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bled sol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5초

Effects of seasonal variations in temperature and transport stressor on blood protein and glucose concentrations in wild teleosts of marbled sole(Limanda yokohamae) and greenling(Hexagrammos otakii)

  • Kim, Ki-Hong;Ahn, Kyong-Jin;Kwon, Se-Ryun;Huh, Sung-Hoi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4-58
    • /
    • 2001
  • The seasonal trends of plasma protein and glucose concentrations in marbled soles(Limanda yokohamae) and greenlings(Hexagrammos otakii), and the influence of transport stressor on those levels were investigated. Total plasma protein levels of marbled soles and greenlings in late spring and summ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winter(January). Plasma glucose levels were consistently increased according to elevation of water temperature both in marbled soles and greenlings. Transport stressor gave rise to decrease of plasma protein levels and increase of blood glucose levels.

  • PDF

문치가자미(Limanda yokohamae)의 정자형성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Spermatogenesis of the Marbled Sole, Limanda yokohamae (Teleostei: Pleuronectidae))

  • 안철민;이정식;허성회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4호
    • /
    • pp.427-435
    • /
    • 1999
  • 문치가자미의 정자형성과정을 미세구조적으로 관찰한 결과 체외수정을 하는 다른 경골어류의 정자형성과정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자변태과정 동안 염색질은 과립형태에서 구상으로 점차 응축하여 성숙 정자의 두부에서는 치밀하고 균질하게 된다. 정자는 두부와 미부로 구성되며, 첨체는 가지지 않는다. 두부 후방에서는 cytoplasmic collar가 관찰되었으며, cytoplasmic collar는 여덟개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진다. 미부에서는 잘 발달된 axonemal lateral fin을 관찰할 수 있다. 미부 편모축사의 횡단면은 "9+2"의 미세소관 구조를 나타내며, 세포질내에 많은 수의 공포를 가진다.

  • PDF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and genetic variability of the marbled sole Pleuronectes yokohamae on the coast of Gyeongsangnam-do, Korea

  • Lee, So-Jeong;Lee, So-Gwang;Gwak, Woo-Seo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6호
    • /
    • pp.498-505
    • /
    • 2012
  • This study uses the mitochondrial DNA control region to identify the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he marbled soles (Pleuronectes yokohamae) that inhabit Jinhae Bay and Yokji Island in the nearby sea and the adjacent waters of Namhae, Hansan Island, and Jaran Bay. Direct sequencing of the PCR products revealed 379 bp sequences with 83 variable nucleotide sites, defining a total of 91 haplotypes. The haplotype diversity was high, ranging from $0.917{\pm}0.031$ to $0.983{\pm}0.008$, and nucleotide diversity ranged from $0.015{\pm}0.008$ to $0.024{\pm}0.012$. In addition, 48 haplotypes (52.7%) were unique. Pairwise $F_{ST}$ values were very low, with the maximum value occurring between PYH (Hansan Island) and PJI (Jinhae Bay) ($F_{ST}$ = 0.011). Therefore, no significant genetic differentiation was evident between any pair of sampling localities.

미토콘드리아 DNA에 의한 붕넙치과 어류 4종간의 염기치환수 (The Number of Nucleotide Substitutions per Sites of Mitochondrial DNA in the Four Pleuronectid Species)

  • 박중연;김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49-658
    • /
    • 1995
  • 붕넙치과 어류의 종간에 있어서의 유전적 분화정도를 DNA level에서 관찰하기 위하여 참가자미, 문치가자미, 돌가자미, 강가자미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리하고, 6염기인식의 14제한효소로써 절단한 절단단편의 염기치환수를 계산하였다. 1) mtDNA 총염기대수는 4종 모두 17.6kbp 부근으로 나타나 동일한 염기대수를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2) 14종류의 제한효소로써 절단한 절단단편의 pattern으로 4종의 종내 및 종간의 haplotype수를 조사한 결과, 참가자미에서는 10개, 문치가자미에서는 4개, 강가자미에서는 2개, 돌가자미에서는 1개의 haplotype이 관찰되었으며, 종간에 있어서는 공통적인 haplotype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3) mtDNA의 유전적 변이성을 나타내는 haplotype 다양도 (h)는 참가자미에서 0.588, 문치가자미에서 0.371로 나타나 참가자미에서 높은 변이성을 나타내었다. 4) 4종의 유전적 분화의 정도를 mtDNA haplotype간의 제한 부위당 염기치환수 (d)로써 살펴 본 결과, 종내의 평균은 0.0045, 종간의 평균은 0.0344, 속간의 평균은 0.0457로 되어 종간, 속간의 값이 종내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5) 4종간의 mtDNA haplotype는 1개 또는 2개의 염기치환에 의한 차이가 아니고 유전적 불연속을 나타내었다.

