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h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2초

인체모사 팬텀 기반 Fast non local means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의 필터링 인자 변화에 따른 영상 최적화: 시뮬레이션 연구 (Image Optimization of Fast Non Local Means Noise Reduction Algorithm using Various Filtering Factors with Human Anthropomorphic Phantom : A Simulation Study)

  • 최동혁;김진홍;최종호;강성현;이영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53-45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Geant4 application for tomographic emission (GATE)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설계 된 male adult mesh (MASH) 팬텀의 영상을 획득한 후 다양한 필터링 인자가 설정된 FNLM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그에 따른 영상 특성의 경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GATE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인체를 모사할 수 있는 MASH 팬텀을 설계하였다. 또한, 설계된 MASH 팬텀을 기반으로 MATLAB 프로그램을 통해 복부영상을 획득한 후 0.005의 $\sigma$ 값을 갖는 Gaussian noise를 추가하여 열화영상을 모델링하였다. 모델링 된 열화영상으로부터 제안하는 FNLM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의 필터링 인자를 각각 0.005, 0.01, 0.05, 0.1, 0.5, 1.0 으로 설정하여 적용하였으며, 정량적 평가를 위해 FNLM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이 적용된 영상들로부터 각각의 coefficient of variation (COV), signal to noise ratio (SNR) 그리고 contrast to noise ratio (CNR)을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0.05의 필터링 인자가 적용된 영상에서 가장 개선된 COV, SNR 그리고 CNR 값을 보였다. 특히, COV는 설정된 필터링 인자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0.05 값 이후부터 거의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SNR 및 CNR의 경우 필터링 인자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0.05 값 이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열화 영상으로부터 FNLM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 적용 시 적합한 필터링 인자를 설정해야 함이 증명되었다.

도금강판의 Seam 응접특성: Part I 계면특성 (Seam Weldability of Galvanized Steels: Part I Interface Characteristics)

  • 이창희;엄호섭;장래웅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1992년도 특별강연 및 춘계학술발표 개요집
    • /
    • pp.63-63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Zn도금강판의 mash seam용접부의 조직학적 특성 및 도금층 및 인산염 coating의 용접 접합 계면에서의 거동율 검토하여 용접과정율 단계별로 분리 파악하여 계면 파단의 mechanism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mash seam용접부에서 발견 되는 결함의 종류 및 방지대책에 관하여서도 언급하였다.

  • PDF

저온발효에 의한 청주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eongju by Low Temperature Fermentation)

  • 심유미;이상현;정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492-501
    • /
    • 2016
  • 본 연구는 청주의 저온발효 제조시 멥쌀과 찹쌀 등 원료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비교와 누룩투입 비율에 따른 발효 및 청주 품질특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멥쌀과 찹쌀 청주의 발효온도를 $10^{\circ}C$, $18^{\circ}C$, $25^{\circ}C$로 달리하여 30-50일간 발효시킨 청주의 발효특성 비교에서, 멥쌀과 찹쌀 청주 모두 발효온도가 낮을수록 발효시 pH가 낮았고 최종 술덧의 pH는 발효온도에 따른 차이가 없이 각각 동일하였으며, 같은 온도에서는 찹쌀보다 멥쌀 술덧의 pH가 낮았다. 총산은 발효온도가 낮을수록 적게 생성되었으며 멥쌀보다 찹쌀로 제조된 술덧에서 많이 생성되었다. 멥쌀 술덧의 유기산은 $18^{\circ}C$에서 가장 적게 생성되었고 찹쌀 술덧은 저온발효일수록 적게 생성되었다. $10^{\circ}C$ 저온에서 발효속도는 늦었으나 최종술덧의 알코올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멥쌀보다 찹쌀을 이용한 술덧의 알코올 발효가 빨랐고 최종 알코올농도도 높았다. 발효온도 $10^{\circ}C$에서 누룩투입비율을 달리한 연구에서는 pH는 누룩투입 비율이 낮을수록 낮았으며 멥쌀보다 찹쌀이 다소 높았다. 누룩투입 비율이 낮을수록 발효초반 가용성 고형분($^{\circ}Brix$)이 낮게 나타났으며 알코올 생성 속도가 늦었고 최종 알코올 농도도 낮았다. 또한 누룩투입비율이 낮을수록 구연산, 젖산은 적게 사과산 호박산, 초산은 많이 생성되었고, ethyl acetate는 적게 생성되었다. 저온발효시 찹쌀 술덧이 멥쌀보다 알코올 생성 속도도 빨랐고 최종 알코올 농도도 높았다.

