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afforestation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9초

바다숲 조성사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 강릉 주문진 바다숲 조성사업을 대상으로 (An Economic Analysis of the Marine Afforestation Project in Gangneung Region, Republic of Korea)

  • 박경일;홍혜수;김도훈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727-737
    • /
    • 2016
  •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iveness (direct fishing income effect) of the marine afforestation project in Gangneung region. Based on the surveyed data, the production values and costs of the marine afforestation project are estimated and compared to determine the economic validity of the marine afforestation project. Results show that the B/C ratio, as an indicator of economic evaluation, is 1.30 with an interest rate of 5.5%, indicating that the marine afforestation project in Gangneung region would be economically feasible under the current production and market conditions.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economic effectiveness would be increased when considering benefits of recreational fishing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from the marine afforestation project.

입자추적기법을 이용한 바다숲 조성지의 확장에 관한 수치예측 (A Numerical Estimation on Extension of Marine Afforestation Area using Particle Tracking Method)

  • 조재권;김대권;이문옥;오태건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922-934
    • /
    • 2010
  • 바다숲 조성용 시설물의 효율적인 배치를 위하여 수치실험을 통하여 바다숲 조성 예정지의 조석류에 의한 해수흐름을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해수흐름을 바탕으로 하여 해조포자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입자추적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치실험에 사용된 수치모형은 EFDC(Environmental Fluids Dynamics Code)를 사용하였으며, 연직방향으로 총 5개 층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바다숲 조성대상해역의 해수흐름패턴은 대상해역 바깥쪽의 주류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잔차류를 분석한 결과 크게 두 개의 순환 고리가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수흐름의 패턴을 고려하여 3곳의 바다숲 시설물의 설치장소를 선정하고 저층에 입자를 투입하여 15일간 추적을 실시한 결과, 1번과 3번 정점은 해안선에 연하여 띠형태로 시설하며, 2번 정점은 연안에서 약 300 ~ 500m정도 떨어진 곳에 타원의 형태로 시설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거문도 바다숲 조성해역의 해수유동 특성 (Tidal Current Characteristics around the Geomoondo Marine Afforestation)

  • 정종암;신춘수;김종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5-32
    • /
    • 2012
  • 거문도 바다숲 조성해역의 해수유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장조사 및 수치실험을 통하여 바다숲 조성해역의 조석류에 의한 해수 흐름을 분석하였다. 수치실험에 사용된 수치모형은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를 사용하여 연직방향으로 총 5개 층을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치모형의 검증은 조위 및 조류 각 2개 정점의 조화분석을 통한 조화상수 비교를 통하여 수치실험결과와 관측결과가 잘 일치하고 조시별 유동장을 잘 재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치실험결과, 바다숲 조성해역의 해수흐름패턴은 대상해역 바깥쪽의 주류에 비해 방파제의 역할을 하는 밖노루섬으로 인해 흐름이 약해지고, 잔차류는 주로 북서방향의 흐름이 형성되나 크기는 미약하게 나타나 포자나 유배 등이 만내에 체류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바다숲 조성시설물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서식지 평가법(HEP)과 3D 공간보간법(Kriging)을 이용한 제주도 바다숲 입지적합성 평가 (Location Suitability Assessment on Marine Afforestation Using Habitat Evaluation Procedure(HEP) and 3D kriging: A Case Study on Jeju, Korea)

  • 이진형;김영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771-785
    • /
    • 2014
  • 바다사막화 현상인 갯녹음이 심화됨에 따라, 바다숲 조성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조성지 선정과정은 행정적 편의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입지적합성 분석 연구도 그 중요성에 비해 매우 제한적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학적 요구치, 해저지형, 인문 사회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합리적인 바다숲 입지적합성 평가모델을 제안한다. 연구지역인 제주도는 우리나라에서 갯녹음 현상이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최근에는 연안 전역으로 확대되고 있기에 바다숲 조성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곳이다. 서식지 평가법(HEP), 3D 공간보간법(kriging) 그리고 계층적 의사결정 과정(AHP)이 연구방법으로 활용되었다. 특히 해양공간의 특성을 반영하는 3차원 공간분석을 실시하여, 기존의 연구보다 현실적인 분석을 도모하였다. 분석결과, 조천연안이 서귀포 표선연안에 비해 입지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조천연안은 최대 61%의 감태 서식적합도를 나타냈으며, 해저지형 조건을 충족하였고, 인문 사회환경 기준에서도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결과는 재정적으로 효율적인 바다숲 입지선정을 가능케 하고, 합리적인 입지를 통한 연안 생태계 복원 및 어촌계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바다숲 조성해역의 물리적 환경을 고려한 최적 적지선정 (A Suitability Selection for Marine Afforestation with Physical Environments)

  • 오태건;김대권;김창길;이문옥;조재권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183-194
    • /
    • 2010
  • 바다숲을 조성하기 위하여 경사도, 퇴적물, 보상심도, 유속 및 파랑 등의 해양물리항목에 대하여 최적적지를 도출하였다. 지형자료 및 물리항목에 대한 공간분포도(GSDM, Gridded Spatial Distribution Map)를 작성하기 위하여 Kriging 보간법을 이용, 래스팅화하였다. 각 항목들은 적지에 부합되는 정도에 따라 적지지수를 부여하였으며, 최적지는 100, 적지후보지는 50, 나머지는 부적지로 처리하여 적지지수(SI, Suitability Index)를 근거로 최적적지를 도출하였다. 각 항목들에 대하여 중첩 분석한 결과 제 1적지는 적지지수 500으로써, 적지면적은 0.25ha였으며, 제 2 및 제 3적지는 400~450의 적지지수를 지닌 곳으로 적지면적은 각각 2.36ha, 1.8ha로 나타났다. 적지분석결과, 제 2 및 3적지에는 보상광량이 낮아도 광합성을 할 수 있는 해조품종과 더불어 사면마찰 안정성이 좋은 시설물을 투여한다면 최적지와 동일한 조성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서식지 평가 방법을 이용한 바다숲 조성 해역의 적지 선정 (A Suitability Selection for Marine Afforestation Using Habitat Evaluation Procedure)

