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tal Power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초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prenatal depression in pregnant Korean wom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cross-sectional study

  • Mi-Eun Kim;Ha-Neul Jung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4-290
    • /
    • 2023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enatal education characteristics, pandemic-related pregnancy stress, and health behaviors during pregnancy on prenatal depression in pregnant women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80 pregnant Korean women, recruited from internet communities for pregnancy preparation, childbirth, and childcare, from July 5 to 15,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the Mann-Whitney U-test, the Kruskal-Wallis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scores for pandemic-related pregnancy stress (24.50±6.37) and health behaviors during pregnancy (67.07±9.20) were high. Nearly half of the participants (n=89, 49.4%) presented with prenatal depression, with scores of 10 or greater. Prenatal depress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gestational age (r=.18, p=.019) and pandemic-related pregnancy stress (r=.27, p<.001),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alth behaviors during pregnancy (r=-.42, p<.001).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renatal depression were pandemic-related pregnancy stress (t=4.70, p<.001), marital satisfaction (dissatisfied) (t=3.66, p<.001), pregnancy healthcare practice behaviors (t=-3.31, p=.001), family type (weekend couple) (t=2.84, p=.005), and gestational age (t=2.32, p=.022).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38.2%. Conclusion: Since participants had a high level of prenatal depression during the pandemic, and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may recur,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pregnant women's mental health with consideration of the unique variables that are relevant in a pandemic.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efficient online prenatal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implemented even in special circumstances such as social distancing, and to evaluate their effectiveness.

병원직원들의 죽음 및 호스피스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spital Staff's Perception of Death and Hospice)

  • 김미정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7권2호
    • /
    • pp.15-2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hospital staff's perception of hospice and death and thereby, suggest the ways to help them have a mature attitude towards and a better understanding of death through an effective education on hospi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some data useful for the hospital staff not experienced in facing the dying patients to handle the desperate situation skillfully and engage themselves more effectively in their hospice service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staff of 'C' hospital in Seoul about their hospice philosophy, attitudes towards hospice and perception of death for the period from February, 2006 to March, 2006. A total of 751 subjects responded effectively to the survey.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SF55 11.0 for ANOVA and T-test in order to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subjects' perception of death, their demographic variables, their health condition, their hospice philosophy formed from their experiences of patients' death and hospice services and their attitudes towards hospice. Besides, the correlations among their hospice philosophy, perception of death and attitudes towards hospice were t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esting the relationships among subjects' experiences of health consulting. their experiences of patients' death and hospice and their hospice philosophy, it was confirmed that their experiences of health and death consulting and their experiences of having been educated were relevant. Second, it was found that such variables as health condition, death, experience of hospice and attitude towards hospice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Third, as a consequence of testing the relationships among health condition, death, experience of hospice and perception of death, it was disclosed that only the physical health condition was significan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subjects' hospice philosophy, perception of death and attitudes towards hospice were at the usual level on average. Fifth, hospice philosophy, perception of death and attitudes towards hospice were found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each other. Sixth, as a result of the stepwise variable adjustment for such variables as hospice philosophy, perception of death, attitudes towards hospice, it was found that the adjusted r-square value was 0.347 when departments, experience of having been requested by dying patient for consulting, experience of having been educated on hospice, religion and marital statu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estimated value of each variable was found significant. Seventh, as a consequence of conduct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etting 'religion' as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 it was found that the estimated value of physical health condition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is, as a result of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for 'religion' only, its explanatory power was found .197, while its adjusted r-square value was 0.20. Eight, it was found that subjects' attitude towards hospi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ch variables of experience of patient's or relative's death, experience of having been requested for consulting about death, gender, marital status and departments.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ubsequent stepwise adjustment for this variable, it was found that only 'experience of having been requested for consulting' had some explanatory power: its adjusted r-square value was 0.089. As discussed above, this study tested the correlations among various variables including hospital staff's attitude towards hospice and perception of death and thereby, provided for the data useful for their education on hospice.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at it proved that it would be essential to educate hospital staff on hospice for more effective care of hospice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at hospital.