공간정보 콘텐츠의 현황 및 새로운 거리 수준 콘텐츠 (Current Status of Geo-referenced Contents and a New Street Level Contents)

  • 윤보람;최경아;이임평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6호
    • /
    • pp.91-103
    • /
    • 2014
  •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주제의 매쉬업(mash-up)이 활발해지면서 공간정보 콘텐츠의 품질과 활용성이 높아지고 있다. 항공 수준에서 시작해서 거리 수준의 실외와 실내 공간까지도 실제처럼 표현한 공간정보 콘텐츠들이 등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리 수준의 공간정보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매쉬업 사례는 상당히 미진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거리 수준 콘텐츠의 활성화를 위해 기존 거리 수준의 공간정보 콘텐츠가 가진 한계를 도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기존의 공간정보 콘텐츠를 공간적 범주와 표현 방법에 따라 분류하여 각 특성에 따라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기존 거리 수준 공간정보 콘텐츠의 한계를 도출한다. 나아가 기존 거리 수준 콘텐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뉴미디어 공간정보 콘텐츠'를 제안한다. '뉴미디어 공간정보 콘텐츠'는 콘텐츠 내에서 객체의 3차원 지상 좌표를 결정할 수 있고 그 좌표를 매개로 데이터베이스와 유기적으로 연동될 수 있다. 지상의 절대 좌표를 참조 키로 하는 '뉴미디어 공간정보 콘텐츠'는 다양한 정보와의 정교하고 유기적인 연동을 실현하고, 이를 통해 거리수준 콘텐츠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젖산농도별 주모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according to the Rice Wine Seed Mash with Lactic Acid Concentration)

  • 허창기;이중원;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33-938
    • /
    • 2012
  • 막걸리 양조시 품질변화 방지를 목적으로 젖산 첨가량에 따른 주모의 pH, 총산, ethanol 및 미생물 균수를 측정하고, 젖산 농도에 따른 주모별 막걸리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및 관능평가 등 품질특성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젖산 농도에 따른 주모의 pH는 젖산 0.5% 이상 첨가 시료구가 pH 3.31~3.33으로 젖산 무첨가구와 0.3% 첨가 시료구의 pH 3.52, 3.56에 비해 낮았다. 총산 함량은 젖산 무첨가구와 젖산 0.3%첨가 주모가 0.56%와 0.54%로 높게 나타났고, 0.5%첨가 주모는 0.51%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Ethanol 함량은 젖산을 첨가하지 않은 주모와 젖산을 첨가한 주모 모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모의 미생물의 균수를 측정한 결과는 세균 및 젖산균은 젖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효모는 젖산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해 0.3~0.5% 첨가구는 증가하였으나 0.7~1.0% 첨가구는 감소하였다. 젖산 첨가량에 따른 주모로 담금한 막걸리의 pH 및 총산은 0.5% 이상 첨가구에서 발효기간 동안 안정된 값을 보여 주모의 안전 제조에 적합한 조건을 보였다. 유기산은 lac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succinic acid, tartaric acid, citric acid 및 acetic acid가 검출되었다. acetic acid는 젖산을 첨가하지 않은 시료구의 경우 390.88 mg%로 함량이 가장 높았고 젖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았으며, 1.0% 첨가 시료구의 경우 검출되지 않았다. Ethanol 함량은 시료구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관능평가 결과 젖산 0.5%이상 첨가구부터 향, 맛 및 종합기호도에서 선호도가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젖산을 첨가하지 않은 주모에 비해 젖산을 첨가하여 주모를 제조할 경우 막걸리의 품질이 더 향상될 것으로 판단되며, 젖산량은 주모 중량대비 0.5%첨가가 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Pilot Scale Multi-stage CSTR에서 전분질 원료를 이용한 알콜 생산 (Alcohol Productivity Using Starchy Raw Material in Pilot Scale Multi-stage CSTR)

