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ticatory Muscle Pain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5초

Effects of soft occlusal appliance therapy for patients with masticatory muscle pain

  • Kashiwagi, Kosuke;Noguchi, Tomoyasu;Fukuda, Kenichi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1권1호
    • /
    • pp.71-80
    • /
    • 2021
  • Background: The options for stabilization appliance therapy for masticatory muscle pain include soft occlusal and hard stabilization appliances. A previous study suggested that hard stabilization appliance therapy was effective for patients with local myalgia who developed long facets on their occlusal applianc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atients in whom a soft occlusal appliance should be used to treat masticatory muscle pain by analyzing the type of muscle pain present and patient factors that influenced the effectiveness of this treatment. Methods: The study included 42 patients diagnosed with local myalgia or myofascial pain according to the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Diagnostic Decision Tree. The analysis of patient factors included variables believed to be associated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First, a temporary screening appliance was used for 2 weeks to assess each patient for bruxism during sleep. Soft appliance therapy was then started. For each patient, the effectiveness of the appliance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enderness during muscle palpation and the treatment satisfaction score at one month after starting treatment. Results: Data from 37 of the 42 patients were available for analysis. Twenty-five patients reported satisfaction with the appliance.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odds ratio for reduction of facet length was 1.998. Nineteen patients showed at least a 30% improvement in the visual analog scale score. The odds ratio for local myalgia was 18.148. Conclusion: Soft appliance therapy may be used in patients with local myalgia. Moreover, patients who develop short facets on the appliance surface a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soft appliance therapy. Soft appliance therapy may be appropriate for patients with local myalgia who develop short facets on their occlusal appliance.

Focal Atrophy of the Unilateral Masticatory Muscles Caused by Trigeminal Neuropathy from the Tumor in the Foramen Ovale

  • Juhyung Hong;Jin-Woo Chu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7권4호
    • /
    • pp.217-221
    • /
    • 2022
  • Neurogenic muscular atrophy is muscle wasting and weakness caused by trauma or disease of the nerve that innervates the muscle. We describe a case of unilateral trigeminal neuropathy and neurogenic muscular atrophy of the masticatory muscle caused by a tumor in the foramen ovale. A 59-year-old man visited our clinic complaining of difficulty in right-sided mastication. There were no evident clinical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However, severe atrophy of the right masseter and temporalis muscles and hypesthesia of the right side mandibular nerve area were confirmed. Through T1 and T2 signal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 mass suspected of a neurogenic tumor was observed in the foramen ovale and cavernous sinus. Severe atrophy of all masticatory muscles on the right side was observed. This rare case shows trigeminal neuropathy caused by a tumor around the foramen ovale and atrophy of the ipsilateral masticatory muscles. For an accurate diagnosis, it is essential to identify the underlying cause of muscle atrophy with neurologic symptoms present. This can be done through a more detailed clinical examination, including sensory testing and brain MRI, and consider a referral to neurology or neurosurgery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the intracranial disorder.

진단적 국소마취 주사를 이용한 가쪽날개근 근육통의 치료 2 증례 (Management of Lateral Pterygoid Myalgia with Diagnostic Local Anesthetic Injection: A Report of 2 Cases)

  • 임영관;김병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5권4호
    • /
    • pp.275-281
    • /
    • 2010
  • 가쪽날개근은 턱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기본적인 저작근 중의 하나이다. 이 근육은 저작계의 심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손가락을 이용한 촉진검사가 어려우며 그 결과도 신뢰할 만하지 못하다. 이러한 이유로 임상의에게 가쪽날개근에 이환된 근육통 질환을 진단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근육내 국소마취 주사는 통증의 근원지를 감별하는 목적으로서 가쪽날개근을 검사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근육통을 즉각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근육을 전체 길이만큼 신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저자들은 근육내 국소마취 주사를 이용하여 가쪽날개근의 근육통을 성공적으로 진단하고 치료한 두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The Association Between Masticatory Function Assessment and Masseter Muscle Thickness in the Elderly

