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tyrdom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Muslim Diaspora' in Yuan China: A Comparative Analysis of Islamic Tombstones from the Southeast Coast

  • MUKAI, Masaki
    •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 /
    • 제4권2호
    • /
    • pp.231-256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f the Muslim diaspora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Islamic tombstones from the Southeast Coast of China under Mongol rule. The locations of the nisbas in the Islamic tombstones are widely dispersed, covering Xinjiang, Transoxiana, Iran, Khorasan, Khwarazm, Armenia, Syria, Palestine, and Arabia. Unexpectedly, we did not find a single named location from India or Southeast Asia. It is well known that notable descendants of distinguished families traditionally produced officials, intellectuals, and wealthy merchants, and surrendered to the Mongols during the war against the Qara Khitai Khanate and the Khwarazm Empire. There were a great number of appointed officials with Muslim names in the Jianghuai (around Lower Yangtze) and Fujian regions. This is consistent with the concentration of epitaphs written in Arabic on the southeast coast of China. The frequent use of the specific tradition of the prophet Muhammad associating the death of the exile with martyrdom in Islamic tombstones in Quanzhou, Hangzhou, and Yangzhou indicates that the Muslims in these port cities eventually established an interregional or diasporic identity of Muslim foreighners whoimmigrated into the region.

의승장 기허영규와 의승의 봉기 - 특히 일본 종군승과 의승의 실체를 중심으로 - (The Monk Military General, the Reverend Giheo Yeong'gyu, and the Rebellion of Monk Military)

  • 황인규
    • 동양고전연구
    • /
    • 제66호
    • /
    • pp.9-33
    • /
    • 2017
  • 본 연구는 임진왜란시 일본 종군승 또는 감군승을 통한 침략을 갈파하여 유림의 중봉조헌과 함께 의승 의병의 봉기를 대비하였으며, 실제 청주성 전투와 제 1, 2차 금산성 전투에 함께 참전하여 순국 순교하였던 사실을 강조하였다. 특히 영규와 휘하 수백 또는 수천 의승은 불교계에서 최초로 봉기하여 스승 청허휴정과 동문을 중심으로 전국적 의승 봉기가 이어지게 하였다. 이러한 의승은 <진산미륵사초혼기(珍山彌勒寺招魂記)>에서 영규와 의승장과 종사관 군관승(의병장(義兵將) 판관승(判官僧) 1명, 의병장승(義兵將僧) 8명, 종사관승(從事官僧) 2명, 군관승(軍官僧) 1명)만이 기록되어 있으나 종용사에는 '영규와 영규사졸(靈圭士卒)'로만 되어 있다. 영규의 사졸이 바로 의승인데 실록과 제문집류에서 20여명의 존재가 확인된다. 그 외에 다른 의승에 대한 구체적인 법명과 이들의 행적이 밝혀져서 그들의 순국 순교정신이 널리 추념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말과 소리 저 너머 -『대성당의 살인』의 언어고찰 (Beyond Words and Sounds: A Study on the Language of T. S. Eliot's Murder in the Cathedral)

  • 김한
    • 영어영문학
    • /
    • 제55권4호
    • /
    • pp.539-565
    • /
    • 2009
  • T. S. Eliot attempted the combining of the liturgy of Anglican Church and a drama in Murder in the Cathedral (1935) and created a modern verse drama which comes most close to the regular tragedy like Greek tragedy today. Eliot chose the drama to deliver his religious insight because of its ritualistic origin and its potentiality to deliver a dramatic world which can contain a complete order. The central theme of this play is the martyrdom. The dramatic action of killing the archbishop Thomas Beckett in this play, however, is not treated as important event enough to be a dramatic climax. He is portrayed as a witness to the reality of God's will rather than a man who wills to give up his own life for any religious belief or cause. In Eliot, a martyr is nothing but "a witness" in its ancient sense. This paper purposes to review the language of this play. The various and new meters and rhythms of the language of this play function enough to bring its playwright to encounter 'the real audience' in 'a living theatre'. The interactions between different verbal models also play a big role to make this play a living theatre. Eliot found the poetry which crosses the various classes and levels of the tastes of audience is the most useful poetry. And the poetry of this play proves as the very thing which intensifies the theme of the play and gives the most powerful force to the play. Especially Eliot's poetry succeeds smost in the various and free meters of chorus, which makes Eliot the first playwright since Aeschylus, who could bring the chorus to undertake the function of extending the dramatic action of the play into the universal meaning. In the theatre the real audience identifies themselves with chorus. And the chorus leads the audience to respond to peace which passeth understanding beyond words and sounds of this play, which is the desired response in Eliot's conception of drama.

