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ernity incentive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융복합시대 산후조리와 육아휴직으로 인한 출산장려정책이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fluence of Child Birth Promotion Policy Due to postpartum care and Maternity Leave to Economical Activities in the Era of Convergence)

  • 장명숙;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245-254
    • /
    • 2015
  • 본 연구는 융 복합시대 여성의 산후조리와 육아휴직으로 인한 우리나라의 출산장려정책이 경제활동에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글로리 산후조리원, *세계 산후조리원, **한 산후조리원, **노블 산후조리원에 입소한 산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260부를 배포하여 설문조사에 성실하게 응답한 산모들의 설문지 222부를 채택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또 현 정부에서 지원하는 출산장려정책에 대해 선행연구와 국, 내외 기존문헌을 토대로 연구하였다. 출산장려정책의 특성요인으로서 사회보험 및 세제, 출산비, 보육서비스, 사회문화의 결정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요인과 출산여성의 경제활동여부와, 매개변수로 육아휴직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 검증하는 연구를 목적으로 두었다.

전국 임상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 실태조사 (Survey on the working environment of national clinical dental hygienists)

  • 강현숙;정영란;조윤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63-878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working environment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in Korea. Methods: From 2015 to October 2016, a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5,708 participants and the data were analyzed. Results: The region with the largest increase in clinical dental hygienist employees compared to graduates is Seoul. More than 50.0%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working for less than 1.8 million won in the payroll period of 4-6 years were working in the Gwangju Jeonnam, Jeonbuk, and Gangwon regions. In addition, incentives and bonuses were rarely provided by localities and agencies. Although 43.4% provided both parental leave and maternity leave. Conclusions: In order to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 of inter-regional movement and employee turnover rate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as well as address the regional imbalance in labor supply and demand, efforts should be made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to strengthen management and implementation.

출산율 예측모형을 이용한 한국의 출산력 시나리오 분석 (Scenario Analysis of Fertility in Korea using the Fertility Rate Prediction Model)

  • 김기환;전새봄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4호
    • /
    • pp.685-701
    • /
    • 2015
  • 한국의 지속적인 저출산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을 정도의 급격한 고령화 속도와 맞물려 국가경쟁력 및 사회보장 시스템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각종 출산장려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저출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정책이 효과적이지 못하였던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정책개발의 근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조건부 순위별 출산율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한국의 출산정책 효과를 파악하였다. 조건부 순위별 출산율을 사용하면 순위별 출산율을 사용하는 것보다 합계출산율의 변화와 효과를 명확히 산출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순위별 출산율의 시나리오에 따라 합계출산율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재 정부의 셋째 아 출산지원 정책으로 도달할 수 있는 합계출산율 및 둘째 아 또는 첫째 아의 출산지원을 하였을 때 도달할 수 있는 합계출산율을 산출할 수 있었다. 또한 지속적인 저출산으로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가임여성(15-49세)을 고려하여 합계출산율에 따른 출생아수를 함께 제시하여 실질적인 출생아수의 증가를 유도하는 정책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