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pollution control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8초

해양 퇴적토전지의 발전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lectricity Generation of Marine Sediment Cells)

  • 이은미;권성현;이인형;박병기;조대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47-653
    • /
    • 2011
  • Sediment cell is renewable energy which produces electric energy using immanent ingredients or reducing power of marine sediment as natural resources. Also the cell has an advantage that environmental pollution can be reduced through conversion of organic and inorganic contaminants into inert matter with generation of the energy. In this paper, we compared characteristics of electricity generation of the two different sediment cells, and investigated the regeneration effect of the sediment cells with manipulation of the sediment such as mixing and re-positioning. The results showed that 14.1 $W/m^2$ of power was obtained with the aluminum electrode, and the mixing of the sediment could increase the power by 4 $W/m^2$ compared to the control. Also, mixing the sediment has kept electricity for 4 weeks at a relatively constant level, which implied 'fuel regeneration effect'. Meanwhile, the sediment cell was proved to be effective in reduction of COD, which was up to 28.6%.

연안의 효율적 수질관리 방향과 해양환경영향평가 (Effective Coastal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이대인;엄기혁;김귀영;홍석진;이원찬;장주형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9-37
    • /
    • 2008
  • 본 연구는 연안의 수질개선과 오염제어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수질관리의 원리와 기법, 연안오염총량관리제 및 선진사례를 검토하였고, 현재 오염총량 산정시 나타나는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지적하였다. 또한, 오염총량제와 환경용량과의 관계, 해양환경 예측 모델로 활용되고 있는 생태계모델의 연구접근에서 중점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사항을 토의하고, 나아가서 연안수질 관련 제도와 정책에서 반영하고 흡수해야 할 수질관리 내용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안오염총량제의 대상이 되는 연안에서는 환경영향평가와 사전환경성검토에서 해당하는 개발사업이나 계획 중 신규 오염원에 대해서는 오염부하삭감량과 할당량을 산정해서 평가서에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고, 연안관리지역계획에서는 환경관리계획에 좀 더 중심을 옮겨 기본적으로 관할 해역으로 유입하는 오염원과 오염부하량 자료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특별관리해역 등 향후 연안오염총량제 적용대상이 되는 지자체에서는 하수도관리계획 등 도시계획을 수립할 때 이러할 점을 고려해서 장기적이고 일관성있는 하수도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연안오염총량제도는 다른 환경관리해역으로 점진적으로 확대 시행되어야 할 것이로, 그 외의 지역은 지자체장이 주부장관과의 협의를 통해 자발적으로 시행하고 인센티브를 주는 것도 검토해야 할 것이다. 해역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생태계모델링에 의한 환경용량(수질적 차원의 총허용오염부하량) 산정이 필수적이며, 이와 관련한 적용모델의 신뢰성과 과학적 타당성 확보는 환경영향평가 관련 협의시 매우 중요한 검토항목으로 고려되고 있다 연안 육역에 존재하는 오염원에 대해서는 연안환경을 관리하는 주무부처가 주도적으로 감시 감독하고 관리체제에 환한 법적 거를 마련하거나 관련 법률을 정비해서 통합 운영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미국 멕시코만 오염사고 분석을 통한 국가방제정책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ational Marine Pollution Response Policy based on the Analysis of Gulf of Mexico Oil Spill Incident)

  • 김상운;임창수;이완섭;하창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7-264
    • /
    • 2011
  • 2010년 4월 20일, 반잠수식 시추선 Deepwater Horizon호가 폭발,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490만배럴(약 77.8만톤)의 원유가 미국 멕시코만으로 유출되었다. 이 사고로부터 1년 이상이 경과함에 따라 정부 측과 오염행위자 측의 각종 분석보고서와 사고로부터 얻은 교훈 등이 발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지시로 구성된 "Deepwater Horizon 기름유출과 원해 석유시추에 관한 국가위원회"의 최종보고서와 미국 해안경비대(USCG)와 미국 에너지 관리 규제 집행국(BOEMRE) 합동조사반의 중간보고서를 바탕으로 기름오염 사고 원인과 사고대응에 대한 측면을 중점적으로 검토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정부에서 유출구 봉쇄조치 지도감독 능력 강화, 현장소각과 임시방제정 프로그램의 도입검토 및 향후 미국의 연구개발성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 국가방제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해양오염 평가를 위한 빨강따개비(Megabalanus rosa)의 생리생화학적 오염지표의 개발 (Development of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Bioindicators of Barnacle, Megabalanus rosa for Marine Pollution Assessment)

