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ket concentration ratio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5초

곡물 교역시장의 불완전 경쟁상태의 정태적 수준 및 동태적 변화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n Static Level and Dynamic Trend of Imperfect Competitiveness in Grain Trade Market)

  • 권대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788-7793
    • /
    • 2015
  •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시장의 불완전 경쟁 구조에 따른 시장 불안정 상태에 대한 우려가 가장 크게 제기되었던 시장인 곡물 교역시장에서의 연도별 불완전 경쟁의 수준과 함께 그 동태적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기존의 시장구조 접근법에서 많이 사용되어왔던 상위 k개 국가 중심의 집중률 (Concentration Ratio: CRk)지수의 곡물 교역시장 분석상의 한계점을 명시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로렌츠 곡선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전체 국가들의 분포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니 불균등 지수 (Gini Inequality Index)와 엣킨슨 불균등 지수 (Atkinson Inequality Index)를 활용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적 분석결과, 연도별 수출과 수입간 불균등도 차이는 분석기간 내내 통계적으로 유의수준의 양의 추정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2002-14년 기간 동안 이러한 불완전한 경쟁 상태는 2001년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심화되었다. 수출 집중도가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소폭이나마 하향세를 나타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곡물 교역시장의 불완전 경쟁상태가 심화되고 있는 것은 수입의 국가별 분포가 수출의 경우 보다 현저하게 균등화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SBR공정을 이용한 수산물 위판장 폐수에서 유기물 및 질소 제거 (Removal of Organic and Nutrients in Fish Market Wastewater using Sequencing Batch Reactor (SBR))

  • 김성주;이대희;박흥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6-51
    • /
    • 2007
  • This research work aims at treating saline wastewater generated from a fish market using four Sequencing Batch Reactors (SBR) operat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The effect of C/N ratio (3, 6) and salt concentration (0.5~2%) on organic and nitrogen removal was studied. The synthetic wastewater prepared with glucose ($C_6H_{12}O_6$) as the primary carbon source along with ammonium chloride ($NH_4Cl$) was used in the three reactors. The fill, anoxic, aeration, settle and draw conditions were 2 hr, 4 hr, 4 hr and 2 hr respectively. The fourth reactor was operated at different conditions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feasibility of SBR application to handle fish market wastewater generated in Ulsan city that had fluctuating loading characteristics. Though the unacclimated sludge was initially affected by the salt concentration, the acclimated sludge removed 95% of the organics irrespective of the NaCl concentration and C/N ratio. However, the removal of nitrogen was affected more by C/N ratio than the salt concentration. While handling fish market wastewater, though the organic and nitrogen loading rate were varying between $0.009{\sim}0.259gCOD_{OH}/gVSS/day$ and 0.005~0.034 gN/gVSS/day, the effluent concentrations were far less than the effluent standard of $120mgCOD_{OH}/L$ and 60 mgN/L respectively, except when loading rates were fluctuating and 4 times higher than the average.

국적외항선사의 시장집중도 분석 (A Study on the Market Concentration Analysis of Korean Ocean-going Shipping Companies)

  • 하민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51-358
    • /
    • 2022
  • 본연구는 매출액 기준 세 가지 분석에 따라 국적외항선사들의 시장 지배력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부의 선택과 집중에 기반한 해운 재건정책 전략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세 가지 분석 결과 모두 2019-2021년 최근 3년간 CR4(Concentration Ratio)값 및 HHI(Hirschman-Herfindahl Index)값이 증가하여 국적외항선사의 시장구조는 경쟁시장에서 다소 집중된 시장으로 변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원양컨테이너선사(i.e. HMM과 SM상선)의 시장 점유율이 역내아시아선사 및 부정기선사에 비해 크게 상승하였으며, 컨테이너 정기선 해운시장의 경우 독점시장 또는 고집중적 과점시장화가 된 것으로 나타났다. 타 시장에 비해 원양 컨테이너 운임의 높은 상승은 원양컨테이너 선사의 시장지배력 강화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으며 여기에 정부지원으로 인한 선대확충으로 초과 수익을 달성했다고 볼 수 있다. 결과론적으로 정부의 선대확대전략은 기대 이상의 결과를 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나 우리나라 국적선사의 시장구조가 견고해 졌는지 결론을 내기는 한계가 있다.

