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s and frequency ratio

검색결과 401건 처리시간 0.029초

성별에 따른 문제음주자의 정신건강, 대사증후군과 영양소 섭취; 제 5기(2010-2012) 국민건강 영양조사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the mental health, metabolic syndrome and nutrient intake by Gender in Problem drinkers ; Based on The Fifth(2010-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최영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159-5168
    • /
    • 2014
  • 본 연구는 문제음주자의 성별에 따른 정신건강, 대사증후군과 영양소 섭취를 비교하기 위해 시도 되었다. 2010-2012년까지 실시된 제5기 국민건강 영양조사를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19세 이상의 음주하는 성인 남, 녀 중 AUDIT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12점 이상 자를 문제음주자로 선별하여, 최종 66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제음주자의 정신건강은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을, 대사증후군은 허리둘레, BMI(body mass index), 공복혈당(fasting blood sugar), HDL(highdensity lipoprotein), Triglyceride, BP(blood pressure) 중 3가지 이상 정상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로 구분하였으며, 영양소 섭취는 에너지와 9개의 영양소의 적정 섭취비(Nutrient adequacy ratio:NAR) 및 평균 영양소 적정 섭취비(Mean adequacy ratio: MAR)를 구하여 확인하였다. SPSS18.0을 이용하여, 빈도와 교차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은 연령, 결혼상태, 직업유무에서, 정신건강은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대사증후군은 대사증후군 여부, FBS, HDL, BP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영양소 섭취는 Calcium, Vit. A, Thiamine, Riboflavin, Niacin, Vit. C, MAR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에 대해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은 남성의 경우 19-29세, 여성은 30-49세가 유의하게 많았고, 대사증후군은 남성은 직업이 있는 경우와, 여성은 미혼과 경제상태가 '중-하'인 경우가 더 많았다. 평균 영양소 적정 섭취비(MAR)는 남성은 미혼, 기취업, 경제상태가 '중-하' 인 경우, 여성의 경우는 경제상태가 '하'수준일수록 더 많았다. 문제 음주자의 정신건강, 대사증후군, 영양섭취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과 중재를 계획 할 때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유의한 차이를 보인 특성들을 고려한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채식인과 비채식인의 식습관, 식품군별 섭취빈도와 심혈과 질환관련인자와의 관련성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Relationships among Eating Behavior, Intake Frequency of Food Group and Cardiovascular disease Related Factors in Vegetariand and Non-Vegetarians)

  • 차복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83-192
    • /
    • 2001
  • 우리나라도 경제성장으로 식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국제교류가 활발함에 따라 식생활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식사형태의 변화와 더불어 서구의 문제라고 여겼던 심혈관 질환을 비롯한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채식과 일반식을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식품군별 섭취빈도 등이 혈중 지질수준과 혈당,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평균나이는 채식인 44.20세, 비채식인 40.52세, BMI는 각각 22.47, 21.08이었고, WHR은 0.85, 0.84였고, %BF는 28.79, 26.55였으며, 채식인의 평균채식기간은 13.16년이었다. 조사대상자의 total-cholesterol, LDL-cholesterol, AI, 이완기혈압 및 혈당은 비책식인이 유의적으로(p<0.01) 높았고, HDL-cholesterol도 비채식인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심질환 예견지수인 HDL/total cholesterol 비는 채식인이 유의적으로(p<0.01)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식습관 점수는 채식인이 25.07, 비채식인이 23.10으로 채식인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비채식군에서는 식습관 점수가 높을수록 중성지방은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두 군 모두 혈청 총 콜레스테롤, LDL-cholesterol 및 AI는 식습관 점수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1), 같은 식습관 접수대에서는 채식인이 혈청 총 콜레스테롤, LDL-cholesterol, AI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비채식군에서는 식습관 점수가 높으면 수축기 혈압이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채식인은 육류 및 생선, 계란, 우유 및 유제품을 전혀 먹지 않는 반면 곡류, 콩 및 콩제품, 녹황색야채 및 과일, 구근류, 해조류, 유지류는 대부분이 매일 2회 이상 먹고 그 섭취빈도가 비채식군에 비하여 두드러지게 높았다. 비채식인은 채식인과는 반대로 육류, 생선, 계란,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빈도가 높고 녹황색야채와 구근류, 콩 및 콩제품의 섭취빈도가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채식인은 비채식인에 비해 식습관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