  • PDF

SVM과 meta-learning algorithm을 이용한 고지혈증 유병 예측모형 개발과 활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ediction model of hyperlipidemia using SVM and meta-learning algorithm)

  • 이슬기;신택수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2호
    • /
    • pp.111-124
    • /
    • 2018
  • 본 연구는 만성질환 중의 하나인 고지혈증 유병을 예측하는 분류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SVM과 meta-learn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성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각 알고리즘에서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변수선정 방법을 통해 유의한 변수만을 선정하여 투입하여 분석하였고 이 결과 역시 각각 성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의료패널 2012년 자료를 이용하였고, 변수 선정을 위해 세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둘째,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변수를 선정하였다. 한편, 이렇게 선정된 변수를 기준으로 SVM, meta-learning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고지혈증 환자분류 예측모형을 비교하였고, TP rate, precision 등을 사용하여 분류 성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변수를 투입하여 분류한 결과 SVM의 정확도는 88.4%, 인공신경망의 정확도는 86.7%로 SVM의 정확도가 좀 더 높았다. 둘째, stepwise를 통해 선정된 변수만을 투입하여 분류한 결과 전체 변수를 투입하였을 때보다 각각 정확도가 약간 높았다. 셋째, 의사결정나무에 의해 선정된 변수 3개만을 투입하였을 때 인공신경망의 정확도가 SVM보다 높았다. 유전자 알고리즘을 통해 선정된 변수를 투입하여 분류한 결과 SVM은 88.5%, 인공신경망은 87.9%의 분류 정확도를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meta-learning 알고리즘인 스태킹(stacking)을 적용한 결과로서, SVM과 MLP의 예측결과를 메타 분류기인 SVM의 입력변수로 사용하여 예측한 결과, 고지혈증 분류 정확도가 meta-learning 알고리즘 중에서는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의 폭력남편과 가정폭력범죄 행위자들의 특성 비교 (A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Maritally Violent Men in a Community Sample and Batterers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 장희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4호
    • /
    • pp.141-168
    • /
    • 2006
  • 본 연구는 사회에 노출되지 않은 지역사회의 폭력남편들과 사법부의 처벌을 받은 아내폭력 가해남성들의 중요한 특성이 무엇이며, 서로 어떻게 다른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52명 비폭력 남성들과 사법체계의 사회기관과 접촉이 없는 82명 폭력남편들, 그리고 가정폭력범죄 처벌을 받은 336명 행위자들을 세 집단으로 분류해서 비교하였다.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비폭력 또는 지역사회 폭력집단을 예측하는 요인들은 자녀폭력, 부부평등결정권, 소득으로 나타났다. 법원의 처벌을 받은 행위자들은 아내폭력을 허용하는 태도, 학력, 자녀폭력, 질투심에서 비폭력 남편들과 구별되고 있었다. 사법체계에 노출되지 않은 지역사회의 폭력남편들은 노출된 집단보다 학력이 높고, 결혼기간이 길며, 스트레스 수준이 월등하게 높았다. 반면 가정폭력범죄 행위자들은 지역사회 폭력남편들에 비해 알코올 문제와 폭력을 허용하는 태도를 더 많이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총 333명을 대상으로 MCMI-III 척도에서 제시하는 성격을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지역사회 폭력남편들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수동공격적인 성향이 강하고, 사법체계 행위자들보다 자기애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법체계 폭력집단에서는 상대집단들과 비교할 때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만이 고유한 특성으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기초로 이론적 논의와 실천적 방안이 제시되었다.

  • PDF

요양병원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간호전문직관, 직무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leadership, Nursing Professionalism, Job involve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 권상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9권2호
    • /
    • pp.61-75
    • /
    • 2020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간호전문직관, 직무몰입과 이직의도의 정도와 관련성을 파악하며 요양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35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하여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이직의도는 평균평점 2.87점으로 연령, 결혼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셀프리더십은 3.66점으로 연령이 많을수록, 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셀프리더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3.42점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몰입은 3.51점으로 측정되었다. 셀프리더십, 간호전문직관, 직무몰입이 이직의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는 간호전문직관, 결혼상태, 연령이 유의한 변수였으며 설명력은 30.6%로 나타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요양병원은 간호 전문성 향상을 위한 내·외적 교육에 대한 조직의 지원과 간호업무에 몰입할 수 있는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간호업무 수행을 위한 병원조직 관리체계에 대한 재정비도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경주지역 주민들의 약선요리 이용형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Medicinal Food Consumption Patterns in Gyeongju Area)

  • 황영정;김경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89-203
    • /
    • 2013
  • 본 연구는 경주지역 소비자를 중심으로 약선요리에 대한 이용형태를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관광자원으로서 약선요리의 상품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을 위해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56부의 자료를 표본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WIN 20.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라 약선요리 선택속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결과는 평균비용에서 남녀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라 약선요리 선택속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결과는 맛비교에서 기혼과 미혼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 약선요리 선택속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결과는 인지정도, 맛비교, 건강비교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 약선요리 선택속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결과는 인지정도에서만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따라 약선요리 선택속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결과는 연령과 마찬가지로 인지정도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경주지역 약선요리 전문점의 경쟁력을 위해서는 다양한 메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약선요리 전문점의 전문성을 고객에게 상기시킬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PDF