종교와 자살테러에 대한 지지의 관계분석: 이집트, 파키스탄, 모로코의 사회조사데이터를 근거로 (An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upports for suicide attacks among citizens in Egypt, Pakistan, and Morocco)

  • 김은영
    • 시큐리티연구
    • /
    • 제43호
    • /
    • pp.37-65
    • /
    • 2015
  • 이 연구는 자살테러에 대한 개인의 태도와 참여의 의사 등에 영향을 미치는 종교적인 특성과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특히, 자살테러에 대한 태도와 참여의사와 종교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관한 정확한 메커니즘을 밝힌 경험적 연구가 드물다. 이에 따라 종교와 자살테러에 대한 의견의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적 배경에는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즉, 개인의 종교적 헌신이 영향을 미친다는 종교적 신념가설과 종교적 헌신자체 보다는 종교의식에의 참여로 인한 공동체의식에의 강화 등을 통한 자살테러의 지지를 주장하는 협력적 참여가설이 그것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중동의 3개국, 이집트, 파키스탄, 그리고 모로코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사회의식설문데이터를 사용하여 경험적 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선행연구들에 근거하여 종교적 신념가설에 근거하여 종교의 중요성과 신에게 기도하는 시간 등의 요인들이 자살테러에 대한 지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여부를 검증하고, 협력적 참여가설에 근거하여 종교의식에의 참여여부가 자살테러에 대한 지지에 매개 또는 중재의 역할을 하는 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외의 개인의 자살테러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잘 알려져 있는 인구통계학적 요인들과 다양한 관련요인들이 연구 분석에 포함되었다. 연구 분석결과, 이 두가지 가설에 대해서 부분적인 지지의 연구결과를 발견하였다. 즉, 종교적 신념가설 변수들 중, 신의 중요성과 종교의 중요성을 제외하고, 종교적 기도시간의 빈도만이 중동시민들의 자살테러에 대한 지지를 감소시키는 요인이었다. 이어서 협력적 참여가설의 종교적 예배의식의 참여가 상관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설에서 주장하는 방향과 일치하지 않았다. 즉, 예배의식의 참여의 빈도가 높아질수록 자살테러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견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논의에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정책적, 학문적 함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 등이 논의되었다.

  • PDF

소모로서의 궁핍: 베케트의 빈궁문학 (Destitution as an Expenditure: Beckett's Literature of Poverty)

  • 박일형
    • 영미문화
    • /
    • 제10권2호
    • /
    • pp.73-97
    • /
    • 2010
  • Representation of destitution may be considered as an expression of a social desire toward forging a bond or solidarity with the impoverished. However, political and ethical demands of the solidarity force the formulaic framework structuring the form of representation to its limits. The thesis aims to examine the responses to such demands within the tradition of modernist literature that can be traced from Charles Baudelaire, Knut Hamsun to Franz Kafka and that somehow culminates with Samuel Beckett, and to analyze how the issue of destitution that weaves through Beckett's works criticizes and inherits such a heritage. Whereas destitution in 19th century Realism is structurally fixed and its potential for change is inherently excluded, for these writers, destitution is no longer the state of rigid reality in which any possibility is limited. It is destitution as an imperative that calls for exploitation of possibilities that can be recuperated from the impoverished condition of destitution. What these writers consistently resist against is destitution that leads to compensation and reward. Since occupying a superior position toward the other as the subject of description or sympathy can be seen as one form of profit or reward, they have persistently pursued absolute solitariness and austere conditions rather than prematurely simulating a sense of solidarity and community. The ultimate goal of destitution as an imperative is to pursue destitution in order to worsen it by identifying and then excluding and expending possessions and assets to a state of penury. This is a paradoxical process that opens up the realm of possibilities of destitution and redefines it as abundance and wealth. Destitution for Beckett as seen in the writers above is the objective of literature. But, what he focuses on is to amplify the shreds of economic world that still remain in a state of poverty and to reveal extreme poverty as a state of odd affluence and to transform it into a pursuit of accumulation and profit. One of his famous axioms, "less is more", contains the essence of such a paradoxical strategy. In a sense, such approach is a twist on the strategy that identifies and uses any remaining potential hidden in destitution as was pursued by other writers. It also expands on the imagination of the destitute described by Hamsun. But Hamsun and Beckett are diametrical opposites. Unlike Hamsun, Beckett does not link imagination with a sense of guilt. Imagination is not intended to overcome the destitute reality nor to culminate in artistic martyrdom as in the case of Kafka's hunger artist. The imagination of the impoverished in Beckett is simply a hilarious game and not an escape that ends in a sense of guilt. This game formulates a "rhetorical question" or derision at the ironical situation where the pursuit of hunger and art as the disinterestedness has been turned into symbolic capital. It is inherently a fundamental critique at the aestheticization of destitution that has been pursued by Modernism. Beckett's efforts at divulging falsehood inherent in non-profit acts such as charity, donation and hospitality are dissections of social fictions in which aestheticization of destitution remains a part of the whole.