  • 남기두;이인기;조훈호;김운식;서근학;류병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0-84
    • /
    • 1994
  • In order to induce the rapid alcohol fermentation through the increases of the cell density in a continuous alcohol fermentation of naked barley, the single-cultivation with S. cerevisiae IS-019(SCM, ordinary control), mixed-cultivation with Saccharomyces uvarum IS-026 having a flocculent ability and S. cerevisiae IS-019(MCM), and mash recirculation by single-cultivation of S. cerevisiae IS-019(MRM) modes were investigated. The cell mass in the mixed-cultivation mode was about 10%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control but the final alcohol yield was slightlyl decreased. When recycled the mash with the flow rate of 7 l/h from V$_{6}$ to V$_{5}$ fermentors under the ordinary control, the cell density was distributed at 140~170$\times $10$^{6}$ cell/ml depending upon the fermentorsorders, higher about 20% than that of the ordinary control. Under these conditions the alcohol productivity of the maximum and the overall was 12.16 g/l$\cdot $h with an alcohol of 7.6% at the V$_{5}$ fermentor and 1.19 g/l$\cdot $h with an alcohol of 8.94%, respectively. For higher cell mass it was more effective to apply the mash recirculation mode with the single-cultivation of S. cerevisiae IS-019 in a pilot scale multi-stage CSTR.

  • PDF

개량누룩의 사용에 의한 탁주의 품질개선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akju by a Modified Nuruk)

  • 이영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27-432
    • /
    • 1999
  •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akju which was brewed with a modified Nuruk made by inoculation and cultivation of Rhizopus japonicus T2. Aspergillus oryzae L2. and Hansenula sp. BC26 isolated from Nuruk were investigated as compared with those with current fermenting agents such as com-mercial Nuruk and rice koji of Aspergillus kawachii. The contents of total acid were 0.88% 0.47% and 0.39% in mash of commercial Nuruk rice koji and modified Nuruk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alcohol were 15.5% 15.1% and 9.0% in mash of modified Nuruk rice koji and commercial Nuruk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reducing sugar were 2.80% 1.24% and 0.80% in mash of commercial Nuruk modified Nuruk and rice koji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amino acid were 0.55% 0.47% and 0.23% in mash of modified Nuruk commercial Nuruk and rice koji respectively. Suspended solids were sedimented much more slowly in Takju of modified Nuruk or commercial Nuruk than in that of rice koji Color was pre-ferred in the order of Takju of modified Nuruk commercial Nuruk and rice koji. Odor and taste were preferred in the order of Takju of modified Nuruk rice koji and commercial Nuruk. Therefore it seem-ed that the Takju of modified Nuruk was better than that of commercial Nuruk or rice koji in quality.