지하철 역무직 근로자의 주간수면과다증 영향 요인 (The influential Factors of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for public Service Workers at Subway Stations)

  • 최숙경;정은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225-233
    • /
    • 2015
  • 본 연구는 서울시내 소재 지하철 역무직 근로자 927명을 대상으로 주간수면과다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로 웹사이트에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일반적 특성에서 결혼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건강관련특성에서 취미/여가 활동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관련특성에서 근무장소, 소속만족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직무스트레스 요인으로 물리적 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조직문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간수면과다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취미여가활동, 소속만족도, 물리적 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 조직체계, 조직문화 이었으며 20.5%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향후 역무직 근로자들에게 주간수면과다증을 예방할 수 있는 취미/여가활동의 권장과 직무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물리적 환경개선, 조직체계의 변화 및 조직문화의 만족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제안한다.

ICNP의 후향적 개발방법에 의한 한국가족현상 (Development of Family Nursing Phenomena in Korea by Retrospective Method of ICNP)

  • 윤순녕;김현숙;권영숙;박경민;김화중;이지현;고영애;소애영;양순옥;전경자;이인숙;김염임;김은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75-290
    • /
    • 199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family nursing phenomena at the community in Korea and to contribute to build up family domain of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Nursing Practice.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used retrospective one among three methods to develop ICNP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97 to June 1999. The procedure was to choose nursing phenomena using preliminary terms(stepl) from the reports on family nursing care of the nursing students of 5 junior colleges of nursing and 5 colleges of nursing. The study group members identified 3 common family nursing phenomena with 5 characteristics related to each phenomenon. In order to consensus the appropriate characteristics of a phenomenon(step2), 17 study group members had regrouped nursing phenomena and scored its characteristics 5 time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each family phenomenon were selected above 3.5 mean score from related characteristics(step 3). Finally, 17 phenomena were named preferred terms such as following, that was selected after investigated preliminary terms(step4). Family nursing phenomena in Korea are named as Lack of family interaction in community. Social isolation. Lack of social support system in community. Disturbance in parent role, Disturbance in marital role, Dissatisfaction of sexual life, Disturbance in family communication, Inappropriate family coping, Lack of family intimacy, Inappropriate family power structure, Family violence. Unhealthy life style. Deficit of financial management skill and support. Inadequate care a sick member. Insecure safety and hygiene in neighborhood, Inadequate home-sanitation. Inadequate home-making. Family nursing phenomena in Korea were partially confirmed family architecture of ICNP, Beta version. by this study. Further study on Family nursing phenomena in Korea will be required to support evidence through literature review of nursing classifications or field studies.

  • PDF

전문병원간호사가 지각한 내부 마케팅과 고객지향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Internal Marketing and Customer Orientation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in Specialized Hospital)

  • 임경민;조은주;권정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89-498
    • /
    • 2016
  • 본 연구는 전문병원 간호사가 지각한 내부마케팅과 고객지향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 5개 전문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149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5월 01일에서 2015년 5월 30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조직몰입 정도는 연령, 결혼유무, 교육정도, 임상경력, 직위, 근무형태, 근무부서, 병상 수, 내부고객만족조사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직몰입은 내부마케팅과 높은 상관관계가, 고객지향성과는 낮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조직몰입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는 내부마케팅, 근무부서, 교육정도, 직위 순이었고, 전체 설명력은 58.5%이었다. 따라서 전문병원 간호사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근무환경을 개선하며, 정기적인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는 등의 내부마케팅 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다.

중증질환자의 민간의료보험 가입 현황 및 관련요인 (Status and related factors of private health insurance for severely ill patients)

  • 김석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97-505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중증질환자들을 대상으로 민간의료보험 가입자와 미가입자간의 특성을 파악하고, 가입 요인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연구도구는 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SPSS ver 23.0을 사용하였고, 연구 대상자는 19세 이상 중증질환자(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417명을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민간의료보험 가입 현황과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민간의료보험 가입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서는 성별, 거주지, 혼인상태와 관계없이 나이가 젊을수록 높았다. 그리고, 사회 경제적 상태에서는 교육수준과 관계없이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의료급여대상자에 비하여 건강보험대상자의 가입률이 높았다. 건강행태에서는 주관적 건강 인식 및 걷기 실천과 무관하게 활동제한이 있는 집단의 민간의료보험 가입률이 낮았으며, 설명력은 51.7%이었다. 그러므로, 중증질환자 중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하지 못한 집단을 선별하여 생활환경 개선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촉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적 취약계층 및 건강행태에 제한 있는 집단을 대상으로 중증질환 예방을 위한 정부의 보건교육 또는 프로그램 제공 등 다양한 보건정책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