  • Jung, Hyo-Jung;Min, Yong-Guang;Kim, Hyo-Jung;Lee, Joo-Young;Choi, Jong-Hoon;Kim, Baek-Il;Ahn, Hyung-Joo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5권3호
    • /
    • pp.49-55
    • /
    • 2020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objective indicator of masticatory function assessment and the masseter muscle thickness (MMT) using ultrasound imaging. Methods: A total of 99 subjects (males: 24, females: 75, mean age: 76) were analyzed. The maximum bite force (MBF) was measured with a pressure-sensitive sheet and an image scanner. The mixing ability index (MAI) was calculated by image analysis after asking the subjects to chew a wax specimen. The MMT during rest and clenching were obtained with a diagnostic ultrasound system, and the difference in MMT during rest and MMT during clenching was defined as the difference in masseter muscle thickness (DMM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MBF and MAI. Results: The MBF showed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β=0.346, p=0.002) and DMMT (β=0.251, p=0.011). The MAI correlated with only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β=0.476, p<0.001). Conclusions: The DMMT reflects the state of masseter muscle contraction, and can be used as a predictor as well as the number of teeth when assessing masticatory function.

보툴리눔 A형 독소가 저작효율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Botulinum Toxin Type A Masticatory Efficiency)

  • 박형욱;권정승;김성택;최종훈;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1호
    • /
    • pp.53-67
    • /
    • 2013
  • 보툴리눔 독소는 Clostridium botulinum이라는 박테리아가 만들어내는 독소를 의료용으로 희석, 정제한 약제로서 이 독소가 시냅스 전 신경말단에 부착되어 신경근접합부에서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근육의 수축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보툴리눔 독소 주사 요법은 구강안면 분야에서 저작근의 근경축, 근경련, 운동이상증, 측두하악관절질환, 근막통증, 이갈이, 특발성 교근비대증 또는 만성편두통을 비롯한 두통 등 다양한 질환에서 가역적, 보존적 치료법으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사용 범위가 넓어지면서 교근이나 측두근 같은 저작근 부위에 주사를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그러한 경우 약제자체의 약리학적 작용에 의해 일시적인 근마비 및 근위축에 따라 저작기능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보툴리눔 독소 주사치료의 효과나 활용에 대한 연구만이 주를 이루었고 부작용 중의 하나인 저작기능 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몇몇 저작기능과 관련한 연구 또한 근전도 등을 이용한 정적인 상태의 저작력 감소에 대한 연구로, 실제로 동적인 저작 환경을 반영하는 저작 효율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전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총 40명의 건강한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 요법을 교근 부위에만 시술 받은 사람 과 교근과 측두근 부위 모두에 시술 받은 사람 각각 20명씩 두 군으로 나누어 주사를 시행하고, 주사 전과 주사 후 4주, 8주, 12주째의 저작 효율의 변화를 주관적 평가방법인 식품섭취능 (Food Intake Ability, 이하 FIA)과 저작 능력에 대한 주관적 인식도 (Visual Analogue Scale, 이하 VAS), 객관적 평가 방법인 Mixing Ability Test를 시행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 후 4주 째에 저작효율의 뚜렷한 감소가 나타났으며 이후 서서히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주사부위를 달리하여 본 결과 교근과 측두근에 모두 주사를 시행하는 경우, 교근에만 주사를 시행하는 경우에 비해 주관적, 객관적인 값 모두 낮게 나타났다. 주관적인 값에 있어서 4주 째 유의하였으나 이후에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객관적인 값은 전 기간에 걸쳐 유의하지 않았다. 실험에서 정한 주사 용량에 대해서는 측두근까지 주사가 이루어지더라도 교근만 주사를 시행한 사람과 비교하여 저작효율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식품성상에 따라 저작 효율을 살펴본 결과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가 단단하고 질긴 음식 섭취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무르고 약한 음식의 섭취 시에도 유의할만한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Effect of Botulinum Toxin Injection and Physical Therapy to Reduce Tongue Pain and Discomfort: Case Reports

  • Kwon, Dae-Kyung;Park, Hee-Kyu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5권4호
    • /
    • pp.120-123
    • /
    • 2020
  • The causes of tongue pain and discomfort include systemic disease, malnutrition, mental illness, fungal infection, and neuropathy. Three postmenopausal women reported burning sensations and stiffness of the tongue for various periods, from one month to four years. There were no objective etiological factors to cause the tongue pain and discomfort. Muscular tenderness upon palpation of masticatory muscles, sternocleidomastoid, trapezius, and tongue were observed. Physical therapy approaches such as moist hot pack, ultrasound, and myomonitor were performed on three patients with tongue pain, just as f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ease. Additional botulinum toxin injection therapy was applied to one patient who displayed a clenching habit. All three patients showed a marked improvement in their tongue symptoms after the muscle relaxation and botulinum toxin injection therapy.

