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9초

수학에 관한 편지 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수학적 의사소통 및 성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Disposition for the Writing Mathematics Letters in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 안종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63-184
    • /
    • 2010
  • 본 연구는 수학에 관한 편지 쓰기가 고등학생의 수학적 의사소통 및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는데 있다. 고등학교 1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1개 반을 실험반으로 다른 1개 반을 비교반으로 나누어 2개월간 연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수학에 관한 편지 쓰기를 수학과 수업에 적용한 실험반이 교과서 중심의 학습 지도 방법을 적용한 비교반보다 수학적 의사소통 및 성향을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임이 나타났다. 실제로 수학에 관한 편지 쓰기를 통해 고등학생들은 성취감을 느끼고 반성적 사고를 하게 되며, 수학적 이해과정에 도움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학에 관한 편지 쓰기는 학생들이 학습태도를 긍정적으로 바꾸며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생각이 노출되는 것에 대한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에서는 충분한 사전 조사로 수학에 관한 편지 쓰기의 횟수와 시간을 잘 결정하고 연구 기간을 충분히 잡아 학생들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평가와의 연계로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PDF

"승애일찬(升厓日纂)"에 관한 소고(小考) (A Study on "Seung Aeh Ill Chan")

  • 황선욱;윤현주;정진강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1-45
    • /
    • 2014
  • The book Su Hak Ip Mun(數學入門, Introduction to Mathematics) is one part of 5 sections of the book Seung Aeh Ill Chan(升厓日簒), which is a hand written manuscript in Chinese characters and the author and the date of writing is unknown. The book Seung Aeh Ill Chan begins with the song of division table so called Guguiga(九歸歌). We first investigate and compare the writing pattern of this with other old Korean mathematical books. Next, we investigate typical expression and calculation methods of mathematical contents and terminologies used in Su Hak Ip Mun and also figure out oddities of writing pattern of mathematical expression and cultural circumference of several problems dealt in the book. From these analysis and investigation, we estimate the writing date of Su Hak Ip Mun later than the year 1723 on which Su Ri Jeong On(數理精蘊) was first published. And we presumably guess that Guguiga and Su Hak Ip Mun are made not for practical use or theoretical purpose but for text to teach students.

수학교사의 대수식 쓰기 지도를 위한 발달에 핵심적인 이해 (Mathematics teachers' Key Developmental Understandings for teaching equation writing)

  • 최윤형;이수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3호
    • /
    • pp.297-319
    • /
    • 2021
  • 본 연구는 Gess-Newsome(1999)의 변형적 관점에서 수학교사의 수학적 이해와 잠재적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한 지도방법 간의 관계를 면밀히 이해하고자 중등 수학교사 4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수식 쓰기 문제해결을 위한 발달에 핵심적인 이해를 조사 후, 연구 참여자들이 이에 주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지 분석하였다. 나아가 대수식 쓰기를 지도하기 위한 수업을 예상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수적 행동과 수학적 이해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KDU에 주목한 2명은 대수식 쓰기 문제해결에 성공했으나, 다른 2명은 가분수 상황을 그림으로 나타내거나 상호적 추론을 요구하는 문제를 어려워하였다. 또한 교사들이 구상한 대수식 쓰기를 지도하는 방법에서 확인된 교수적 행동은 그들이 문제해결 과정에서 주목했던 수학적 이해가 투영되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특정 수학 내용에 대한 교사의 KDU와 교수 활동을 위한 지식과의 연결 사례를 제시함으로 교사교육 연구에 기여한다.

수학저널 쓰기를 활용한 수학학습 부진학생의 기하학적 사고 수준 변화 사례 연구 (Case Study on Change in the Geometrical Thinking Levels of the Under Achievers by Using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 하은영;장혜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1호
    • /
    • pp.147-16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 수학학습 부진학생을 대상으로 도형영역에 대해 수학저널 쓰기를 활용한 보충학습을 실시하여 수학 부진학생의 기하학적 사고 수준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의 사전 기하학적 사고 수준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지도 내용을 van Hiele의 5단계 학습과정에 따라 재구성하여 주 1회 이상 12주간의 보충수업 후, 사후 기하학적 사고 수준 검사 결과 및 학생들이 작성한 수학저널과 수업 중 나타난 반응 및 면담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부진학생들 외 기하학적 사고 수준 변화에 주목하였다. 더불어 의사표현력이나 협동활동과 같이 수학학습 부진학생의 교수-학습과 관련한 교수학적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수학저널 쓰기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양상 (Asp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in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 이지은;황우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565-587
    • /
    • 2014
  • 자기조절학습전략은 메타인지적,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인 전략들을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적용하여 학습자가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학습전략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저널 쓰기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양상은 어떠한가를 살펴보기 위함에 있다. 수학저널은 총 13문항으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하위요소별로 1~2문항씩 구성하였다. 연구의 결과 수학저널에서 메타인지전략은 학습 목표 설정, 문제해결전략탐구, 반성적 사고, 예를 들어 설명하기 등으로 표현되었다. 인지전략은 아이디어간의 구조 파악하기, 위계화하기, 핵심 내용 파악하기 등으로 표현되었다. 동기전략은 학습에 대한 만족감과 불안감, 차후 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좌절감 등으로 표현되었다. 이는 수학저널 쓰기학습을 통하여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활용되고 있으며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학습을 돕는다는 점에서 수학 교육학적인 시사점이 있다.