  • PDF

비만아에서 고지혈증과 Apolipoprotein E 다형성의 관계 (Association of apolipoprotein E polymorphisms with serum lipid profiles in obese adolescent)

  • 윤정민;임재우;천은정;고경옥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호
    • /
    • pp.42-46
    • /
    • 2008
  • 대 상 : Apolipoprotein E (Apo E)는 지단백 대사와 지질의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이며 많은 연구들에 의해 Apo E의 다형성이 심혈관계 질환의 중요한 유전 인자임이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Apo E 의 다형성이 비만 청소년에서 이상 지혈증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Apo E가 비만 청소년 중에서도 심혈관계 합병증의 위험성이 높은 군을 선별하여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기준이 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4-18세의 86명의 비만아(각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 95백분위수 이상)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8시간 금식 후 시행한 혈액검사를 통해 혈당, apolipoprotein (Apo) A1, Apo B,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 중성지방(triglyceride; TG), 저밀도 콜레스테롤(LDL), 고밀도 콜레스테롤(HDL)을 측정하였고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를 통해 Apo E의 다형성을 검사하였다. 결 과 : 남아와 여아의 비는 1.7이었으며 86명의 평균 나이는 $16.2{\pm}1.8$세이었고 평균 BMI는 $27.4{\pm}2.5kg/m^2$이었다. 유전자 분석에 따른 아형의 빈도(allele frequency)는 ${\varepsilon}2$형이 8.1%, ${\varepsilon}3$형이 87.2%, ${\varepsilon}4$형이 4.7%이었다. Apo E의 유전자형에 따라 ${\varepsilon}2/{\varepsilon}3$${\varepsilon}2/{\varepsilon}3$는 E2군으로 ${\varepsilon}3/{\varepsilon}3$는 E3군, ${\varepsilon}3/{\varepsilon}4$${\varepsilon}4/{\varepsilon}4$는 E4군으로 분류하였고 E2군은 13명(15.1%), E3군은 65명(75.6%), E4군은 8명(9.3%)이었다. 세 군 사이에 나이, 성별, 체중, 키와 BMI는 차이가 없었다. 고지혈증에 대한 검사에서 혈당, Apo A1, TC, TG, HDL은 각 군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Apo B와 LDL만이 E4형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결 론 : 저자들은 본 연구를 통해 비만아에서 Apo E의 유전자형의 빈도를 알 수 있었으며 Apo B와 LDL 농도가 Apo E의 유전자형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따라서 비만아 중에서도 특정 Apo E4의 유전형을 가진 경우 이상 지혈증의 위험성이 더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청소년에서 유용한 비만의 선별검사와 비만도, BMI 및 혈청지질과의 관계 (Effective Screening Test for Obesity in Obese Adolescents and the Correlation Among Obesity Index, Body Mass Index and Serum Lipid Profile)