  • 오태건;김이청;양용수;김창길;이문옥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894-905
    • /
    • 2010
  • 바다숲 조성 해역에 대상 해조류의 최적 적지를 도출하기위해 서식지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다. 서식지 평가 방법은 HEP(Habitat Evaluation Procedure)를 이용하여 대상 해조류가 서식하기에 적합한지를 고려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바다숲 조성 해역에서 바다숲을 시설하기에 최적으로 예측되는 곳을 계량적으로 선정할 수 있었으며, 적지 선정에는 수심의 변화에 따른 인자인 광조건과 파랑의 변화 여부가 적지의 공간적 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적지의 총 면적은 18ha로 분석되었으며, 서식 적합 지수(Habitat Suitability Index, HSI)에 의해 분석된 서식지의 질을 계량화한 결과 0.55~0.907(최고치는 1.0) 사이의 범위를 보였고, 선정된 적지가 등 수심선 방향을 따라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바다숲 조성지에 기반 시설인 해중림초를 투하할 때, 수심에 수평 방향의 띠 형태로 시설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바다숲 조성해역의 해조류 포자 확산모델링 (Modelling Algae Transport in Coastal Areas with Marine Afforestation)

  • 조재권;임영수;홍도웅;김종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8
    • /
    • 2012
  • 전남 거문도 바다숲 조성용 시설물의 효율적인 배치를 위하여 수치실험을 통하여 바다숲 조성해역의 조석류에 의한 해수유동을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해수유동을 바탕으로 하여 바다숲 조성해역 인근에 위치한 자연적인 해중림에서 발생한 해조류 포자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입자추적실험 및 부유사 농도변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치실험에 사용된 수치모형은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를 사용하였으며, 연직방향으로 총 10개층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바다숲 조성해역의 해수유동패턴은 대상해역 바깥쪽의 주류에 비해 방파제의 역할을 하는 밖노루섬으로 인해 흐름이 약하고, 잔차류를 분석한 결과 주로 북서방향의 흐름이 형성되나 크기는 미약하였다. 인근에 위치한 자연 해중림은 크게 2곳으로, 이들 해역에 투하한 해조류 포자는 투하한 후 30시간이 경과하면 대부분 해저면에 안착하였다. 포자는 대상 해역의 미약한 흐름에 의해 발생지역에 대부분 안착하였다. 바람조건을 적용한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포자가 남동쪽으로 좀 더 이동하여 안착하나 그 차이는 미미하였다. 부유사 실험결과 부유사 농도는 조시별로 흐름에 따라 농도가 변화하며 표층보다 저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바다숲 조성용 시설물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오동도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of Odong Island, Yeosu)

  • Kim, Chul-Soo;Yoon-Seok Jang;Jang-Geun Oh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0권4호
    • /
    • pp.165-173
    • /
    • 1987
  • Odong Island, Yeosu, is the one of the Hallyosudo National Marine Park. The vegetation of this island was surveed from July, 1986 through April, 1987. By the Braun-Blanquet's method, the vegetation of Odong Island was classified into 7 communities and 4 afforestations; that is, Pseudosasa japonica community and Phyllostachys bambusoides afforestation (bamboo stands), Mallotus japonicus,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s and Celtis sinenesis afforestation (deciduous forests),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community, Chamaecyparis pisifera afforestation (evergreen needle-leaved forests), and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Camellia japonica and Machilus thunbergii-Camellia japonica community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the actual vegetation map of the island was prepared in scale 1:2,600. Judging by the DBH class distribution and many other informations, ww can expect that the coniferous forests area of the island will be replaced by evergreen broad-lea ed forests after a few future.

  • PDF

대황(Eisenia bicyclis) 배우체와 아포체의 생장에 미치는 환경 인자의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of Gametophytes and Young Sporophytes of Eisenia bicyclis (Kjellman) Setchell)

  • 이민정;김남길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5-122
    • /
    • 2020
  • Eisenia bicyclis, a perennial macroalga is a primary producer of in the ocean, It has been identified as a key species that plays a vital role in maintaining the ecosystem stability. Also, it is an important target in marine afforestation projects and useful marine organisms. In addition, E. bicyclis is used as a health food for huma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water temperature, light (photon irradiance), and duration of light (photoperiod) on the growth of gametophytes and young sporophytes of E. bicyclis.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the zoospores of E. bicyclis were examined at five temperatures (5℃, 10℃, 15℃, 20℃ and 25℃), four intensities of photon irradiance (10, 20, 40, and 80 μmol m-2s-1), and photoperiods (14:10 and 10:14 light/dark cycles). The zoospores released from mature plant germinated into the gametophytes under all experimental conditions. The gametophytes were able to grow at water temperature 5℃-25℃ and mature at 10℃-20℃. The optimal range of water temperature for the maturation of the gametophyte was 15℃-20℃. At 25℃, E. bicyclis gametophytes grew rapidly but did not mature.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the growth of young sporophytes grew slowly in low temperature and photon irradi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