워서 알고 있는 수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풀이하는 과정에서 수학성적이 우수한 학생은 문제구조를 잘 파악하고 유사한 문제 또는 새로운 문제를 만들 때 자유롭게 변인을 구성하였는데 이렇게 문제의 외적구조를 정확히 파악한 배경에는 문제의 내적 구조와 관련깊은 대수적 사고가 잘 형성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문제를 해결할 때 주어진 것과 구하려는 것의 각각의 변인을 바꾸거나 첨가하여 새로운 문제를 구성할 때 학생들은 자신이 해결한 문제를 다시 보게 되어서 반성적 사고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 PDF

창의적 생산력 신장의 교육목표 이해를 위한 수학영재의 수학적 창의성 개념 탐색 (A study on the concept of mathematical creativity in the mathematically gifted aspect)

  • 이종희;김기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6권4호
    • /
    • pp.445-464
    • /
    • 2007
  • On considering the mathematical creativity of the gifted in mathematics, some points should be reflected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leaners, the gifted and of domain-special facts in mathematics. And the clear view of mathematical creativity of the gifted in mathematics makes a way to define the meanings of creative-productive ability and of creative products. Therefore to explicate the concept of mathematical creativity of the gifted in mathematics, researcher reviewed literacies of the concept of creativity in general fields, classical mathematicians, and school mathematics. In conclusion, first, mathematical creativity of the gifted in mathematics should be considered on the aspects of subject-mathematics, object-the gifted, and performing-gifted education. Second, it contains advanced problem solving matters on th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but reflect the process of recovery and reinvent and it is suggested in [fig.1] and [fig.2].

  • PDF

수학과 서술형 평가의 문항개발 사례 연구 - 4-나 단계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scriptive Problems in Grade 4 Mathematics)

  • 홍지연;김민경;노선숙;권점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335-352
    • /
    • 2008
  • 본 연구는 수학과 서술형 평가에 관한 문항개발 사례 연구로서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평가문항과 평가기준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평가문항과 평가기준의 개발절차를 마련하고 초등학교 4-나 단계의 각 단원에 해당되는 구체적인 서술형 평가 문항과 그에 대한 평가기준을 개발하였다. 개발 과정에서 문항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서술형 평가 문항과 평가기준을 초등학교 4학년 학급에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문제 중심 수업과 설명식 수업의 효과 분석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Problem Centered Instruction and Explanatory Instruction)

  • 백선수;김원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권2호
    • /
    • pp.103-11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blem Centered Instruction(PCI) and the Explanatory Instruction(El). Two classes of third grade children(69 children) were sampled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Chung-Buk and given a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CI group and the El group. This means that the PCI doesn't decrease the computational ability, even though the ordinary calculation methods are not taught in the PCI group. (2) The PCI group got score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El group on application problems. It may be interpreted that the PCI is more effective than the El in problem solving.

  • PDF

NCS(국가직무능력표준) 도입에 따른 스포츠계열 공공기관의 채용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 (An Analysis of Recruitment Importance and Priority of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in Sports Public Institution)

  • 김동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409-1417
    • /
    • 2020
  • 스포츠계열 공공기관 채용에 대한 중요도 우선순위를 알아봄으로써 체육계열 학생들의 공공기관 취업에 대한 가능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스포츠계열 교수 4명, 스포츠분야 NCS 전문위원 3명, 스포츠 공공기관 심사위원 2명, 공공기관 채용 담당자 2명 등 총 11명을 유목적 표집(purposeful sampling)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2020년 1월 3일부터 3월 12일까지 NCS 직업기초능력 주요 항목 요인을 사용하여 계층구조분석을 이용해 중요도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모든 자료는 통계처리를 하기 위해 Window 용 SPSS/PC (ver.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EC-2000을 이용하여 계층구조분석 하였다. 첫째, 스포츠계열 공공기관 채용 대영역에서 의사소통능력(.231), 조직이해능력(.177), 자원관리능력(.128), 대인관계능력(.110), 직업윤리(.082), 문제해결능력(.061), 정보능력(.056), 수리능력(.054), 자기개발능력(.052), 기술능력(.049) 순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평가항목에 있어서는 의사소통은 의사표현능력(.442), 수리능력은 기초연산능력(.512), 문제해결능력은 사고력(.722), 자기개발능력은 자기관리능력(.587), 자원관리능력은 시간관리능력(.531), 대인관계능력은 팀웍크능력(.382), 정보능력에서는 컴퓨터 활용능력(.677), 기술능력에서는 기술이해능력(.599) 순으로 분석되었다.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교육에서의 역동적 평가 방안 탐색 (The Dynamic Assessment for Lower Grades of Primary School)

  • 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0권1호
    • /
    • pp.13-25
    • /
    • 2011
  • The Goals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lower grades of primary school is to shape the basic concepts and the skills of mathematics. To achieve this goal, it is necessary an assessment which is able to help the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by precisely diagnosing their basic mathematical capability. It should lend the students an assistance in diagnosing and revising their problems throughout teacher's cognitive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 would like to suggest the dynamic assessment as one of these kinds of approaches. In order to prove the utilities of this way, it was examined the necessity of dynamic assessment on the basis of the Vygotsky's theory after looking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lower grades of primary school. Next, I researched the principles of the dynamic assessment and embodied the assessment tool to evaluate the mathematical achievement of the lower grades of the primary school. Lastly, it was provided the examples of the dynamic assessment tool in order to assist the practice of it.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시각화의 구성 요소 및 활용에 관한 분석 (Analysis on Factors and the Application of Mathematical Visualization in Problem Solving Process)

  • 주홍연;권혁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1호
    • /
    • pp.1-28
    • /
    • 2012
  • 본 연구는 30명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통해서 수학적 시각화의 구성 요소를 알아보고, 시각화 구성 요소들이 수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특히, 30명의 학생들 중 시각성 평가가 높은 5명의 학생들에 대해서 질적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시각화의 구성 요소는 크게 정신적 이미지, 외적 표상, 이미지의 변형 및 조작, 공간 시각화 능력으로 범주화 (Guti$\acute{e}$rrez, 1996) 되었고, 각 요소마다 더 세분화되어져 나타났다. 또한, 수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시각화 요소들은 외적 표상을 생성하기 전에 기본적으로 정신적 이미지를 생성하고 있었고, 정형화된 정신적 이미지의 경우 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풍부한 사고를 억제하고 문제에 대한 부적절한 풀이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차원 변화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이미지 변형 및 조작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이 있었으나, 문제 해결 과정에서 답을 추론하기 위한 이미지 탐색 활동과 도출된 답의 정당화를 위해서 이미지 조작 활동을 활용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