  • 성태정;김달현;홍영진;손병관;장경자;박준영;김순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3호
    • /
    • pp.217-223
    • /
    • 2003
  • 목 적 : 소아 및 청소년 비만은 매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소아와 청소년기라는 특성을 고려할 때 비만을 진단하는 기준 중, 어떤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비만아 선별검사에 좀더 유용한가에 대해 알아보고, 이렇게 선별된 비만아에서 비만과 관련된 여러 심혈관계 성인병 발생 위험 인자 중 조기에 예측 가능한 인자를 알아내어, 어떠한 인자가 추적관찰에 유용한지 알아보았다. 방 법 : 2001년 7월부터 11월까지 한국건강관리 협회와 인천광역시 교육청 주관으로 비만도 20% 이상인 중 고등학생 2,814명(남 : 녀=2,011 : 803)을 대상으로 하여 체중, 신장, 신체측정, 혈청지질(총 콜레스테롤, 혈청지질,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결 과 : 비만도 20% 이상인 중고생에서 BMI 95 백분위수 이상은 86.6%였으며, 체지방 기준에 의한 비만은 93.2%, 피하지방 두께에 의한 비만은 45.6%였다. BMI에 따른 비만아 중 고콜레스테롤혈증은 남아 21.0%, 여아 21.4%를 보였고, 비만도에 따라 나눈 남아 20.7%, 여아는 19.2%로 BMI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MI에 따라 판정된 비만아를 세분하여 제 I도 과체중(고위험군, group I), 제 II도 과체중(비만, group II), 제 III도 과체중(과비만, group III)으로 나누어 보면, 남아에서는 고중성지방의 빈도가 group I에서는 15.0%, group II에서는 23.2%, group III은 34.5%로 비만할수록 더욱 증가하였고, 여아에서는 group I에서는 11.8%, group II는 20.7%, group III은 28.2%였다. 비만도에 의하면 남아에서 경도비만은 17.2%, 중증도 비만은 29.2%, 고도비만은 39.7%였고, 여아에서는 10.0%, 19.5%, 29.8%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의 비만시 혈청지질 검사를 BMI만으로 하였을 경우 10.0-17.0%의 누락을 보였으므로 BMI 기준에 의한 혈중 지질의 측정은 한계가 있었다. 또한, 비만할수록 높아지는 고지혈증의 빈도는 비만도에 의한 것이 BMI보다 더 잘 반영하였다. 따라서 성인병 선별검사는 비만도에 의한 것이 좀더 누락율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심혈관 질환발생 위험 예측인자로는 남녀 모두 비만할수록 중성지방이 증가하여 중성지방이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지역 중, 노년층의 생활습관과 건강상태 조사(II) (A Study of Health-related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the Health Status of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Living in the Chonju Area (II))

  • 이미숙;우미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749-761
    • /
    • 200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indices, and the health and nutritional factors influencing the two indices among 194 middle-aged and elderly subjects (108 middle-aged and 86 elderly) residing in a medium sized city for more than 10 years. In the examination of their dietary habits, 8.3% of the middle-aged subjects and 14.0% of the elderly subjects had two meals a day, and more female subjects had two meals per day. Of the subjects who ate meals at regular times, 75.0% were middle-aged and 79.1% were elderly, and the degree of irregularity of meals was greater for female subjects. The study of the dietary behavior of the subjects indicated that 71.3% and 66.3%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respectively responded that the amount of food in each meal was sufficient. The subjects ate alone comprised 19.7% of the middle-aged females and 31.5% of the elderly females. The prevalence of smoking among the subjects was 28.1% for the middle-aged, 18.8% for the elderly male and 7.4% for the elderly females. The percentage of the subjects who drank alcohol was 34.4% of the middle-aged males and 13.2% of the middle-aged females. Slightly less than half of the subjects exercised more than once a week, with the male subjects showing a higher rate than the female subjects. The average body mass indices (BMI) were 24.5 and 24.6 for the middle-aged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and 22.6 and 24.0 for the elderly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BMI assessment showed that underweight subjects (BMI < 20) comprised 3.7% of the middle-aged, 14.0% of the elderly, and that 40.7% of the middle-aged and 24.4% of the elderly were overweight (25 < BMI < 30) , and 0.9% of the middle-aged and 1.2% of the elderly were classified as obese (BMI $\geq$ 30) . A waist/hip ratio (WHR) greater than 0.8 was found in 89.5% of the middle-aged females and 90.7% of the elderly females, showing high abdominal fat deposition in the majority of females. The average systolic blood pressure of females was 121.1 $\pm$ 17.1 mmHg for the middle-aged and 129.6 $\pm$ 21.3 mmHg for the elderly subjects. The systolic blood pressures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he two age groups. Those defined as anemic subjects based on hemoglobin values comprised 13.0% of the middled-aged group and 16.3% of the elderly group. There was a tendency for higher fasting glucose levels among the elderly subjects. An increase in total plasma cholesterol levels with age was shown. The female subjects had higher cholesterol levels than the males'The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aily habits and health status showed that the amount of food eaten at each meal, the frequency of eating out, and the use of dietary supplements appeared to influence BMI, WHR, the plasma triglyceride and plasma cholesterol levels; omitting one meal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ystolic blood pressure and plasma choleste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sirable dietary habits and concerns for health are contributing factors for maintaining good health, as indicated by normal blood lipid levels.