방산시장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of Korean defense market)

  • 이세훈;이승훈;정용석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4호
    • /
    • pp.15-2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방산시장의 시장구조와 경쟁현황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방위산업과 방산시장의 특징을 살펴보고, 연도별 주요 방산업체 매출액을 바탕으로 시장점유율 및 상위 기업집중률, 허핀달-허쉬만 지수를 적용하여 시장구조와 경쟁현황을 분석해 봄으로써 국내 방산시장이 독과점구조에서 벗어나 경쟁지향적 시장 형태로 변화하도록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방산시장과 유사한 형태의 시장들을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방산업체의 다양한 공급능력 구비를 위한 정부의 지원정책 추진, 정부 주도하 방산제품의 공급 시기, 규모, 기간을 고려한 기업 선정, 군 소요에 대한 정보 제공 등의 개선사항을 제안하였다. 이는 정부가 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 근본적인 시장구조 개선 및 산업 차원의 정책개발을 통해 공정하고 원칙에 맞는 방산시장을 조성하여 기업 운영의 효율성을 추구하기 위함에 있다.

한국 은행들의 합병, 통합 이후 효율성과 경쟁도는 개선되었는가? (What Happened to Efficiency and Competition after Bank Mergers and Consolidation in Korea?)

  • 박강훈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3권3호
    • /
    • pp.33-55
    • /
    • 2011
  • 한국 은행산업의 시장집중은 1997~98년 금융위기 이후 은행들의 합병, 인수 등으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한국 금융부문의 시장지배력에 대한 우려 또한 늘어났다. 본고는 1992~2006년의 기간 동안 한국에서의 은행의 효율성과 경쟁도에 대한 시장집중도 변화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은행 비효율성의 측정을 위하여 방향성 기술거리함수에서 도출되는 X-비효율을 포함한 세 가지 다른 지표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으며, 은행의 경쟁도는 Panzar-Rosse 모형의 H-통계로, 또는 순이자 마진의 수준과 편차의 변화로 측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시장집중 증가가 규모 및 범위의 경제를 통해 은행의 효율성을 제고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최근의 은행 합병, 인수와 통합은 세 가지 지표(X-비효율, 노동 비효율 및 자산 비효율)에 의해 측정된 비효율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은행의 시장점유율 증가는 은행의 효율성을 개선시키는 반면, 전체 은행의 시장집중도의 증가는 효율성을 낮추는 결과를 초래했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의 은행부문은 금융위기 기간을 제외한 샘플 기간 동안 독점적 경쟁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시장집중도의 증가는 은행 경쟁도의 전반적인 수준에 변화를 초래하지는 않았지만, 평균 이자 마진의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업의 연구개발투자 결정요인분석 -시장구조 및 재무적 요인을 중심으로- (The Determinant of Invest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Analyze - on its Market Structure and Financial Factor -)

  • 황은정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1권
    • /
    • pp.239-26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structure, measured by Herfindahl-Hershmann Index(HHI), and financial factors, and innovation in Korean industry panel datasets for 2000-2006. Results show that debt ratio and scale of the firm has a consistent positive effect on the invest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As more scale of the firm is getting bigger, the investment in R&D decrease. Also, as more debt ratio of firm rise, the investment for innovation increase. Concentration ratio, the HHI and the classification factor of High-tech industry and Low-tech industry has a consistent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on. Factors affecting the invest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include market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industry as well as the internal affairs of the firm.

  • PDF

한국 면세점 산업의 구조, 독과점인가? (Is the Korean Duty Free Shop Industry Monopolistic?)

  • 이희태;차문경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10호
    • /
    • pp.47-57
    • /
    • 2016
  • Purpose - This study's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market structure of the Korean duty free shop industry that has received recent attention from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By raising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 Korean duty free shop industry is unequivocally monopolistic, a wider viewpoint is provided. The study seeks to offer insight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marketers and policy makers who are in charge of regulating major Korean duty free shop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authors use secondary data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Korea Customs Service and the Moodie Report,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the duty free shop industry of Korea. Based on several theories, they present various criteria and statistical evidence such as K-firm concentration ratio, HHI, consumer substitutability, excess profit, and marketing costs. Results - In terms of consumer substitutability, it is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Korean duty free shop industry is monopolistic. Notwithstanding monopoly characteristics in terms of market share, neither the company Lotte nor Shilla appear to have market dominating power. It is not easy for either of them to control prices or to achieve a much lower operational profit ratio due to a dominant bargaining power. Moreover, the license is not an economic rent. In this situation, it is not easy for these companies to obtain an excessive profit. Conclusions - Considering that most global duty free shops are trying to go upscale to improve bargaining power, it does not seem likely that rigid regulations are needed in the industry. Even though the Korean duty free industry ostensibly has a monopolistic structure, government and policy-makers should look beyond the surface. They should take global and other reasonable criteria into consideration when they establish or change regulation policies. Thorough understanding and appropriate support are needed for the Korean duty free shop industry. Additionally, duty free shops should position themselves as global companies struggling against unlimited international competition, rather than Korean domestic companies. At the same time, they need to give customers appropriate information about the benefits they provide.