  • 이장원;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76-282
    • /
    • 2003
  • Using Megabalanus rosa a sessile filterfeeder, its scope for growth (SFG) by analysis of energy budget were examined and free amino acids composition of whole body tissue were analyzed under the exposure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Hg Cu and Cd. The $96\;hr-LC_{50}$ of the barnacle after 96 hr exposure to Hg, Cu, and Cd were 0.220, 0.269 and $1.380\;mgL^{-1}$, respectively. Hg and Cu showed stronger toxicity than Cd, while Hg and Cu had similar influence on the survival of the barnacle. SFG of the barnacles exposed to sublethal concentrations of mercury was 18.936 $Jgdrywt.^{-1}hr^{-1}$ in control group and as increase of mercury concentration the SFG remarkably reduced to 0.041 $Jgdrywt.^{-1}hr^{-1}\;at\;0.1\;mgL^{-1}$ concentration of Hg. In the case of Cu, the SFG was 29.841 $Jgdrywt.^{-1}hr^{-1}$ in control group and as increase of concentration, the SFG remarkably reduced to -8.304 $Jgdrywt.^{-1}hr^{-1}\;at\;0.1\;mgL^{-1}$ concentration. In Cd the SFG was 15.852 $Jgdrywt.^{-1}hr^{-1}$ in control group, and as increasing concentration, the SFG remarkably reduced to -19.490 $Jgdrywt.^{-1}hr^{-1}\;at\;0.1\;mgL^{-1}.$ Content of free amino acid (FAA) of whole body tissue of the barnacle was 45084 $mgkg^{-1}$ in control group, but it was reduced remarkably to 28,130, 37,500 and 37,106 $mgkg^{-1}$ at 0.1 $mgL^{-1}$ concentration of Hg and Cu, and 0.4 $mgL^{-1}$of Cd, respectively. Sum of threonine + serine was 1,334 $mgkg^{-1}$ if control but reduced remarkably to 1,223, 849 and 888 $mgkg^{-1}$ at 0.1 $mgL^{-1}$ of Hg and Cu, and 0.4 $mgL^{-1}$ of Cd, respectively.

Analysis of the Emission Benefits of Using Alternative Maritime Power (AMP) for Ships

  • Kim, Kyunghwa;Roh, Gilltae;Chun, Kangwoo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81-394
    • /
    • 2019
  • The marine industry contributes a large proportion of the air pollutant emissions along coastal regions, and this air pollution has been strongly linked to cardiovascular diseases and other illnesses. To alleviate the problem, many ports have installed alternative maritime power (AMP) facilities that enable onboard marine auxiliary engines with generators (gensets) to be shut down while a ship is at berth. This study compared the emissions from conventional gensets with those from AMP facilities, focusing on four emission types: greenhouse gases (GHG), sulphur oxides (SOX), nitrogen oxides (NOX), and particulate matter (PM). Both direct (combustion / operation) and indirect (upstream) emissions were considered together for the emission comparison. The results showed that AMP has lower emissions than conventional onboard gensets, and this benefit is highly dependent on the electricity generation mix onshore. On average, GHG emissions could be reduced by about 18.3 %, while the other emissions (SOX, NOX, and PM) would decrease more dramatically (88.4 %, 90.1 %, and 91.5 %, respectively). Additionally, future benefits of the AMP would increase due to the expansion of renewable energies. Thus, this study supports the potential of AMP as a promising solution for environmental concerns at ports worldwide.

해양저서동물의 정량적 자료에 대한 정도관리 현실과 개선안 (Present Status of the Quality Assurance and Control (QA/QC) for Korean Macrozoobenthic Biological Data and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