한국인의 일부 도시인에서 비만, 이상혈당, 이상지질혈증의 집락과 고혈압의 관련성 (Association of Hypertension with Cluster of Obesity, Abnormal glucose and Dyslipidemia in Korean Urban Population)

  • 이강숙;김정아;박정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1호
    • /
    • pp.59-71
    • /
    • 1998
  •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hypertension with cluster of obesity, abnormal glucose and dyslipidemia in Korean urban population, we conducted this cross-sectional study among 3027 men and 2127 women age 20-85 years who visited a prevention center between May 1991 and June 1995 for a multiphasic health check at St. Mary's Hospital, Seoul.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informations of educational attainments, monthly income, alcohol consumption, cigarette smoking, and physical excercise level were obtained. Height, weight, and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by a trained nurse. The fasting blood sugar (FBS),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tested by enzyme method. Low density lipoprotein (LDL) cholesterol was calculated by 'total cholesterol - HDL cholesterol - triglyceride/5'. For testing the differences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between hypertension and normotension group, 1-test and $\chi^2$-test were performed. For the age adjusted odds ratios of hypertension in persons with obesity, abnormal glucose, and dyslipidemia compared with normal,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by using SAS pakageprogram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ge, weight, body mass index(BMI),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of hypertension group in men and wo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otension group, but height and HDL cholesterol of hypertension group only in women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otension group. The frequency of obesity $(BMI\geq25kg/m^2)$, abnormal glucose $(\geq\;120mg/dl)$, hypercholesterolemia $(\geq\;240mg/dl)$, lower HDL cholesterol (<45 mg/dl in women only), higher LDL cholesterol $(\geq\;160mg/dl)$, and hyper hypertriglyceridemia $(\geq\;250mg/dl)$ in hypertension group of men and wo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otension group. 2.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hight, but positively with age, weight, BMI,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men and women. BMI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sting blood sugar,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but negatively with HDL cholesterol. 3. The age adjusted odds ratios of hypertension were as follows in men and women : among persons who were obese compared with those nonobese, 2.53 (95% Confidence Intervals [C.I.] 2.08-3.07) and 2.22 (95%C.I. 1.71-2.87): among persons who were abnormal glucose compared with those normoglycemic, 1.43 (95%C.I 1.13-1.82) and 2.01 (95%C.I 1.36-2.94): and among persons who were dyslipidemia (hypercholesterolemia or lower HDL cholesterol or higher LDL cholesterol or hypertriglyceridemia) compared with those normal lipid, 1.59 (95%C.I 1.30-1.95) and 1.51 (95%C.I 1.16-1.96). After combined more than one risk factor, the odds ratios were increased. Among persons with cluster of obesity, abnormal glucose, and dyslipidemia, the odds ratio of hypertension was 2.25 (95%C.I 1.47-3.37) in men and 3.02 (95%C.I 1.71-5.30) in women.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hypertension was associated with cluster of obesity, abnormal glucose, dyslipidemia in this Korean urban population.