이상동 장로가 유교와 초기 개신교 만남으로 보여준 삶의 양식 (The style of life shown by Elder Lee Sang-dong through the encounter between Confucianism and early Protestantism)

  • 안광덕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8권
    • /
    • pp.153-189
    • /
    • 2024
  • 이 연구는 유교가 발달한 경상도 안동지역에 한국 개신교 초기 선교가 이루어지면서 나타난 개신교 신앙의 특징을 찾고자 하였다. 한국 개신교 초기(1905~1935)에 퇴계 유학의 배경을 가진 양반 이상동 장로가 유학에서 개신교로 개종하면서 나타난 생애와 삶의 양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래서 이상동 장로의 삶을 추적하기 위하여 초기 개신교 역사 자료 등을 찾아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하지만'조사'로서는 교회에서 짧게 봉사하고,'장로'로 오래 지내면서도 조직 교회의 정식 교역자가 아니었기 때문에 그에 대한 공적 교회 기록이나 문서들을 많이 찾을 수 없었다. 이상동 장로의 생애와 신앙의 여정을 기독교교육학자 웨스터호프(J. h. Westerhoff III)의 신앙공동체 신학을 통해 조명하고 함의를 연결할 수 있다. 웨스터호프는 기독교교육은 신앙공동체가 사회와 문화에 적응하면서 공동체에 속한 개인의 가치관, 세계관을 형성하는 것이라 보았다. 웨스터호프가 바라보는 교육은 이러한 가치관이 사회와 문화 과정을 속에서 삶의 양식으로 나타나고 이 삶은 각각 다른 환경에서 다양한 삶의 모습을 드러내도록 도와주는 것이라 하였다. 이상동은 성서를 읽기 시작하면서 예수를 믿게 되었고, 그리하여 성서의 세계관을 받아들였다. 이렇게 받아들인 성서의 가치관은 한말 유교와 초기 개신교회와 만남에서 유교 퇴계 성리학의 세계관보다는 기독교 성서가 보여주는 세계관으로 회심하게 된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명문 양반의 삶에서 성서 말씀을 실천하는 신앙인의 삶의 양식을 가졌다. 그는 포산동교회를 설립하여 순교 신앙공동체 뜻을 품고 교회를 시작하였고, 안동에서 가장 먼저 단독으로 3.1 만세를 불러 대한독립운동을 주창하였으며, 노비를 해방하여 평등 운동을 실천하였으며, 덕신서숙을 통한 신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계몽운동과 카테케시스 교사의 구실을 충실히 감당하였다. 한국 개신교 초기에 제도 교회의 교역자가 아닌, 장로의 직분을 가졌던 평신도 이상동은 유교의 본거지인 안동 지역에서 유교와 개신교 신앙이 만남으로 보여주는 가치관과 삶의 양식을 제시해 준 실천적인 예시며, 이러한 예시는 현대의 교회 역사에서나 기독교 교육의 관점에서 깊은 통찰력을 준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