측두하악장애와 경부근육 압통 간의 상관성 (Association Betwee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Cervical Muscle Pressure Pain)

  • 임영관;김재형;김병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4호
    • /
    • pp.339-352
    • /
    • 2008
  • 목적: 측두하악장애 환자들에서 압통 검사를 통하여 경부근육 통증의 정도와 위치를 파악하고, 측두하악장애와 경부근육 통증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측두하악장애 환자(n=129, 여자 65.9% 평균=28.8세)에 대해서 두통, 목의 통증, 정서적 스트레스, 수면 장애, 이상 기능 습관 및 통증 강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저작계에 대하여 하악 운동범위, 악관절음, 악관절 촉진, 저작근 촉진 검사를 시행하였다. 빗목근 상부(sternocleidomastoid upper), 빗목근 중간(sternocleidomastoid middle), 등세모근 상부(upper trapezius), 머리널판근(splenius capitis), 머리반가시근(semispinalis capitis), 중간 목갈비근(scalene medius), 어깨올림근(levator scapulae)의 7부위의 경부 근육에 대하여 촉진에 의한 압통 검사를 하였다. 압통의 정도를 무통(0), 경도(1), 중등도(2), 심도(3)로 구분하여 판정하였다. 압통점수로부터 여러 통증점수 합계를 계산한 후 이후의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80명(62.0%)의 환자가 설문에서 목의 통증을 경험한다고 답하였다. 측두하악장애 통증 점수와 경부 근육통 점수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538, P < 0.001). 경부 근육 중에서 중등도 이상의 압통이 40% 이상 발생하는 근육은 빗목근과 등세모근 상부였고 저작근 중에서는 깨물근(masseter) 중간에서 36%의 중등도 통증이 나타났다. 129명에 대한 경부근육통점수합과 측두하악장애통증점수합 사이에는 상당한 관련성이 있었으며($\rho$=0.502, P < 0.001), 측두하악장애통증점수합은 경부근육통점수합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Y = 0.395 ${\cdot}$ X, $R^2$ = 0.659, P < 0.001). 저작근장애 환자에서 빗목근등세모근상부통증점수합과 관자근교근통증점수합은 중등도의 관련성($\rho$ = 0.375, P < 0.001)을 보였으며, 두 변수는 비례 관계에 있었다(Y = 0.359 ${\cdot}$ X, $R^2$ = 0.538, P < 0.001). 편측통증점수의 편상관관계분석에서 우측경부근육통증점수합과 좌측경부근육통증점수합은 가장 높은 상관성(r=0.802, P < 0.001)을 보였다. 우측측두하악장애통증점수합과 좌측측두하악장애통증점수합은 중등도의 상관성(r=0.481, P < 0.001)이 있었다. 편측성 측두하악장애 통증이 있는 20명의 환자에 대한 편상관관계분석에서 우측과 좌측의 편측경부근육통점수간의 상관성이 가장 높았고(r = 0.597, P = 0.009), 측두하악장애측통증점수합과 동측경부근육통증점수합 사이의 상관성(r = 0.564, P = 0.015)이 그 다음이었다. 결론: 측두하악장애 통증은 촉진에 의한 압통반응의 측면에서 경부근육 통증과 관련성을 보인다. 경부근육 중에서 빗목근과 등세모근상부가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흔하게 나타내며 저작근통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경부근육에서는 통증의 대칭적인 이환 특성이 두드러지지만, 측두하악장애가 경부근육통의 수준에 영향을 주어 대칭적인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두부와 경부에 복잡한 통증 질환의 증상과 징후를 보이는 환자에서 경부 근육 통증의 진단과 치료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저작근의 근전도 휴지기와 근육피로와의 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the EMG Silent Period and Muscle Fatigue of the Masticatory Muscle)