  • PDF

Association of CAPN10 gene (rs3842570) polymorphism with the type 2 diabetes mellitus among the population of Noakhali region in Bangladesh: a case-control study

  • Munia Sultana;Md. Mafizul Islam;Md. Murad Hossain;Md. Anisur Rahman;Shuvo Chandra Das;Dhirendra Nath Barman;Farhana Siddiqi Mitu;Shipan Das Gupta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21권3호
    • /
    • pp.33.1-33.11
    • /
    • 2023
  •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is a multifactorial, polygenic, and metabolically complicated disease. A large number of genes are responsible for the biogenesis of T2DM and calpain10 (CAPN10) is one of them. The association of numerous CAPN10 genetic polymorphisms in the development of T2DM has been widely studied in different populations and noticed inconclusive results. The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 evaluate the plausible association of CAPN10 polymorphism SNP-19 (rs3842570) with T2DM and T2DM-related anthropometric and metabolic traits in the Noakhali region of Bangladesh. This case-control study included 202 T2DM patients and 75 healthy individuals from different places in Noakhali. A significant association (p < 0.05) of SNP-19 with T2DM in co-dominant 2R/3R vs. 3R/3R (odds ratio [OR], 2.7; p=0.0014) and dominant (2R/3R) + (2R/2R) vs. 3R/3R (OR, 2.47; p=0.0011) genetic models was observed. High-risk allele 2R also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2DM in the allelic model (OR, 1.67; p=0.0109). The genotypic frequency of SNP-19 variants showed consistency with Hardy-Weinberg equilibrium (p > 0.05). Additionally, SNP-19 genetic variants showed potential associations with the anthropometric and metabolic traits of T2DM patients in terms of body mass index,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Our approach identifies the 2R/3R genotype of SNP-19 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biogenesis of T2DM in the Noakhali population. Furthermore, a large-scale study could be instrumental to correlate this finding in overall Bangladeshi population.

Polymorphisms in the uncoupling protein 3 gene and their associations with feed efficiency in chickens

  • Jin, Sihua;Yang, Lei;He, Tingting;Fan, Xinfeng;Wang, Yiqiu;Ge, Kai;Geng, Zhaoy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9호
    • /
    • pp.1401-1406
    • /
    • 2018
  • Objective: The uncoupling protein 3 (UCP3) is a member of the mitochondrial anion carrier superfamily and has crucial effects on growth and feed efficiency in many specie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polymorphisms in the UCP3 gene with feed efficiency in meat-type chickens. Methods: Six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of the UCP3 gene were chosen to be genotyped using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in meat-type chicken populations with 724 birds in total. Body weight at 49 (BW49) and 70 days of age (BW70) and feed intake (FI) in the interval were collected, then body weight gain (BWG)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were calculated individually. Results: One SNP with a low minor allele frequency (<1%) was removed by quality control and data filtering. The results showed that rs13997809 of UCP3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WG and FCR (p<0.05), and that rs13997811 had significant effects on BW70 and BWG (p<0.05). Rs13997812 of UCP3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BW70, FI, and FCR (p<0.05). Furthermore, individuals with AA genotype of rs13997809 had significantly higher BWG and lower FCR (p<0.05) than those with AT genotype. The GG individuals showed strongly higher BW70 and BWG than AA birds in rs13997811 (p<0.05). Birds with the TT genotype of rs13997812 had significantly greater BW70 and lower FCR compared with the CT birds (p<0.05). In addition, the TAC haplotype based on rs13997809, rs13997811, and rs13997812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BW70, FI, and FCR (p<0.05). Conclusion: Our results therefore demonstrate important roles for UCP3 polymorphisms in growth and feed efficiency that might be used in meat-type chicken breeding programs.