  • PDF

쌀 품종별 당화액 첨가에 따른 증편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Added with Rice Mash of Various Cultivars)

  • 정인경;정현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510-518
    • /
    • 2022
  • This study compare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prepared by supplementing with rice mash of various cultivars. Results showed high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crude ash in Saeilmi. The highest and lowest amylose contents were obtained in Goami4 and Baekjinju, respectively. Saeilmi had the highest water absorption index (WAI) of rice flour, whereas the highest water-soluble index (WSI) was obtained in Baekokchal. Maximum viscosity, minimum viscosity, and breakdown were high in Baekjinju, and high cooling viscosity and setback levels were determined in Goami4. The sugar content, total free sugar, and pH of the rice mash were highest in Baekjinju. The highest volume of Jeung-pyun was obtained with Saeilmi supplementation, whereas the specific volume was highest in Baekokchal. Evaluation of L, a, and b color values of Jeung-pyun revealed the maximum L value in Saeilmi, a value in Goami4, and b value in Baekjinju. The physical properties of Jeung-pyun were lower in all supplemented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r hardness, adhesiveness, and chewiness. The lowest chewiness was obtained in Baekokchal-supplemented Jeung-pyun. We conclude that supplementation with different varieties of rice affect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which are important factors for manufacturing processed foods.

한국(韓國) 전통소주(傳統燒酒) (진도홍주(珍島紅酒)) 제조(製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 제조방법에 따른 홍주 발효술덧의 성분변화-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Korean Traditional So-Ju, Jindo-Hongju -I. Changes in Components of Hong-ju Mash Fermented by Different Methods-)

  • 김용순;강성훈;정지흔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45-249
    • /
    • 199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raditional manufacturing process of Hongju, a traditional spirit by traditional Kokja and Koji method based on different materials. In the fermentation process, the changes of temperature, pH, total acid, alcohol, total sugar and microflora in mash were analyzed. During the whole fermentation period, the temperature in mash made by Kokja method was reached to $30^{\circ}C$, and that of Koji method was reached $33^{\circ}C$.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 by different treatments and the initial pH in Koji method was pH 6.0 and the final pH was 4.0. The content of total acid was higher in mash processed by Kokja method than that of Koji method. Alcohol content was higher in mash processed by Koji method. The content of total sugar in all samples were reduced gradually according to progress of fermentation. Yeast populations in all samples were increased up to 6 days of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Lactic acid bacteria were increased until 3 days of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until the fermentation completed.

  • PDF

Growth and Nutrient Utilization in Kids Fed Expander-extruded Complete Feed Pellets Containing Red Gram (Cajanus cajan) Straw

  • Reddy, P. Baswa;Reddy, T.J.;Reddy, Y.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2호
    • /
    • pp.1721-1725
    • /
    • 2012
  • A growth and digestibility study was conducted using Osmanabadi goat male kids by feeding complete diets in the form of mash or expander extruded pellet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red gram (Cajanus cajan) straw (RGS). Two iso-nitrogenous complete diets were prepared by incorporating RGS at 35% and 50% levels. Half the quantity of each complete mash feed was then converted into pellets through expander extruder processing. Thirty two kids of 4 to 5 months ag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f eight each and were fed for 150 d with four experimental diets (T1: mash with 35% RGS, T2: mash with 50% RGS, T3: pellets with 35% RGS and T4: pellets with 50% RGS). Pelleting of complete diets significantly (p<0.001) increased the voluntary feed intake (671.45 vs 426.28 g/d) at both levels of RGS in the feeds. Average daily gain (ADG, g/d)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p<0.001) from 48.79 in kids fed mash diet to 71.29 in those fed with pelleted diets. Feed conversion efficiency (dry matter (DM) intake: weight gain) was comparable among all the treatment groups. Digestibility of nutrients was not affected by pelleting of the feeds whereas, increasing the level of inclusion of RGS in feeds from 35% to 50% decreased (p<0.05) the digestibility of DM and crude protein (CP) resulting in lower (p<0.001) metabolizable energy (ME) content (MJ/kg DM) in feeds with 50% RGS (7.93 vs 8.75). Daily intake (MJ/kg $BW^{-0.75}$) of ME decreased (p<0.05) in feeds containing 50% RGS while pelleting of feeds increased (p<0.05) the intake of DM, CP, digestible crude protein (DCP) and ME. It is inferred that expander extruder pelleting can efficiently utilize RGS up to 50% level in complete diets for growing goat k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