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Morphology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8초

퍼지 수학적 형태학을 이용한 미세균열 모델링 (Modeling of Fine Cracks using Fuzzy Mathematical Morphology)

  • 박인규;최규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05-11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결함추출 알고리즘을 퍼지이론을 적용하여 유연성을 제시하고 실험을 통하여 타당성을 확인 하였다. 균열의 검출츨 위하여 퍼지형태학을 이용한 기본 연산자를 정의하였다. 이 연산자를 기초로 하여 퍼지집합에 대해 ${\lambda}$-퍼지척도를 이용하여 무게중심을 구하여 결함을 추출하였다.. 결함추출 알고리즘의 경우 양호한 결과를 낼 수 있었다. 하지만 균열이 매우 미세한 경우 영상 획득부분에 해당하는 조명장치를 얼마나 잘 설계하느냐가 중요하였다.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룩업테이블을 사용하여 메모리의 사용을 최소화 시켜 좀 더 빠른 검사속도를 꾀하였다.

수학적 형태학을 이용한 이진 영상의 피라미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yramid of Binary Image Using Mathematical Morphology)

  • 엄경배;김준철;이준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239-1247
    • /
    • 1993
  • 집합이론을 기본으로하는 수학적 형태학은 영상처리의 여러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수학적 형태학을 이용하는 새로운 이진 영상의 피라미드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이진영상을 특별한 조건을 갖는 구조적 요소(structure element)로 침식 (erosion)하고 침식된 영상을 부표본화(subsampling)를 이 용하여 축소하고, 축소된 영상을 외삽(interpolation)과 침식 할 때와 동일한 구조적요소로 융기(dilation)하여 확장하며, 원 영상과 차를 이용하여 나머지 영상을 구하였다. 이때 사용된 구조적 요소는 부표본화 집합을 융기하였을 경우, 원래의 표본화 집합을 재생할 수 있는 구조적 요소로서, 차이 영상이 0또는 1로 표현되기 위해 충분해야 한다. 또한, 피라미드 구성에 필요한 연산들이 분리가능(separable)함을 증명함으로써 파이프라인 프로세싱등 병렬 연간이 가능함을 입증하였으며, 제안된 피라미드를 이진 영상의 점진적 부호화에 이용할 경우 등가 엔트로피 측면에서 약 1.6에서 2.9배 개선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Three-dimensional morphological evaluation of the hard palate in Korean adults with mild-to-moderate obstructive sleep apnea

  • Yu, Chen;Ahn, Hyo-Won;Kim, Seong-Hu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33-142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fferences in three-dimensional (3D) morphology of the hard palate between Korean adults with and without mild-to-moderate obstructive sleep apnea (OSA)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CBCT) data. Methods: The protocol for the two-dimensional (2D) and 3D mathematical modeling was established by analyzing CBCT images of 30 adults with OSA and 30 matched controls without OSA, using MIMICS software. The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s were also determined using this software. The measurements were repeated for 30 palates, by the same operator, to assess reliability. Results: The palates of OSA patients were higher in the posterior part and narrower in the anterior-superior part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 < 0.05). The nasal cavities of patients with OSA were narrower (p < 0.05) than those of controls. The increasing angle of the first molar palatal root is a compensation of the upper dental arch to improve occlusion. However, for most palatal measurem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OSA and control groups (p > 0.05). The results of 2D and 3D mathematical models were consistent for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s, indicating that 2D and 3D mathematical modeling of the palate is a reliable methodology. Conclusions: OSA is a multifactorial disease; the palates of adults with mild-to-moderate OSA do not have specific morphological features distinct from those of healthy controls.

Cephalosporium 발효시 균체의 형태학적 측면을 고려한 수학적 모델링 및 유가식 배양에의 응용 (Mathematical Modeling with Cell Morphology and Its Application to Fed-batch Culture in Cephalosporium Fermentation)

  • 김의용;유영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21-535
    • /
    • 1991
  • Cephalosporium 배양시 균체의 형태학적 측면을 고려한 cephalosporin C 생합성에 대한 모델식을 제안하였다. 제한기질로 glucose와 methionine을 고려한 double-substrate 모델을 설정하였는데 여기서 glucose는 균체의 증식 정도를, methionine은 균체의 증식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Cephalosporin C의 생산은 균체의 형태학적 분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한편 cephalosporin C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모델식을 유가식 배양에 응용하였다.

  • PDF

Mathematical Morphology Guided Automatic Unwrapping Isoclinic Phase Map in White Light Photoelasticity

  • Liu, Xiaomeng;Dai, Shuguang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9권6호
    • /
    • pp.643-648
    • /
    • 2015
  • By comparing the results calculated by atan() and atan2() functions, the correctly estimated region of isoclinic phase map is determined using morphological techniques. The isoclinic phase map is automatically unwrapped in the true phase range -π/2 to π/2. Demonstrations of the method on a disc and a ring under diametral compression are performed. Test results compare well with the theoretical results. Furthermore, the influences of principal stress direction and the range of isoclinic phase upon stress separation are discussed.