일부 지역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수면, 신체계측, 영양소섭취 상태와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among Life Stress, Sleep,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 성민정;장경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840-848
    • /
    • 2007
  •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수면, 신체계측, 영양소섭취 상태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와 신체계측 및 체성분 검사,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들의 평균 수면 시간은 남학생 7.0시간, 여학생 7.1시간이었고, 수면 점수는 남학생 40.6${\pm}$5.7, 여학생 41.5${\pm}$5.3으로 수면 시간과 수면 점수에 있어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면과 생활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에서 남녀 모두에게 수면 시간은 생활 스트레스의 수준(스트레스 경험 빈도, 중요도, 총 스트레스 점수)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면의 질을 나타내는 수면 점수와 생활 스트레스 수준(스트레스 경험 빈도, 중요도, 총 스트레스 점수)을 살펴보았을 때, 남녀 모두에게 생활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 간에 매우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p<0.01) 수면의 양보다는 수면의 질이 생활 스트레스와 더 상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생활 스트레스 경험 빈도, 중요도, 총점과 신체계측 간에 상관성을 보았을 때 남학생은 생활 스트레스 경험 빈도, 중요도, 총점과 신체계측 및 체성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여학생은 생활 스트레스 경험빈도, 총점이 신체발달 점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남학생의 경우 경제 문제와 신체계측과의 상관관계에서 체중(p<0.05), 허리둘레(p<0.05), 엉덩이둘레(p<0.05)와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학생은 이성 문제에 대한 스트레스와 BMI(p<0.05), 체지방률(P<0.01), 복부지방률(p<0.01), 비만도(p<0.05) 간에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친구 문제와 BMI(p<0.05), 비만도(p<0.05), 엉덩이둘레(p<0.05)간에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학업 문제에서 체지방률(p<0.05), 복부지방률(p<0.05)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영양소 섭취량과 생활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에서 몇몇 영양소와 생활스트레스 간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생활 스트레스 원인별로 그 양상이 달랐다 남학생은 대체로 동물성 식품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영양소인 칼슘, 철분 등과 생활 스트레스 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에서 조사된 바에 의하면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는 수면의 양보다는 수면의 질과 상관성이 있었으며 체성분, 영양소 섭취상태와도 상관성을 보였다. 생활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처하는데 올바른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확립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운동, 자신이 좋아하는 취미활동 하기, 상담제도 이용 등의 올바른 생활스트레스 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과 바람직한 식생활을 위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BMI와 사망과의 관련성 - 강화 코호트 연구 - (Association between BMI and Mortality - Kangwha cohort study -)

  • 윤수진;이상욱;김소윤;이순영;박윤희;손태용;오희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3권4호
    • /
    • pp.459-468
    • /
    • 2000
  •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BMI and Mortality. Methods : This study was based on the analysis and assembly of the 'Kangwha Cohort Study', previously conducted by th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Yonsei University. A total of 2,696 males and 3,595 females were followed for almost ten years and ten months from March 1985 to January 1996, a total of whom 2,420 died during this period. The Cox's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is data. Results : We found a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BMI and mortality among the aged men in the Kangwha cohort. The hazard ratio of dying was adjusted for age, marital status, occupation, self cognitive health level, chronic disease, smoking, and alcohol frequency, then sorted by body mass index into the following groups; less than 10.5, 18.5 to less than 21.0, 21.0 to less than 23.5, 23.5 to less than 26.0 and greater than or equal to 26. The corresponding ratios for men were 1.81(1.50-2.19, 95%CI), 1.31(1.14-1.51, 95%CI), 1.0(referent), 1.05(0.87-1.26, 95%CI) and 1.39(1.09-1.76, 95%CI), respectively. And for women, 1.46(1.19-1.78), 1.12(0.95-1.31, 95%CI), 1.0(referent), 1.00(0.84-1.20, 95%CI) and 1.09(0.89-1.34, 95%CI), respectively. Conclusions : The risk of death among aged men in Kangwha increased in the under and overweight groups. The relationship between BMl and mortality has been well studied in Western populations,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BMI and mortality in our country. So, on the basis of this study, it is apparent that more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MI and mortality will be needed for future wor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