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actinomycete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1초

Characterization of Silver Nanoparticles Synthesized by Using Marine Isolate Streptomyces albidoflavus

  • Prakasham, Reddy Shetty;Kumar, Buddana Sudheer;Kumar, Yannam Sudheer;Shankar, Guntuku Girij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5호
    • /
    • pp.614-621
    • /
    • 2012
  • Silver nanoparticles production by the green chemistry approach was investigated using an isolated marine actinomycetes strain. The isolated strain was identified as Streptomyces albidoflavus based on chemotaxonomic and ribotyping properties. The strain revealed production of silver nanoparticles both extracellular and intracellularly. Surface Plasmon Resonance analysis with the function of time revealed that particle synthesis by this strain is reaction time dependent. The produced particles were spherical shaped and monodispersive in nature and showed a single surface plasmon resonance peak at 410 nm. Size distribution histograms indicated production of 10-40-nm-size nanoparticles with a mean size of 14.5 nm. FT-IR spectra of nanopartilces showed N-H, C-H, and C-N stretching vibrations, denoting the presence of amino acid/peptide compounds on the surface of silver nanoparticles produced by S. albidoflavus. Synthesized nanoparticles revealed a mean negative zeta potential and electrophoretic mobility of -8.5 mV and -0.000066 $cm^2/Vs$, respectively. The nanoparticles produced were proteinaceous compounds as capping agents with -8.5 mV zeta potential and reveal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oth Gram-negative and -positive bacterial strains. Owing to their small size, these particles have greater impact on industrial application spectra.

해양 미생물을 활용한 생명과학 및 생명공학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Life Science and Biotechnology by Marine Microorganisms)

  • 윤용준;윤보현;황성민;문기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593-604
    • /
    • 2023
  • 바다는 지구 표면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자체가 대부분 탐사되지 않은 미지와 기회의 공간으로 제시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로 해양 연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환경을 가지고 있는 해양은 막대한 생물학적 다양성을 보이고 있으며 미생물학적 측면에서도 해양 환경은 다양하고 극단적인 온도, 압력, 일사량, 염분, pH 등을 가지고 있어 생태학적으로 특이한 서식처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육상과는 달리 계통분류학적으로 매우 다르며, 다양한 미생물들이 서식하나 그 다양성, 분리, 배양 그리고 이들이 생산해 내는 2차 대사산물 등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미진한 상황이다. 1990년대까지도 거의 연구되지 않던 해양 환경 자생 미생물의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들어 해양 방선균이 생산해 내는 천연물에 대한 연구가 가속화 되기 시작했다. 이후, 박테리아, 고세균, 조류 등을 활용한 항균제, 항암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등과 같은 의약품 개발 분야 뿐만 아니라 및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 바이오 연료 생산, 이산화탄소 포집, 생균제 발굴 및 개발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해양 미생물을 활용한 연구가 가속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총설에서는 해양미생물을 활용한 생명과학 및 생명공학 기술 분야의 연구 성과 및 최신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독자들이 의약소재 개발 외 제반 천연물 관련 분야의 기반 및 응용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미래 해양 유래 소재를 이용한 바이오 연구 개발의 최적화 및 실용화 연구에 적극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방선균에 의해 생산된 항 MRSA 항생물질 AM3의 구조 연구 (Structure Elucidation of a Potent Anti-MRSA Antibiotic, AM3, Produced by Streptomyces sp.)

  • 임융호;장준환;김종훈;서정우;정재경;이철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516-521
    • /
    • 1995
  • 항 MRSA 물질을 찾기 위하여 찬국 해양 토양을 검색하였고, 거기서 분리된 방선균의 이차 대사물질 중 항 MRSA 효능을 보이는 물질을 AM3이라고 명명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 PDF

A report of 20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n Korea, isolated from soils of coastal areas in 2022

  • Seung Hyeok Soung;Jaeho Song;Seung Yeol Shin;Song-Ih Ha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267-276
    • /
    • 2023
  • To obtain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n Korea, various soils of coastal areas were collected from the Republic of Korea in 2022. After plating the samples on marine agar and incubating aerobically and anaerobically, approximately 1,700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using 16S rRNA gene sequences. A total of 20 strains showed ≥98.7%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with validly published bacterial species but not reported in Korea, indicating they are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n Korea. The unrecorded bacterial strains belonged to four phyla, six classes, 15 orders, 16 families, and 19 genera which were assigned to Blastomonas and Sphingomonas of the class Alphaproteobacteria; Pseudidiomarina, Kushneria, Salinicola, and Salinisphaera of the class Gammaproteobacteria; Evansella, Virgibacillus, and Paenibacillus of the class Bacilli; Cyclobacterium of the class Cytophagia; Pedobacter of the class Sphingobacteriia; and Demequina, Ornithinimicrobium, Blastococcus, Jatrophihabitans, Kineococcus, Glaciihabitans, Aeromicrobium and Streptomyces of the class Actinomycetes. The details of the 20 unreported species, including Gram reaction, morphology,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position are also provided in the description of the str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