  • PDF

수학 서술형 평가의 어려움과 지도 방안: 고교 1학년 노력형 학생의 쓰기 활동 사례 연구 (Student difficulties in constructed-response mathematics assessments: A case study of writing activities for low-performing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

  • 배미희;임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3권1호
    • /
    • pp.1-18
    • /
    • 2024
  •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노력형 학생들이 (1) 수학 서술형 평가에서 보이는 어려움에 대한 분석과 (2) 이를 극복하기 위한 쓰기 활동 지도 방안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술형 문항으로 이루어진 검사를 수행한 후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과 면담을 진행하고, 15회에 걸쳐 수학 노트 쓰기 활동을 지도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서술형 평가에서 20가지의 어려움을 보였다. 이를 '수학적 어려움'과 '서술형 어려움' 등 2가지 범주로 분류한 결과 수학이라는 과목 특성에서 보이는 어려움은 수학 개념과 원리의 이해 부족, 수학 기호 사용의 어려움, 문장제 문항에 대한 어려움, 수학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오는 어려움이 있었다. 서술형 문항이라는 특성에서 보이는 학생의 어려움은 객관식 문항과는 다른 평가 방법에서 오는 어려움, 서술형 문항의 풀이 과정 기술의 어려움, 기타 심리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노력형 학생들이 서술형 평가에서 보이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학습전략의 일환으로 개별 수학 노트 쓰기 활동을 지도하였고 (1) 수학적 개념의 내면화, (2) 관계적 이해를 통한 정당화, (3) 다양한 풀이 시도, (4) 수학적 기호 사용, (5) 반성적 사고, (6) 심리적 방해 요소 극복으로 범주화하고 지도 과정 및 효과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상호또래교수에서의 반성적 저널쓰기 활동이 수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to mathematics self-efficacy in reciprocal peer tutoring)

  • 최계현;황우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1호
    • /
    • pp.1-24
    • /
    • 2014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on the mathematics self-efficacy in reciprocal peer tutoring. Participants were 38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who attended at a summer intensive mathematics course for 4 weeks. This study used a mixed method. SPSS 21.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quantitative data, and the interviews, observational journals and reflective journals of 6 students were used to analyze qualitative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all the subcategories of mathematics self-efficacy, - mathematics problem-efficacy, mathematics success-efficacy, mathematics learning-efficacy, and mathematics subject-efficacy - improved except mathematics occupation-efficacy. In case of mathematics success-efficacy and mathematics problem-efficacy, students revealed the greatest improvement. In conclusion, reflective journal writing in reciprocal peer tutoring could be suggested as a treatment program to improve students' mathematics self-efficacy.

Preservice Teachers' Difficulties with Statistical Writing

  • Park, Min-Sun;Park, Mimi;Lee, Eun-Jung;Lee, Kyeong Hw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6권4호
    • /
    • pp.265-276
    • /
    • 2012
  • These days, with the emphasis on statistical literacy,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is the focus of attention. Communication about statistics is important since it is a way of describing the understanding of concepts and the interpretation of data. However, students usually have trouble with expressing what they understand, especially through writing. In this paper, we examined preservice teachers' difficulties when they wrote about statistical concepts. By comparing preservice teachers' written responses and interview transcripts of the variance concept task, we could find the missing information in their written language compared to their verbal language. From the results, we found that pre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y in connecting terms contextually and conceptually, presenting various factors of the concepts that they considered, and presenting the problem solving strategies that they used.

등호 해석의 두 시간적 차원인 읽기.쓰기의 불일치와 그 해소 (Discrepancy between Reading and Writing Equality Number Sentences in Korean Language)

  • 임재훈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7-223
    • /
    • 2013
  • 이 논문은 5+2=7과 같은 등호가 들어 있는 식의 읽기와 쓰기라는 두 행위 사이의 불일치 및 그 해소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점에 관하여 논한 것이다. 기호 이해의 시간적 차원과 등호 개념의 이중성을 바탕으로, 초등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등식 읽기와 쓰기 방법을 분석하였다. 교사는 수업에서 기호 읽기와 기호 쓰기를 통해 무시간적인 차원의 기호를 시간 속에 펼쳐 놓는 시간화 작업을 수행한다. 이 때 읽기 순서와 쓰기 순서 사이에 불일치가 있을 수 있으며, 이를 교사가 어떻게 해소하는가는 학생들의 기호 이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등식 읽기를 쓰기 관습에 종속시켜 이 불일치를 해소하면, 관계적 관점을 나타내고 있는 교과서의 등식 읽기를 조작적 관점의 읽기로 변환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등호의 관계적 의미 이해를 중시하는 입장에서 보면, 쓰기를 교과서에 제시된 읽기 방식에 종속시키는 방향으로 불일치를 해소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등호의 읽기 쓰기를 부등호의 읽기 쓰기와 통합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