건설 사업관리 시장의 경쟁 구조분석 (An Analysis of the Competitive Structure of the Construction Management Market)

  • 윤하정;이윤선;김재준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3-201
    • /
    • 2013
  • 최근 국내 CM(건설사업관리) 시장의 규모는 전년도 대비 미비한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CM시장에 참여하기 시작한 국내 기업들은 급격히 늘어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CM시장의 경쟁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시장집중도 및 DEA 모형의 Malmquist 생산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CM시장은 소수 기업에 의해 독과 점유되고 있으나 점차 완화될 것으로 나타났으며, CM시장과 기업은 생산적이지 못하지만 점차 생산성 지수가 상향되고 있다고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CM시장의 이해관계자들에게 CM시장의 경쟁 흐름을 이해할 수 있는 방향 지표를 제공함으로써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Empirical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Market Competition Structure and Overvaluation

  • CHA, Sang-Kwon;PARK, Mi-Hee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99-108
    • /
    • 2020
  • Purpose: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competition and firm valuation error. Furthermore, Additional analyses were made according to the quality of financial reports and the listed market. Through the process we confirm to the impact of competition on the capital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competition on valuation errors. The preceding studies did not provide a consistent results of the effects of competing functions on the capital market. One view is that the competition could mitigate the information asymmetry, and the other is that monopolistic lessens the manager's involvement in financial reporting.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and the prior study by analyzing the impact of competition on the capital market and on the valuation of investo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12,031 samples over 11 years from 2008 to 2018 using data from market in Korea. Here the valuation error was measured by the research methodology of Rhodes-Kropf, Robinson and Viswanathan (2005), and competition measured by Herfindahl-Hirschman Index multiplied by (-1), and Concentration Ratio by (-1). Results: We confirm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on and the valuation error. In addition, we also found that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competition and valuation error was in cases of low discretionary accruals and the KOSDAQ market. This means that the net function of competition does not mitigate valuation errors. Conclusion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contributions when compared to prior research. First, the relevance between the level of competition and the valuation of the entity was confirmed. The study by Haw, Hu and Lee (2015) suggested that monopolistic industry of analysts' forecast is more accurate due to lower the variability in earnings. This study magnified it to confirm that monopolistic lessen information uncertainty in valuation. Second, the study on valuation errors was expanded. While the study on the effect of valuation errors on the capital market is generally relatively active, it is different that competition degree has analyzed the effect on valuation errors amid the lack of research on the effect on valuation errors.

시장집중도를 이용한 바이오헬스산업의 지역개발격차 분석 및 시사점 -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Intra-regional Disparities by using Market Concentration Ratio - Focusing on the Chungcheongbuk-do region -)

  • 조예진;최상은
    • 지역연구
    • /
    • 제39권2호
    • /
    • pp.19-30
    • /
    • 2023
  • 본 연구는 공간적 범위가 다른 지역 간 개발격차를 파악하기 위해 산업조직론의 집중지수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한 정책적 시사점 제안한다. 연구의 범위는 2000년대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해당 산업을 육성해 온 충청북도 11개 시·군이며,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지역개발격차지수 이론을 기반으로 상위기업집중률과 허핀달 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지자체가 경쟁적으로 육성 의지를 표명하고 있는 바이오헬스산업으로 대상지의 시·군경쟁력강화산업 결과를 기반으로 4개의 세부분야(제약, 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 화장품)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세부분야별 매출액, 종사자수, 연구개발비를 기준으로 분석한 지역개발격차지수 결과에 따라 지역별로 강점이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결과를 통해 향후 지역별 차별화된 산업육성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