  • 김태훈;양덕진;강병길;조일준;이진;김성환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50권5호
    • /
    • pp.247-254
    • /
    • 2001
  • Silent period(SP) is transient stops of muscle activity that are induced by mechanical or electrical stimulus and the duration of silent period is a important parameter that have been associated with symptoms of masticatory dysfunction. Muscle fatigue is induced by sustained muscular contractions. It is associated with the external manifestations as the inability to maintain a desired force output, muscular tremor, and localized pain. Muscle fatigue is a parameter that have been measured or monitored the deterioration of a performance of muscles. On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P and masticatory muscle fatigue, Nagasawa suggested that SP increases up to 3 min. from the beginning of clenching when the subjects performed sustained contractions at 50% maximum clenching level. In this paper, in order to evaluate a relationship between SP and muscle fatigue, 10 SPs per 1 minute are measured at 10%, 20%, 50% maximum clenching level. We used the median frequency in order to quantify the degree of muscle fatigue. However, the results shows that the duration of silent period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differing levels of muscle fatigue.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SP is not increased or decreased as the results of muscle fatigue, also the origin of the SP generation mechanism is discussed.

  • PDF

약관절 장애의 보존적 치료효과(I I) (Effect of Conservative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II))

  • Sung-Chang Chung;Youn-Joong Kim;Ji-Won Le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4권1호
    • /
    • pp.113-121
    • /
    • 1989
  • In this study, 94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were interview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treatment they received at the department of Oral diagnosis and oral Medicin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treatment administered to the patient were patient education, relaxation procedures, physical therapy, occlusal splint therapy and selective grinding of teeth. The following results were disclosed : 1. 97.9% of the patients reported no pain or considerably less pain than they had reported at their first visits to the department. 2. 89.3% of the patients thought that the treatment provided was either complete or considerably successful. 3. TMJ and facial pain was resolved within average 3.0 months 4. Of the 70 patients who previously reported having jaw joint sound, 34 patients (48.6%) no longer reported int. 5. Of the 48 patients who previously reported having headache regularly, 3 patients (68.8%) no longer reported headache regularly. 6. Of the 66 patients who previously reported having masticatory muscle pain, 41 patients (62.1%) no longer reported masticatory muscle pain. 7. Analysis of the data did not disclose a subgroup or factor, such as age, the stage of internal derangement, capsulitis, bruxism, MPD, duration of symptoms, that could be correlated with the reduction of pain or the patient's perception of success of treatment.

  • PDF

말초 opioid 수용체에 의한 저작근 통증의 조절 효과 (Effect of Peripheral Opioid Receptor on Masticatory Muscle Pain Control)

  • 고석호;강수경;어규식;김은철;홍정표;전양현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2호
    • /
    • pp.161-174
    • /
    • 2013
  • 이 연구는 저작근 통증 환자에게 Morphine을 주사하였을 때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시행되었으며, 경희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 RDC/TMD로 근막통증으로 진단된 환자들이 지원하였다. 실험군은 총 네 군으로 구성되었으며 saline 주사군, lidocaine 주사군, morphine 1.5mg 주사군, morphine 3.0 mg 주사군에 각각 10명씩 배정하였다. 통증부위에 주사 전, 주사 후 1시간, 24시간, 48시간에 각각 주관적인 통증 평가인 시각유추척도검사, 맥길통증설문지검사 그리고 통증부위표시검사와 객관적인 통증 평가인 압력통증역치검사와 압력통증한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후 평가된 자료를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관적인 통증평가에서 morphine 3 mg 군은 48시간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효과가 있었다.(VAS: p<0.01, MGQ: p<0.001, PD: p<0.05) 2. 객관적인 통증평가에서 morphine 1.5 mg 군은 1시간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효과가 있었다.(PPT: p<0.01, PPTol: p<0.05) 3. 맥길통증설문지에서 lidocaine 군, morphine 1.5 mg 군 그리고 morphine 3 mg 군은 모두 처치 후 1시간부터 효과가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morphine 3 mg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더 큰 효과가 있었다.(1h: p<0.01, 24h: p<0.01, 48h: p<0.001) 이상의 연구 결과로 저작근에 통증이 있는 환자에게 morphine 주사 시 주관적인 평가에서 48시간 후 통증 조절 효과가 있었고, morphine 3 mg이 더 효과가 있었으며, 향후 시간 연장에 따른 지속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