  • 최진우;김종성;송성준;류종성;권봉오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6권3호
    • /
    • pp.263-276
    • /
    • 2021
  • 해양저서동물은 해양의 환경오염에 대한 모니터링과 평가에 활용되었고, 최근에는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복원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인식되고 있다. 한국에 있어서도 오염상태를 평가하는 환경영향평가에 주요 구성원으로 들어가 있어서 많은 연안역에서 저서동물군집에 대한 정량적 연구가 1970년대 중반 이후 50년간 수행이 되었다. 이런 연구의 종 동정에는 생태전문가가 일정기간 분류에 대한 교육을 받아서 수행해 온 것이며, 그 과정에서 저서동물의 동정을 소홀히 하였거나 잘못 동정하여 정보축적에 혼선이 있었으며, 분류전문가 부족으로 저서생물 시료를 종 수준까지 다루지 못한 것이 현실이었다. 해양생태계 기본조사와 같은 국가적인 연구조사에서도 저서동물에 대한 종 동정에 분류학 전문가의 참여가 적다는 것이 현실이고, 이로 인한 저서동물군집 자료에서 일부 분류군의 종 동정이 미흡하여 자료의 질적 저하를 초래한 면이 있었다. 영국에서는 해양생물의 정량적 자료 생성을 표준화하기 위해서 1990년대 국가해양생물분석질관리계획(National Marine Biological Analytical Quality Control, NMBAQC Scheme) 이라는 정도 관리체계를 만들었고, 국가 해양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모든 기관에 해양생물 분석역량을 측정하고, 미흡하면 재교육과 훈련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는 아직 이러한 해양생물을 조정할 수 있는 기관과 인력이 미흡한 실정이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같은 공인기관이 존재하고 있어도 생태자료를 담당할 인력 부족으로 생태자료의 정도관리를 맡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안으로서 단기적으로는 (1) 최소한 주요 우점종에 대한 종 동정을 분류전문가에게 확인을 받는 방안, (2) 가능하면 생물군별로 분류전문가를 연구조사에 참여시키는 방안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는 (3) 다양한 분류전문가를 포함하는 (가칭) '(재단법인) 해양생물 분류협회'를 설립하여 생물자료에 대한 정도관리와 전문가 양성과 훈련을 주관하는 방안 등을 제안하는 바이다. 향후 법인의 설립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나 법제적인 문제는 학회나 공청회를 통하여 보완하는 방안이 있겠다.

국내 해양산업시설의 위험유해물질 배출 관리 지침개발을 위한 국외 사례 검토: US EPA 배출지침을 중심으로 (Case Study on the Effluent Guidelines of Foreign Cases for the Development of Hazardous Noxious Substances (HNS) from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Management Guidelines, Korea: Focusing on the US EPA Guidelines)

  • 최기영;김창준;김영일;강원수;이문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spc호
    • /
    • pp.44-49
    • /
    • 2022
  • 해양환경의 위험유해물질 배출규제는 주로 선박이나 해양시설 등으로부터의 오염규제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안 인접 산업시설들의 위험유해물질 배출 허용기준 및 배출 지침 수립 등의 해양배출제도의 수립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산업시설의 위험유해물질 배출 허용기준 및 배출 지침 정보를 자세히 제공하고 있는 미국 환경보호청(US EPA)의 자료를 중심으로 허용기준 및 배출 지침 수립 등 배출 제도 체계를 소개하고 향후 국내 배출지침 적용에 대해 고찰했다.

Design of Induction Heating Coil for Automatic Hull Forming System

  • Ryu, Hyun-su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60-366
    • /
    • 2018
  • In shipyards hull forming is performed by the line heating method using a gas torch and by cold treatment using a roll-press. However, this forming process has some issues, such as difficulties in controlling and accurately estimating the amount of the heat input, as well as a harsh working environment due to exposure to loud noises and air pollution. The induction heating method, which is introduced in this paper, exhibits good control and allows for the estimation of precise heat input. Also, workers can carry out the induction heating in a comfortable working environment. In this research, the induction heating simulation, which consists of electro-magnetic, heat transfer and thermal elasto-plastic analysis, was developed and modified through induction heating experiments. Finally, the effective heating coil was designed for the automatic hull forming 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induction heating simulation. For the purposes of a future study, if an algorithm to obtain optimal working conditions is developed, automatic systems for hull forming can then be constructed.

해양안전기술로드맵 작성에 관한 연구 (Technology Road Map for Marine Safety and Pollution Control)

  • 이종갑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57-6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정부, 기업 둥에서 기술개발 기획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기술로드맵(Technology Roadmap)및 이를 기초로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의 해양안전 분야 중장기 연구개발계획의 수립을 위한 기획연구의 차원에서 작성 중인 해양안전기술로드맵에 대하여 소개한다.

  • PDF

점원 오염부하 제어에 의한 광양만의 수질관리 (Water Quality Management of Kwangyang Bay by Point Pollution Source Control)

  • 이대인;박청길;조현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8-39
    • /
    • 2001
  • 광양만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환경변동에 따른 수질을 예측해서 부영양화를 억제하고 수질 환경회복을 위한 적절한 수질관리대책을 제시하기 위해서 생태ㆍ유체역학 수치모델을 이용하였다 광양만에 대한 점원 오염부하량의 약 90%가 폐수배출부하량이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영양화 기준인 Chl. α 10㎍/L이하와 해역수질환경기준 II등급인 COD 2㎎/L이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점원 오염부하량의 약 35%이상 저감하는 대책이 요구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