  • PDF

한국 남해안 문치가자미, Pleuronectes yokohamae의 성숙과 산란 (Maturity and Spawning of Marbled Sole Pleuronectes yokohamae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서영일;주현;이선길;김희용;고준철;최문성;강주일;오택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3-89
    • /
    • 201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해안에 서식하는 문치가자미(pleuronectes yokohamae)의 성숙과 산란에 관한 연구로, 2006년 5월부터 2007년 4월까지 경남 남해군 연안 호망어업과 연안자망에서 어획된 것을 무작위로 채집하여 조사하였다. 암컷의 생식소 발달과정 및 생식소 중량지수의 월 변화로부터 문치가자미의 산란기는 11~2월, 주 산란기는 12~1월로 추정된다. 전장(TL)과 포란수(F)간의 관계식은 $F=3.656TL^{3.518}$ ($R^2$=0.872)이며, 체장이 커질수록 포란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란에 참여하는 50% 성숙체장은 전장 19.8 cm이었다. 전 조사기간에 대한 성비(암 수)는 55.2:44.8로 암컷이 우세하였고, 체급별 성비는 전장 25 cm 이하에서는 수컷의 비율이 높았으나 체장이 커질수록 암컷의 비율이 증가하여 32 cm 이상에서는 전 출현개체수가 암컷이었다.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의 생식기구 및 개체군 동태 1. 생식기구 (Reproduction and Population Dynamics of Marbled Sole Limanda yokohamae 3. Reproduction)

  • 이택열;강용주;이병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53-261
    • /
    • 1985
  • 부산근해산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를 대상으로 1983년 12월부터 1984년 11월까 주년에 걸쳐 생식소숙도지수(GSI)의 연간변화를 비롯하여 배우자형성과정 및 생식연주기를 조사하였고 아울러 난경조성에 의한 산란기간에 개체당 산란회수, 생식주기와 관련하여 간숙도지수(HSI)와 비만도변화 등을 조사함으로써 생식주기성립기구를 고찰하였다. GSI는 일장이 단일화되며 수온이 하강되는 추계에 상승하기 시작하여 연중 최저수온과 최단일인 12월에 최대치를 나타낸다. 배우자는 6월부터 생식소가 활성화되어 난원세포 및 정원세포의 활발한 분열증식이 일어나며, 10월에 성숙기에 이르고, 12월에 완숙되어 12월하순부터 1월에 걸쳐 산란기를 가진다. 산란후 2월부터 5월까지 생식소는 퇴화${\cdot}$위축된 상태로 휴지기를 갖는다. 한 산란기동안 개체들은 1회 산란을 한다. 난모세포가 난황을 활발하게 축적하기 시작하는 난황구기부터는 간으로 부터 합성된 Vitellogenin을 공급받는 것으로 간주되며, 방란${\cdot}$방정에 의한 체력소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문치가자미는 전형적인 동계산란종으로 단일광주기와 저수온이 생식세포형성 및 난모세포의 성숙촉진에 직접 관여하며, 배란 역시 이들 환경요인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삼투질농도와 $Ca^{2+}$이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 정자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smolality and $Ca^{2+}$ on Sperm Motility in Marbled Sole, Limanda yokohamae)

  • 고강희;장영진;임한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09-815
    • /
    • 1997
  • 문치가자미의 성숙한 수컷 15마리를 재료로 하여 삼투질농도와 $Ca^{2+}$이 정자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문치가자미 정자는 전해질 및 비전해질 용액에서 정장의 삼투질농도인 $351{\pm}23.4mOsm/kg$ 이하의 저장액에서 운동이 억제되었으나, 삼투질농도 $466\~l,185mOsm/kg$에서는 활발한 운동을 보였으며, 1,698 mOsm/kg 이상에서 다시 운동이 중지되었다. 인공해수를 희석액으로 하여 pH를 달리하였을 때, 정자는 $pH\;5\~9$에서 운동지수 $3.75\~4.00$로 운동성이 활발하였으나, pH 4에서는 운동지수 2.50로 미약하였다. $Ca^{2+}$의 특이 chelator인 EGTA가 포함된 $Ca^{2+}$ 결여 인공해수 (tris-HCl, pH 7.4)에 정액을 희석하였을 때, EGTA의 농도 증가에 따라 정자 운동성이 낮아졌으며, 3mM 이상의 농도에서는 완전히 정지되었다. 운동이 억제된 정자에 $Ca^{2+}$을 서서히 첨가한 결과, $Ca^{2+}$ 농도 0.25mM 이상부터 운동이 재개되었다. 또한 인공해수속의 정자는 calmodulin 억제제인 TFP의 농도의 증가에 따라 운동성이 감소하여 0.5mM에서 완전히 정지하였다.

  • PDF