가우시안 혼합모델과 수학적 형태학 처리를 이용한 터널 내에서의 차량 검출 (Vehicle Detection in Tunnel using Gaussian Mixture Model and Mathematical Morphological Processing)

  • 김현태;이근후;박장식;유윤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967-97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가우시안 혼합모델과 수학적 형태학 처리를 통하여 터널 내에 설치된 고해상도 CCTV 카메라 영상에 대한 차량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먼저, CCTV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으로부터 가우시안 혼합모델을 이용하여 배경을 추정하고, 배경영상과 입력영상의 차영상으로부터 객체를 분리한다. 그 다음 단계로 분리된 후보 객체를 수학적 형태학 처리를 통하여 재구성한다. 최종적으로는 터널에서의 차량의 위치에 따른 크기 특징을 분석하여 차량을 검출한다. 터널에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하는 차량 검출방법이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리 형태론과 대칭성을 이용한 자동차 번호판 검출 (Vehicle License Plate Detection Based on Mathematical Morphology and Symmetry)

  • 김진헌;문제형;최태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6권2호
    • /
    • pp.40-4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수리 형태론과 대칭성을 이용한 번호판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번호판의 모양, 색상, 크기, 위치 등은 사람이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규격화되어 있다. 특히, 번호판의 바탕과 문자의 명암은 큰 대조를 이루며 번호판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영상은 대칭성을 갖고 있다. 먼저, 번호판 영역을 부각시키기 위해 번호판의 문자 간격 크기의 사각 형태소로 입력 영상의 열림과 붙임 영상을 구하고 두 영상의 차 영상을 얻는다. 둘째, 번호판 크기의 마스크를 사용하여 차 영상의 평균 필터링을 수행한다. 셋째, 평균 필터링 영상의 각 열의 최대값 그래프를 구한 후 대칭성을 계산한다 넷째, 평균 필터링 영상의 피크들을 찾는다. 마지막으로 그래프에서 대칭성이 가장 큰 좌표의 언저리에 번호판이 있다는 가정 하에 번호판을 검출한다. 실험은 약 1,000장의 과속 단속 영상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약 93%의 검출률을 보였다.

Optimization and modification of PVDF dual-layer hollow fiber membrane for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application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morphology study

  • Bahrami, Mehdi;Karimi-Sabet, Javad;Hatamnejad, Ali;Dastbaz, Abolfazl;Moosavian, Mohammad Ali
    •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 /
    • 제35권11호
    • /
    • pp.2241-2255
    • /
    • 2018
  • RSM methodology was applied to present mathematical models for the fabrication of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dual-layer hollow fibers in membrane distillation process. The design of experiments was used to investigate three main parameters in terms of polymer concentration in both outer and inner layers and the flow rate of dope solutions by the Box-Behnken method. According to obtained results, the optimization was done to present the proper membrane with desirable propert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timized membrane (named HF-O) suggested by the Box-Behnken (at the predicted point) showed that the proposed models are strongly valid. Then, a morphology study was done to modify the fiber by a combination of three types of a structure such as macro-void, sponge-like and sharp finger-like. It also improved the hydrophobicity of outer surface from 87 to $113^{\circ}$ and the mean pore size of the inner surface from 108.12 to 560.14 nm. The DCMD flux of modified fiber (named HF-M) enhanced 62% more than HF-O when it was fabricated by considering both of RSM and morphology study results. Finally, HF-M was conducted for long-term desalination process up to 100 hr and showed stable flux and wetting resistance during the test. These stepwise approaches are proposed to easily predict the main properties of PVDF dual-layer hollow fibers by valid models and to effectively modify its structure.

그레이스케일 형태학 기반 방향성 구조적 요소의 가중치 엔트로피를 적용한 영상에지 검출 알고리즘 (Image Edge Detection Algorithm applied Directional Structure Element Weighted Entropy Based on Grayscale Morphology)

  • 상유;조준호;문성룡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41-46
    • /
    • 2021
  • 그레이스케일 수학적 형태학에 기초한 에지 검출 알고리즘의 방법은 영상 노이즈를 제거와 병렬처리 가능하고 연산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단일 구조적 스케일 요소를 사용하여 영상의 에지 검출을 하는 방법은 영상정보에 따라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레이스케일 형태학의 특성은 구조적원소를 반복하여 확장, 침식, 열림, 담힘 연산을 함으로써 연산 결과 에지정보 결과에 제한적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잡음에 강인한 방향성을 갖는 구조적원소를 적용한 후 원소내의 각 픽셀 정보에 가중치 엔트로피를 적용하는 에지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영상에 적용하는 멀티 스케일 구조적 요소를 적용한 결과와 방향성 가중치 엔트로피를 적용한 연산결과를 비교분석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된 알고리즘이 에지 검출에서 우수함을 보였다.

HSV 칼라를 이용한 블록단위 영상 분할 (Block-based Color Image Segmentation Using HSV Color Space.)

  • 서동하;임재혁;원치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제13회 신호처리 합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51-654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칼라 영역으로 확장된 블록단위 영상분할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즉, 기존의 휘도 성분을 기반으로 한 블록단위 알고리듬을 HSV 칼라 성분을 기반으로 하는 칼라 영상분할로 확장한다. 기존의 수학적 형태학(mathematical morphology)에 기반한 영상분할기법이나 블록단위 영상분할 기법들이 밝기 정보만을 활용했던 것에 대해 제안된 블록단위 영상분할 기법은 밝기뿐만이 아니라 칼라 성분도 고려하여 영상분할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실험의 결과 휘도 성분만을 고려한 영상분할 결과 보다 칼라 성분을 사용한 영상분할의 결과가 더 정확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